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도라던컨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사도라던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이사도라 던컨의 일대기
이사도라 던컨과 발레, 현대 무용과의 관계
무용의 역사
이사도라 던컨이 발레에 끼친 영향

본문내용

품을 위하여 그는 작곡가 조르주 지페르(Ceorges Szyfer)에게 리듬을 지시했다. 그러나 실제로 발레의 해방은 헛된 일이었다. 그 이유는 음악이 타악기의 리듬으로까지 단순화되었으나 음악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안무가에게 있어서 음악에 의한 속박은 참을 수 없는 것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안무가의 오만한 명령에 의한 창작 행위가 문제가 되면 작곡가도 이에 반발하게 된다. 그렇다면 그 어떤 굴종도 없이 자유롭게 협력하려면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안무를 할 때 작곡자가 곁에 있든 없든 그의 의도를 결코 배반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미셀 데콩베(Michel Descombey, 1930- )의 예를 들어 보자. 그에게 있어서 발레의 구상은 에피소드거나 또는 이미 만들어진 음악에서거나 간에 가능한 것이다. 전자의 경우에는 에피소드에 적절한 음악을 골라야 하며, 후자의 경우에는 선택한 음악의 분위기에 맞추어 주제가 결정되지 않으면 안 된다. 데콩베가 프랑크 마르틴의 악곡에 바탕을 두고 구성한 "협주교향곡"은 바로 이 경우였다. 그 주제는 "고독, 타인의 거절"이었다. 곡의 리듬과 음향의 다양함에 의해서 안무가는 자기의 안무 구성에 적합한 형식을 찾아 낼 수 있었다. 그는 오케스트라와 몇 사람의 독주자의 짜맞춤, 또는 서로 다른 그룹끼리의 짜맞춤에 의해서 제공되는 가능성을 이용한 협주곡 형식을 택했다. 데콩베는 테이프레코더를 사용함으로써 음악의 각부분을 옮겨 다닐 수 있어 일의 진행에 도움을 얻었다. 리듬의 충동을 느끼게 하기 위하여 몇 차례나 동일한 시퀀스를 되풀이해서 들을 수 있었다. 이렇게 하여 만들어진 작품을 무용수들에게 전했으며 함께 완전함을 추구했다.
춤을 악곡에 한 치의 빈틈도 없이 맞추기위해서든, 무용에 의해서 악곡을 시각화하기 위해서이든, 19세기의 어리석음을 되풀이하지 않고 음악에 리듬을 받쳐주는 역할을 계속 부여하면서 무용을 음악으로 부터 독립시키기 위하여 온갖 시도가 행해졌다. 무대 미술과 의상만이 아니라 줄거리나 안무에 대관해서도 장 콕토의 교시을 염두에 두었다. 롤랑 프티(Roland Petit)가 연출한 발레 "젊은이와 죽음 Le Jeune Homme et ls Mort"은 연습할 때는 싱코페이션 리듬의 재즈에 맞추어 추었으나, 초연 당일에는 무용수들에게 바흐의 "파사칼리아"에 맞추어 추라고 했다. 이러한 사실이 뜻하는 바는 발레가 이미 독자적인 리듬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뜻하는 것이다.
발란신은 음악각 곡을 만들고 화가가 그림의 배치를 하도록 하고 자신의 안무를 구성하는 방법을 택했다. 이는 롤랑 프티와는 대조적인 방법이다. 발란신은 동작의 하나 하나에 참다운 중요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그의 안무의 구조는 음열음옴악과 완전하게 부합하고 있었다. 그러나 스트라빈스키와 함께 일을 했을 때의 그의 방법에 대해서는 어떻게 말해야 좋을까? 두 사람은 "오르페우스"를 제작하면서 19세기의 모든 안무가나 작곡가처럼 시간을 정해 놓고 한 장면을 마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재었던 것이다.
현대 무용의 또 한 사람의 인물 모리스 베자르(Maurice Bejart)는 더없이 음악을 사랑하는 인물이었다. 그는 "내가 음악을 듣는 것은 음악이 나의 인생의 뼈대를 상징하고 있기 때문이다"고 말한다. 아마도 베자르는, 다른 누구보다도 무용은 어느 한 순간의 반영이며 그 순간이 지나면 시대에 뒤지게 된다는 것을 알고 있었던 것이다. 그는 자기의 작품이 순식간에 뒤쳐져 버리고 자기 이외의 누군가가 그 작품에서 새로운 견해를 갖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러시아 발래단이 발표했던 판을 개정한 베자르의 "봄의 제전"은 존 노이마이어(John Neumeier)가 최신 초연한 판에 의해 그 지위를 위협받았던 것이다.
베자르에게 무용이 다른 음향적 환경 속에서도 고찰의 대상이 될 수 있었던 것은 이사도라 던컨 덕분이었다. 만약 베베른이 춤을 알고 그것을 애호했더라면, 그는 안무에 관한 일을 이해하고 자기가 그의 음악에 안무하는 것을 동의해 주었을 것이라고 베자르가 말한 적이 있다. 베자르가 사용하는 음악은 분단되거나 무관계하고 때때로 무모한 개입에 의해서 돌연 중단되기도 한다. 대개의 경우 음악은 보족적인 시각적 정보를 얻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베자르는 춤을 위하여 만들지 않은 곡에서 음악의 풍부한 시각화가 될 수 있는 작품을 구상하고 있었다. 그는 "한 남자만을 위한 교향곡"(피에르 세페르와 퍼에르 앙리의 합작)의 기하학적 구조에 경탄했다. 퍼에르 욜레즈의 "주인없는 망치"나 "플리 슬롱 플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였다. 모리스 베자르에게 발레란 음악에 대한 최대의 이해가 있음으로써 비로소 성립될 수 있는 것이었다.
그는 안무의 리듬상 또는 표현상의 몇 가지 자유가 허용된다 하더라도 음악은 춤을 받쳐주는 것으로서 가치가 있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항상 음악을 매우 자유롭게 선택하였다. 퍼렌체에서 초연하기 위해 위촉된 발레 "승리 I trionfi"를 위하여 베리오와 공동으로 작업을 했다. 이 곡은 이러한 조건하에 씌어진 최초의 역사적 사례일 것이다.
6.결론
춤과 음악의 관계는 음악의 출발과 연관되는 뿌리 깊은 문제를 제기한다. 그러나 지금 우리가 다루고 있는 17세기 오페라 무대에서 부터 19세기의 독립된 발레와 20세기의 실험적인 무대 공연은 모두 관객과 무대가 극장식으로 분리된 상황에서 공연 가능한 예술 형식이다. 현대적인 용어로 말하자면 무대 공연 예술 형식을 갖춘 것이다. 상업적 공연 예술로서의 발레가 앞으로 새로운 작품을 생산하게 될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있다.
또한 유럽 문화권이 아닌 다른 나라에서 발레가 자국의 예술 형식이 될 것인가에 대해서도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발레의 자국화가 그리 쉬운 문제가 아니라는 사실은 발레 무용수의 훈련을 생각해 보면 알 수 있다. 영국 프랑스 러시아를 제외한 다른 나라에서 발레리노와 발레리나를 육성할 수 있을가에 대한 대답은 그리 간단하지 않기 때문이다. 오페라가 그러하듯 발레 역시 17세기 이후 유럽의 문화가 남긴 걸작품을 상연하는 것이 주가 되는 예술 형식으로 남을 가능성이 높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4.07.08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98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