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 상품성 영화의 상품 미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비 상품성 영화의 상품 미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독립영화

(1) 독립영화란?

1.자본

2)컬트영화

(1) 컬트영화란?

(2) 컬트영화의 발생원인

(3) 컬트영화 작품들

3)실험영화

(1)실험영화란?

영화에서의 상품성과 매니아


(1) 영화와 TV드라마는 왜 보는가?

(2) 영화와 TV드라마의 상품화 가능성


(3) 영상매체의 발달


(4) 한국영화의 열풍


(5) TV드라마의 매니아 열풍

본문내용

드라마 매니아열풍에 대해 살펴보겠다.
팬덤 현상이라 볼 수 있는 이 매니아 열풍은 대중 스타뿐 아니라 특정드라마, 영화를 비롯해 그 대상이 매우 다양해졌다. 그 예로 작년여름을 뜨겁게 달궜던 다모 열풍을 보면, 시청률 면에서 그다지 높지 않았던 성적임에도 불구하고, 다모를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그 열풍을 대단했다. 다모폐인들의 적극적인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활동과 홍보 속에서 드라마 종영 후에도 그 열기는 식을 줄 몰랐다. 그리고 지금도 많은 드라마의 매니아 열풍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몇 가지 예로 애호장금, 발리폐인, 불새리안 등이 있다.
이러한 성숙한 매니아 열풍의 팬덤 문화가 대중문화 전체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인 측면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결 론
하우크의 상품미학은 상품자체의 사용가치보다는 교환가치, 즉, 자본의 획득만을 추구하여 일반 대중들은 상품의 화려한 외관에 현혹되어 진정한 공동체나 현실의 모습을 망각하고 상품의 단순한 미적 갈망에 빠져들게 되어 충동구매, 물신 숭배 등이 정체성과 자기 분열을 유발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물론 영화의 흥행요소인 파괴, 섹스, 교활, 얄팍, 부드러움, 상큼함, 깔끔 등의 자극들은 인간의 감각 둔화와 사고의 정지를 도출시키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인간들은 권태와 나태의 삶과 인간성의 상실을 낳고 있다.
또한 단순히 영화의 흥행 요소에 따라 소비자들은 그 상품을 선호하며 예술적이나 디자인적인 가치가 없는 것 마저 영화와 배우
라는 상품미로 포장되어 그 가치를 존중하고 최고의 미적 가치로 인정하고 있다.
앞에서 영화와 TV드라마를 왜 보느냐의 설문내용에서 소외감을 줄이고 화젯거리를 얻는다는 것이 나왔다. 그것은 즉, 사람들이 많이 보고, 많이 본다는 것은 그만큼 매체는 많은 사람들에게 노출되어 있다는 것이다. 영화와 TV드라마가 상품화 될 수 있는 것도 매체의 영향력이 크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이렇게 막대한 영향력을 지닌 매체인 영화와 TV드라마가 대중에게 주는 효과란 반드시 긍정적인 것이라고 할 수는 없기 때문에 우리가 그것들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의 판단력 문제는 굉장히 중요하다. 또한 영화와 드라마의 제작자는 보는 사람들에게 미칠 영향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이렇듯 양쪽모두의 노력에 의해 모두가 유익한 매체가 될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영상매체가 가져온 축복 속에서 우리는 그 막대한 영향력을 잘 활용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7.03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92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