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계소설과 춘향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판소리계소설과 춘향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판소리계 소설 >
1. 판소리 소설의 사회적 배경
2. 판소리계 소설의 특징
◆ 춘향전의 근원설화
◆ 「춘향전」의 시대상황
◆ 「춘향전」에 나타난 인물의 성격
◆ 문체의 특징
◆ 작품의 주목할 점
◆ 「춘향전」의 문학적 가치- 고전 소설중 가장 뛰어난 작품
◆ 본문(교과서 부분)

본문내용

옥수(獄囚)를 다 올리라.”
호령하니 죄인을 올리거늘, 다 각각 문죄(問罪) 후에 무죄자 방송(放送)할새,
“저 계집은 무엇인다?”
형리 여짜오되,
“기생 월매 딸이온데, 관정(官庭)에 포악(暴惡.)한 죄로 옥중에 있삽내다.”
“무슨 죄다?”
형리 아뢰되.
“본관 사또 수청(守廳)으로 불렀더니 수절(守節)이 정절(貞節)이라 수청 아니 들려 하고 관전(官前)에 포악한 춘향이로소이다."
어사또 분부하되,
“너만 년이 수절한다고 관정 포악하였으니 살기를 바랄쏘냐. 죽어 마땅하되 내 수청도 거역할까”
춘향이 기가 막혀
“내려오는 관장(官長)마다 개개이 명관이로구나(반어적 표현, 냉소적 어조). 수의(繡衣) 사또 듣조시오. 층암 절벽(層巖絶壁) 높은 바위 바람 분들 무너지며, 청송 녹죽(靑松綠竹) 푸른 남기 눈이 온들 변하리까? 그런 분부 마옵시고 어서 바삐 죽여 주오.”
하며,
“향단아, 서방님 어디 계신가 보아라. 어젯밤에 옥문간에 와 계실 제 천만 당부하였더니 어디를 가셨는지, 나 죽는 줄 모르는가?”
어사의 춘향을 비롯한 죄인에 대한 문죄
사또 분부하되,
“얼굴 들어 나를 보라.(갈등의 해소)”
하시니, 춘향이 고개 들어 대상(臺上)을 살펴보니 걸객(乞客)으로 왔던 낭군, 어사또로 뚜렷이 앉았구나. 반 웃음 반 울음에
“얼씨구나 좋을씨고. 어사 낭군 좋을씨고. 남원 읍내 추절(秋節) 들어 떨어지게 되었더니 객사에 봄이 들어 이화 춘풍(李花春風-동음이의어에 의한 언어 유희, “서방인지 남방인지”, ‘오얏꽃에 부는 봄바람’ 또는 ‘오얏꽃 향기를 머금은 봄바람’이라는 뜻인데, 여기서는 이몽룡의 성이 ‘이(李)’라는 것과 연관된 이중적인 뜻이 있음.) 날 살린다. 꿈이냐 생시냐, 꿈을 깰까 염려로다.”
어사의 춘향의 재회
한참 이리 즐길 적에 춘향 모 들어와서 가없이 즐겨하는 말을 어찌 다 설화(說話)하랴(작가 개입). 춘향의 높은 절개 광채 있게 되었으니 어찌 아니 좋을쏜가?(작가 개입)
춘향모의 등장
<절정4> 춘향의 구출과 해후
어사또 남원 공사(公事) 닦은 후에 춘향 모녀와 향단이를 서울로 치행(治行)할 제, 위의(威儀) 찬란하니 세상 사람들이 누가 아니 칭찬하랴(작가 개입, 유교적 정조 관념). 이 때, 춘향이 남원을 하직 할새, 영귀(榮貴)하게 되었건만 고향을 이별하니 일희일비(一喜一悲)가 아니 되랴(작가 개입).
“놀고 자던 부용당(芙蓉堂)아, 너 부디 잘 있거라. 광한루(廣寒樓), 오작교(烏鵲橋), 영주각(瀛州閣)도 잘 있거라. 춘초(春草)는 연년록(年年綠)하되 왕손(王孫)은 귀불귀(歸不歸)라, 날로 두고 이름이라. 다 각기 이별할 제 만세무량(萬歲無量, 萬壽無疆)하옵소서, 다시 보긴 망연(茫然)이라.”
<결말1> 어사와 춘향의 상경
이때, 어사또는 좌우도(左右道) 순읍(巡邑)하여 민정을 살핀 후에 서울로 올라가 어전(御前)에 숙배(肅拜)하니, 삼당상(三堂上) 입시(入侍)하사 문부(文簿)를 사정(査定) 후 에 상이 대찬(大讚)하시고 즉시 이조 참의(吏曹參議) 대사성(大司成)을 봉하시고, 춘향으로 정렬 부인(貞烈夫人)을 봉하시니, 사은 숙배(謝恩肅拜)하고 물러 나와 부모전에 뵈온대, 성은(聖恩)을 축수(祝壽)하시더라.
논공행상
이때, 이판(吏判), 호판(戶判), 좌우 영상(左右領相) 다 지내고, 퇴사(退仕) 후 정렬 부인으로 더불어 백년 동락할새, 정렬 부인에게 삼남 이녀를 두었으니, 개개이 총명하여 그 부친을 압두(壓頭)하고 계계승승(繼繼承承)하여 직거일품(職居一品)으로 만세 유전(萬世流傳)하더라.
후일담(행복한 결말을 제시하는 고전 소설의 상투적 결말)
<결말2>어사와 춘향의 표창과 백년해로(양반의 취향에 영합하는 전아한 문체)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4.07.02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90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