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스타일 유형의 변화추세에 관한 연구(소득수준 변화를 중심으로)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서론

2.라이프스타일에 관한 이론적 고찰

3.연구 방법 및 실증분석

4.결론

본문내용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 소득이 변하여도 시장의 크기가 그대로 유지되는 집단은 '가정살림형'으로 집단이 매우 안정적이고 변화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패션 지향형'은 월 소득이 감소하면 집단 구성비가 급격히 감소하였고, 반면, '생활무관심형'과 '보수적 상표의존형'의 경우는 비율이 크게 늘었으며, '서구식 실용주의형'도 다소 증가하였다. '정치관심형'은 소득이 감소하더라도 그대로 유지하고자 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보수적 상표의존형'은 월 소득이 증가하면 감소하고 월 소득이 감소하면 늘어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것은 소득이 감소할수록 구매시 위험을 줄이기 위해 광고와 상표이름에 의존하려는 소비자들이 증가한다는 것으로 생각된다.
'정치 관심형'과 '생활무관심형'은 유사한 특성을 갖고 있으나, 월 소득이 급격히 감소하는 경우 '생활무관심형'집단이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정치 관심형'은 선거와 같은 정치 일정으로부터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이미 조사된 자료를 근간으로 분석을 하였기 때문에 사전에 라이프스타일 항목에 대한 치밀한 설계가 뒷받침되지 못했으며, 설문의 수가 충분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그 한계가 있다고 본다. 또한 라이프스타일 변화추세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대상을 다년간에 걸쳐 조사하는 패널조사가 가장 이상적이라는 점도 부인할 수는 없으나,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5년간 동일한 항목에 의해 분류된 라이프스타일 유형들이 장기간에 걸쳐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 변화 추세에 관한 연구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기여하는 바가 있다고 생각된다.
아울러, 본 연구를 계기로 하여 라이프스타일 항목에 대한 정교한 검증과 패널 자료를 이용한 라이프스타일 변화추세에 관한 연구가 지속되고,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그에 따른 세분 시장의 크기를 예측 할 수 있는 연구가 활성화 되어 신제품 개발, 포지셔닝 전략, 매체전략 등을 수립하는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참고문헌
김동기(1991), 현대 마케팅 원론, 박영사.
김염제(1987), 소비자 행동론, 나남.
대홍기획(1999), 한국인사람들, 대홍기획
대한상공회의소(1993), "소득 수준 향상에 따른 소비 형태 변화 및 라이프스타일에 관한 조사 연구", 대한상공회의소
박성연(1996), "한국인의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특성" 마케팅 연구, v.11(1), 19-34.
서성한(1986), 소비자 행동론, 박영사.
이동훈(1997), "제품 관여도와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소비자 가치단계 차이 분석", 광고연구, v.13, 210-232.
이종하(1989), "한국인의 라이프스타일과 마케팅 전략", 광고연구, 가을호(제5권), 5-27.
이용학, 배수현(1995), "소비자 연령층별 기본 의식 구조의 차이분석", 경영학 연구, v. 24(4), 187-212.
이용구(1993), 통계학 원론, 율감출판사
임종원, 김재일, 홍성태, 이유재(1994), 소비자 행동론, 경문사.
임종원(1996), 마케팅 조사 이렇게, 법문사.
조형오(1994), "한국인의 라이프스타일 유형 분류 및 소비 행동에 관한 연구", 소비자학 연구, v.5, 223-242.
제일기획(1998), 한국인의 소비 행동과 라이프스타일, 경문사.
중앙일보, 동양방송(1975), 라이프스타일의 연구와 관점, 라이프스타일 인디케이터 , 중앙일보
정충영, 최이규(1996), SPSSWIN을 이용한 통계 분석, 무역경영사
제일기획(1998), "한국인의 소비행동과 라이프스타일", http:\\WWW.cheil.co.kr.
최병용(1991), 최신 소비자 행동론, 박영사.
채서일(1992), "체계적 분석의 틀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연구",소비자학 연구, v. 3(1), 46-63.
통계청(1999), 한국경제지표
Assael, H.(1984), Consumer Behavior and Marketing Action,Boston: Kent Publishing Company,
Anscacher, H.L.(1967), "Life Style: A Historical and stematic review", Journal of Individual Psychology, V.23, 191-212.
Berkman.H.W. and C.C. Gilson*(1978), Consumer Behavior, Encino,California: Dickensen.
Cathelat, B.(1993), Socio-Lifestyle Marketing, Probus publishing.
Engel, J.F., R.D.Blackwell and D.T.Kollat(1978), Consumer Behavior, Hisdale, Illinois: the Dryend Press.
Engel, J.F. and R.D. Blackwell(1982), Consumer Behavior: Concepts and Strategies and Strategies, New York : The Dryend Press.
Plummer. J. T(1974), The Concept and Application of Life Styl Segmentation, Journal of of Marketing, Vol.38, 33-37.
Kotler P.(1997), Marketing Management : Analysis, Planing and Control: Prentice-Hall.
Reynold, F.D., M.R. Crash & W.D. Wells(1997), "The Modern Feminie Life Style", Journal of Marketing, Vol 41, 38-45.
Lazer, W.(1963), "Life Style Concepts and Marketing", in Toward Scientific Marketing, ed., Stephen A. Greyesr, Chicago, IL: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130-139.
  • 가격2,3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2.05.25
  • 저작시기20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50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