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제'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금욕주의(Asceticism)
1. 금욕주의의 의미
2. 금욕주의의 제유형
가. 키닉 - 스토이시즘
나. 기독교 금욕주의
1) 초기 기독교 윤리
2) 중세 교부 철학
3) 퓨리터니즘(Puritanism)

Ⅲ. 현대 시민사회와 절제

Ⅳ.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 있다. 가장 심각한 것은 자동차로 인한 환경오염이다. 자동차의 연료는 화석연료이기 때문에 연소과정에서 유독가스를 만들어낸다. 자동차가 뿜어내는 유독가스는 대기오염의 주범이며, 산성비와 지구온난화의 원인이 된다. 또한 우리들의 먹거리는 자동차의 배기가스에 오염된 채 우리 식탁으로 돌아오고 있다. 우리가 마시는 공기의 양은 하루에 약 1만 리터가 된다고 한다. 이렇게 마시는 공기 중에는 우리 인체에 해로운 많은 유독가스가 포함돼 있다. 특히 우리 몸에 치명적인 질소, 아황산가스, 일산화탄소 등은 대부분 자동차가 만들어 내는 것들이다.
지속 가능한 교통수단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1공회전을 하지 않는다. 자동차의 공회전은 유독가스를 만들어내는 불필요한 행위이다. 2걸어다닌다. 가까운 거리는 걸어다니는 습관은 건강에도 좋다. 3대중교통을 이용한다. 이제 각 가정마다 자동차가 없는 집이 없을 정도이지만 우리의 도로 사정은 그렇지 못하다. 거리마다 차들로 꽉 차 정체가 계속되고 있다. 정체로 인한 에너지 손실과 환경오염을 막기 위해 대중교통 이용을 생활화하는 것이 좋겠다. 4지구촌형 자동차를 구입한다. 자동차를 구입할 때는 디자인이나 색깔보다는 연비가 높은 제품을 구입하도록 한다. 5여럿이 함께 탄다. 카풀제도를 생활화하게 되어 여럿이 함께 타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10부제를 이용한다. 서로서로 자동차 이용을 자제하는 10부제도 좋은 방안이다.
‘마음이 청결하고 가난한 자는 복이 있다’고 하였다. 생활주변의 모든 면에서 탐욕을 버리고 겸손하게 살아가는 미덕이 아쉽기만 하다. ‘욕심이 지나치면 죄를 잉태하고 죄가 장성하면 사망을 낳는다’는 성경의 말씀이 우리 마음을 숙연하게 한다. 절제하는 습관은 미덕이라고 하였다. 자신을 조절하고 절제할 줄 아는 사람만이 자신의 여유를 즐기면서 넉넉하게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자신의 여유를 감사할 줄 아는 사람만이 이웃과 함께 나누어 가질 수 있고, 받기보다는 나눔의 생활이 복되고 기쁨이 넘치는 생활이라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Ⅳ. 결론
본 연구에서는 금욕주의의 전통을 살펴보고, 현대 시민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반드시 지녀야할 덕목 중의 하나인 '절제'와 그 실천 방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스토이시즘의 도덕적 이상으로 추구된 아파테이아는 비합리적인 모든 감정으로부터의 해방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인간은 도덕적인 삶을 살아가는 데 있어서 본능이나 열정과 같이 누구에게나 본질적인 감정으로부터 방해를 받게 된다. 감정은 인간의 올바른 가치 인식과 판단력 행사에 방해요소가 되므로 감정을 뿌리치기 위한 끈질긴 투쟁이 요구되는데, 아파테이아는 이러한 비이성적 요구를 제거하기 위해 스토아학파의 현인들이 도달하려 했던 궁극적 목적이었다. 따라서 이성에 의한 생활을 최고의 가치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고 그 밖의 것은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 현대인들의 안일하고 향락적인 삶의 욕구는 세계의 위기와 관계없이 산업화를 재촉하고 그로 인한 환경 파괴 등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스토이시즘의 도덕적 이상이었던 아파테이아는 인간으로 하여금 이러한 무분별한 감정의 지배로부터 벗어나 인간의 본성인 이성에 따른 삶을 영위하도록 이끄는 힘이 내재하고 있다. 물질가치를 숭상하며, 물질에 집착하여 인간 본연의 의무를 상실하고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스토아학파의 현자들이 도달하고자 했던 아파테이아의 이상은 현대인을 물욕으로부터 자유케하는 정신적인 힘으로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와 더불어 이제 우리의 소비 태도도 달라져야 한다. 소비생활 문화가 형성된 오늘날, 국민 개개인의 근검성과 합리성에 기초한 현명한 소비생활 태도가 국가 경쟁력을 결정한다. 경제 위기를 극복하고 선진 경제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합리적이고 현명한 소비 문화가 정착되도록 온 국민의 노력과 지혜, 그리고 자발적 실천이 무엇보다도 중요할 것이다.Y
<참 고 문 헌>
1. 웹사이트
http://taejayeon.ms98.net [대자연 보전 환경 협회]
www.chosun.com/feature/husbandry.html [절약시대 환경운동]
www.kemco.or.kr [에너지 관리 공단]
www.water21.me.go.kr [물절약범운동본부]
2. 국내서
기독교 대백과사전편찬위원회, 「기독교 대백과사전 제 2권」, 서울 : 기독 교문사, 1981.
박성수 역, 막스 베버,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서울 : 문예출판사, 1988.
송휘철·황경식 공역, W. S. 사하키안, 「윤리학의 이론과 역사」, 서울 : 박영사, 1988.
이창대 역, E. 젤러, 「희랍 철학사」, 서울 : 이론과 실천, 1991.
임석진 역, H. J. 슈퇴릭히, 「세계철학사 상(上)」, 서울 : 분도출판사, 1976.
진교훈, 「철학적 인간학 연구」, 서울 : 경문사, 1988.
최민홍 역, B. 럿셀, 「서양철학사 상(上)」, 서울 : 집문당, 1991.
3. 국내논문
김보록, "복음적 가난(Ⅱ)", 「신학전망」, 제 28호, 1988, 가을.
박권배, 「Puritan 운동의 성격과 그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신학대학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1989.
손두환, "초대교회와 금욕주의 운동", 「신학지남」, 제 52권, 4집, 1985. 겨 울.
4. 국외서
E. V. Arnold, Roman Stoicism, (Books for Libraies Press : New York, 1971)
K. S. 프랑크, "그리스도교 고행수덕 생활과 수도원의 시작", 「신학전망」, 제 70호, 1985. 가을
Pascal P. Parente, The Ascetical Life, (Bingham and New York : Vail-Ballow Press, Inc., 1944)
Reid, J. S., "Asceticism", in Encyclopedia of Religion and Ethics Vol.Ⅱ (Edinburgh, 1908∼1926)
W. Mitchell and Carisbrooke Dominicans, Christian Asceticism and Modern Man (The Ditchling Press, 1955)
  • 가격5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04.07.01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90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