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공자(孔子)의 윤리 사상 - 仁·禮(인과 예)
1> 배경 - 춘추 전국 시대의 도덕적 타락과 사회적 혼란
2> 공자(이름은 丘, B.C.551-479)
3> 인(仁)의 사상 - 사랑의 정신과 인간다움
4> 예(禮)의 사상 - 예의, 예절
5> 군 자 ( 君 子 )
6> 정명(正名) 사상과 정치 사상
2】노자(老子)의 윤리 사상 - 무위 자연(無爲自然)
1> 도가(道家)의 윤리 사상
2> 노자 (성은 李, 이름은 耳, B.C. 604?-531)와 ≪도덕경≫
3> 인간과 사회
4> 도(道)와 무위 자연(無爲自然)
5> 윤리 사상 - 상선약수(上善若水)
6> 정치 사상 - 소국과민(小國寡民)
1> 배경 - 춘추 전국 시대의 도덕적 타락과 사회적 혼란
2> 공자(이름은 丘, B.C.551-479)
3> 인(仁)의 사상 - 사랑의 정신과 인간다움
4> 예(禮)의 사상 - 예의, 예절
5> 군 자 ( 君 子 )
6> 정명(正名) 사상과 정치 사상
2】노자(老子)의 윤리 사상 - 무위 자연(無爲自然)
1> 도가(道家)의 윤리 사상
2> 노자 (성은 李, 이름은 耳, B.C. 604?-531)와 ≪도덕경≫
3> 인간과 사회
4> 도(道)와 무위 자연(無爲自然)
5> 윤리 사상 - 상선약수(上善若水)
6> 정치 사상 - 소국과민(小國寡民)
본문내용
기 멋대로 하는 방임이나 철저한 게으름, 비활동성을 두고 한 말이 아님
'물'의 덕목(겸허와 부쟁)이 나타나는 [도덕경]
上善若水., 水善利萬物而不爭, 處衆人之所惡, 故幾於道. (상선약수., 수선리만물이부쟁, 처중인지소악,고기어도/8장) : "지극히 착한 것은 마치 물과 같다. 물은 만물을 좋이 이롭게 하면서도 다투지 아니하고, 많은 사람들이 싫어하는 (낮은)곳에 처하니, 그런 까닭으로 도에 가깝다 하리라."
聖人處無爲之事, 行不言之敎.(성인처무위지사, 행불언지교/2장) : "성인은 일 없는 일에 처하며, 말 아니하는 가르침을 행한다."
柔弱勝剛强.(유약승강강/36장): "부드럽고 연약한 것이 단단하고 강한 것을 이긴다."
6> 정치 사상 - 소국과민(小國寡民)
'작은 나라 적은 백성(소국 과민)'을 지향함. - '작은 정부론'과 '보이지 않는 손' 참조
다스리지 않는 정치
爲無爲 則無不治.(위무위 즉무불치/3장) : "함이 없으나, 다스리지 못할 것이 없다."
法令滋彰,盜賊多有.(법령자창 도적다유/57장) : "법령이 많으면, 도적 또한 많아진다."
我無爲而民自化,我好靜而民自正.(아무위이민자화, 아호정이민자정/57장): "내가 함이 없으니 백성이 절로 변하며, 내가 고요함을 좋아하니 백성이 절로 바르게 되느니라."
治大國 若烹小鮮.(치대국 약팽소선/60장):"큰 나라 다스림은 마치 작은 생선 굽듯 하라."
以智治國,國之賊.(이지치국, 국지적/65장):"지혜로써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곧 나라의 적이다."
小國寡民(소국과민/80장) :"작은 나라의 적은 백성"이 곧 이상적인 국가의 모습
'물'의 덕목(겸허와 부쟁)이 나타나는 [도덕경]
上善若水., 水善利萬物而不爭, 處衆人之所惡, 故幾於道. (상선약수., 수선리만물이부쟁, 처중인지소악,고기어도/8장) : "지극히 착한 것은 마치 물과 같다. 물은 만물을 좋이 이롭게 하면서도 다투지 아니하고, 많은 사람들이 싫어하는 (낮은)곳에 처하니, 그런 까닭으로 도에 가깝다 하리라."
聖人處無爲之事, 行不言之敎.(성인처무위지사, 행불언지교/2장) : "성인은 일 없는 일에 처하며, 말 아니하는 가르침을 행한다."
柔弱勝剛强.(유약승강강/36장): "부드럽고 연약한 것이 단단하고 강한 것을 이긴다."
6> 정치 사상 - 소국과민(小國寡民)
'작은 나라 적은 백성(소국 과민)'을 지향함. - '작은 정부론'과 '보이지 않는 손' 참조
다스리지 않는 정치
爲無爲 則無不治.(위무위 즉무불치/3장) : "함이 없으나, 다스리지 못할 것이 없다."
法令滋彰,盜賊多有.(법령자창 도적다유/57장) : "법령이 많으면, 도적 또한 많아진다."
我無爲而民自化,我好靜而民自正.(아무위이민자화, 아호정이민자정/57장): "내가 함이 없으니 백성이 절로 변하며, 내가 고요함을 좋아하니 백성이 절로 바르게 되느니라."
治大國 若烹小鮮.(치대국 약팽소선/60장):"큰 나라 다스림은 마치 작은 생선 굽듯 하라."
以智治國,國之賊.(이지치국, 국지적/65장):"지혜로써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곧 나라의 적이다."
小國寡民(소국과민/80장) :"작은 나라의 적은 백성"이 곧 이상적인 국가의 모습
추천자료
논어에 나타난 공자의 정치사상
유가, 묵가, 도가, 법가 등의 제자백가 사상에 대한 고찰
고전시조문학에서 무심(無心)을 노래한 자연노래(風流)에서의 유가,도가적 사상의 고찰
[동양사상][서양사상][사상가]동양사상과 사상가 및 서양사상과 사상가 심층 분석(동양사회체...
공자와 맹자의 사상
[사상]소크라테스와 공자의 공통점과 차이점 조사보고서
공자와 그의 사상
공자(孔子)의 생애와 사상
공자의 철학(천 사상, 윤리사상, 교학사상, 정치사상, 효제, 충서, 박문약례, 정명론)
공자의 인(仁)사상에 기초한 현대적 실천 가족윤리적 사회유대적 정치적 실천
공자의 생애와 사상 그리고 느낀점
★공자의 생애와 사상★
<중국고대의 사상적 배경과 에토스 - 신과 인간의 교감> 고대 중국의 종교적 특징, 고대 유가...
[유학사상] 동아시아의 미학지평과 유가예술정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