목차
1. 종교에 대한 접근 I : 제도적 종교
2. 종교에 대한 접근 II : 제도화되지 않은 바탕 종교
3. 종교들은 무엇을 갈망하는가?
4. 세계화된 종교가 탄생하기 위해 필요한 필요 충분 조건들은 무엇인가?
5. 세계적 종교들은 어떤 특징들을 공유하고 있는가?
즉, 종교 정의에서 기본적인 요소들은 무엇인가?
6. 종교를 정의할 때 잘못된 관점
2. 종교에 대한 접근 II : 제도화되지 않은 바탕 종교
3. 종교들은 무엇을 갈망하는가?
4. 세계화된 종교가 탄생하기 위해 필요한 필요 충분 조건들은 무엇인가?
5. 세계적 종교들은 어떤 특징들을 공유하고 있는가?
즉, 종교 정의에서 기본적인 요소들은 무엇인가?
6. 종교를 정의할 때 잘못된 관점
본문내용
한다.
6. 종교를 정의할 때 잘못된 관점
1) 종교는 절대자 또는 신을 숭배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일부 종교는 절대자를 신앙한다. 그러나, 많은 종교들은 절대자를 숭배하지 않고 있다. 예를 들면, 중동의 종교들은 절대자를 상정하고 절대자에게 신앙을 바침으로써 외적 힘을 얻고자 추구하지만, 불교나 도교, 유교 등과 같은 동양 종교들은 자신의 내면 세계를 성찰함으로써 자신의 운명을 좌우할 수 있는 내적 힘을 추구한다. 그러므로, 종교를 정의할 때 '절대자'를 상정하는 것은 잘못이다.
2) 마찬가지로 초자연성(자연을 지배하는 초자연적 존재나 질서, 가치)을 상정하는 것도 잘못된 관점이다. 동양 종교들은 중동종교들과 달리 초자연성보다는 내재성을 강조한다. 모든 원리의 내재적 측면을 강조하는 것이다. 따라서 초자연성을 강조하는 것은 중동 종교적 관점이라 하겠다.
3) 정형화된 의례: 어떤 종교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종교들은 어느 정도 정형화된 의례들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그러한 의례들은 그것이 발생하고 수용한 사회의 문화적 습속을 반영하며 형성된 관습들이다. 따라서, 어떤 일정한 의례 방식만이 어떤 종교적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고 보는 관점은 잘못이다.
6. 종교를 정의할 때 잘못된 관점
1) 종교는 절대자 또는 신을 숭배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일부 종교는 절대자를 신앙한다. 그러나, 많은 종교들은 절대자를 숭배하지 않고 있다. 예를 들면, 중동의 종교들은 절대자를 상정하고 절대자에게 신앙을 바침으로써 외적 힘을 얻고자 추구하지만, 불교나 도교, 유교 등과 같은 동양 종교들은 자신의 내면 세계를 성찰함으로써 자신의 운명을 좌우할 수 있는 내적 힘을 추구한다. 그러므로, 종교를 정의할 때 '절대자'를 상정하는 것은 잘못이다.
2) 마찬가지로 초자연성(자연을 지배하는 초자연적 존재나 질서, 가치)을 상정하는 것도 잘못된 관점이다. 동양 종교들은 중동종교들과 달리 초자연성보다는 내재성을 강조한다. 모든 원리의 내재적 측면을 강조하는 것이다. 따라서 초자연성을 강조하는 것은 중동 종교적 관점이라 하겠다.
3) 정형화된 의례: 어떤 종교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종교들은 어느 정도 정형화된 의례들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그러한 의례들은 그것이 발생하고 수용한 사회의 문화적 습속을 반영하며 형성된 관습들이다. 따라서, 어떤 일정한 의례 방식만이 어떤 종교적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고 보는 관점은 잘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