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새집 증후군
(1) 라돈이란?
(2) 라돈의 역사
(3) 라돈의 붕괴도식
(4) 라돈의 침입경로
(5) 수중라돈
(6) 관련기사
(7) 라돈 절감 방법
(8) 참고 문헌
(1) 라돈이란?
(2) 라돈의 역사
(3) 라돈의 붕괴도식
(4) 라돈의 침입경로
(5) 수중라돈
(6) 관련기사
(7) 라돈 절감 방법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에 있던 라돈가스가 실내로 유입되는 양은 많아진다.
(5) 수중라돈
지각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라돈에 비하여 물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라돈의 양은 대부분의 경우에 아주 적은 양이다. 그러나 지하수를 이용하여 샤워나 세척 및 세탁 등을 위해 가정용수로 사용할 경우에는 지하수에 용해되어 있던 라돈이 우리가 호흡하고 있는 공기 중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실내의 라돈농도가 높아 질 수 있다. 특히 우라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토양이나 암반 근처에서 뽑아 올린 지하수를 사용한다면 라돈의 농도는 더욱 높아질 것이다. 아주 높은 농도로 라돈을 포함하고 있는 물을 섭취했을 경우에는 위암을 일으킬 위험이 있으며 물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호흡을 통해 흡입했을 경우의 위험과 비교했을 때 그 위험의 크기는 아직 불확실한 상태이다. 몇몇 보고서는 두 경우의 위험정도가 동일하다고 보수적으로 보고하고 있는 반면 다른 연구자들은 라돈의 섭취에 의한 위험이 흡입에 의한 위험의 1/10정도라고 발표하고 있다. 그러나 섭취에 의한 라돈피폭은 물을 끊일 경우 대부분의 녹아 있던 라돈이 공기 중으로 날아가 버리므로 지하수 또는 생수를 직접 마시는 것이 주된 피폭과정이다. 반면에 공중 식수원으로부터 각 가정으로 공급되는 대부분의 지표수(수돗물)는 상수원에 머물러 있는 동안 그리고 가정으로 공급되는 동안에 녹아 있던 라돈이 공기 중으로 대부분 방출되기 때문에 지표수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라돈의 양은 극히 미미하다.
(6) 관련기사
[1999년 8월 12일 중앙일보]
(7) 라돈 절감 방법
(a) 종종 토양감압으로 불리는 방법으로서 건물과 토양 사이의 압력차를 역전시킴으로써 라돈의 유입을 줄인다. 이 방법은 마루 아래의 공간, 주택 하부 또는 근접된 지반, 또는 들마루 아래의 공간 중의 라돈을 배기하기 위해 작은 팬을 사용함으로써 쉽게 달성할 수 있다. 바닥 하부 감압법이라고 부르기도 하다.
(b) 토양가스 유입에 대한 건물기초의 저항을 증가시키거나 건축자재를 라돈 방출을 억제하도록 처리함으로써 라돈 공급을 줄인다. 기존 건물에는 땅으로부터 라돈이 들어오는 경로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밀봉기법이 효과를 보기 어렵다.
(c) 라돈 방출원을 제거한다. 이 기법은 물 공급원 또는 극단적인 경우에 지하 토양과 같은 고체물질에 대해서만 가능할 것이다.
(d) 환기율을 높여 라돈과 그 자손의 농도를 희석시킨다. 이 방법의 효과는 이미 환기율이 거주자가 원하는 만큼 높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 더 이상의 환기는 냉난방 비용을 증가시킨다. 또, 어떤 환기장치는 실내 기압을 낮춤으로써 라돈의 유입을 증가시키기도 한다.
(e) 필터나 실내공기의 유동을 높여 라돈 자손 입자들의 부착을 증가시킴으로써 공기 중 라돈 자손의 농도를 감소시킨다.
(8) 참고문헌
http://www.dicer.org/Webzine/html/05_main5.htm
http://itrs.hanyang.ac.kr/rad_pro/Rn/measure.htm
http://www.juganphila.com/real_197.html
(5) 수중라돈
지각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라돈에 비하여 물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라돈의 양은 대부분의 경우에 아주 적은 양이다. 그러나 지하수를 이용하여 샤워나 세척 및 세탁 등을 위해 가정용수로 사용할 경우에는 지하수에 용해되어 있던 라돈이 우리가 호흡하고 있는 공기 중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실내의 라돈농도가 높아 질 수 있다. 특히 우라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토양이나 암반 근처에서 뽑아 올린 지하수를 사용한다면 라돈의 농도는 더욱 높아질 것이다. 아주 높은 농도로 라돈을 포함하고 있는 물을 섭취했을 경우에는 위암을 일으킬 위험이 있으며 물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호흡을 통해 흡입했을 경우의 위험과 비교했을 때 그 위험의 크기는 아직 불확실한 상태이다. 몇몇 보고서는 두 경우의 위험정도가 동일하다고 보수적으로 보고하고 있는 반면 다른 연구자들은 라돈의 섭취에 의한 위험이 흡입에 의한 위험의 1/10정도라고 발표하고 있다. 그러나 섭취에 의한 라돈피폭은 물을 끊일 경우 대부분의 녹아 있던 라돈이 공기 중으로 날아가 버리므로 지하수 또는 생수를 직접 마시는 것이 주된 피폭과정이다. 반면에 공중 식수원으로부터 각 가정으로 공급되는 대부분의 지표수(수돗물)는 상수원에 머물러 있는 동안 그리고 가정으로 공급되는 동안에 녹아 있던 라돈이 공기 중으로 대부분 방출되기 때문에 지표수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라돈의 양은 극히 미미하다.
(6) 관련기사
[1999년 8월 12일 중앙일보]
(7) 라돈 절감 방법
(a) 종종 토양감압으로 불리는 방법으로서 건물과 토양 사이의 압력차를 역전시킴으로써 라돈의 유입을 줄인다. 이 방법은 마루 아래의 공간, 주택 하부 또는 근접된 지반, 또는 들마루 아래의 공간 중의 라돈을 배기하기 위해 작은 팬을 사용함으로써 쉽게 달성할 수 있다. 바닥 하부 감압법이라고 부르기도 하다.
(b) 토양가스 유입에 대한 건물기초의 저항을 증가시키거나 건축자재를 라돈 방출을 억제하도록 처리함으로써 라돈 공급을 줄인다. 기존 건물에는 땅으로부터 라돈이 들어오는 경로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밀봉기법이 효과를 보기 어렵다.
(c) 라돈 방출원을 제거한다. 이 기법은 물 공급원 또는 극단적인 경우에 지하 토양과 같은 고체물질에 대해서만 가능할 것이다.
(d) 환기율을 높여 라돈과 그 자손의 농도를 희석시킨다. 이 방법의 효과는 이미 환기율이 거주자가 원하는 만큼 높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 더 이상의 환기는 냉난방 비용을 증가시킨다. 또, 어떤 환기장치는 실내 기압을 낮춤으로써 라돈의 유입을 증가시키기도 한다.
(e) 필터나 실내공기의 유동을 높여 라돈 자손 입자들의 부착을 증가시킴으로써 공기 중 라돈 자손의 농도를 감소시킨다.
(8) 참고문헌
http://www.dicer.org/Webzine/html/05_main5.htm
http://itrs.hanyang.ac.kr/rad_pro/Rn/measure.htm
http://www.juganphila.com/real_197.html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