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정권진(적벽가)
송순섭(적벽가)
송순섭(적벽가)
본문내용
탄식하는 모습을 그린 대목
중몰이
52
목움출이 제 몸이 그리된 까닭을 조조에게 말하는 대목
잦은몰이
53
조조의 군사들이 탄식하며
화용도로 들어가는 대목
진양조
42
조의 군사들이 탄식하며
화용도로 들어가는 대목
중머리
정권진(적벽가)
송순섭(적벽가)
54
화용도의 좁은 길에 관우가
매복해 있다가 조조의 군사에게 달려드는 대목
잦은몰이
43
화용도의 좁은 길에 관우가
매복해 있다가 조조의 군사에게 달려드는 대목
자진머리
44
정욱이 조조로 하여금 관우에게 빌기를 권하는 대목
중머리
55
조조가 무기를 버리고 관우에게 살려달라고 비는 대목
중몰이
45
조조가 무기를 버리고 관우에게 살려달라고 빌지만 관우는 그에게 진 빚이 없다고 말하는 대목
중머리
56
관우가 조조의 말과는 달리
그에게 진 빚이 없음을 설명하는 대목
중몰이
46
조조가 지난날의 은혜를 들먹이며 관우에게 살려달라고 비는 대목
중중머리
47
관우가 지난날의 은혜는 예전에 갚았다고 말하며 조조의 목을 베려는 대목
중머리
48
관우가 조조를 살려주려 하자 안된다며 주창이 조조를 죽이려는 대목
자진머리
57
조조가 다시 관우에게 목숨을
비는 대목
중몰이
49
조조가 다시 관우에게 목숨을
비는 대목
중머리
58
‘적벽가’의 맨 끝 뒤풀이로서 공명의 재주와 관우의 덕을 기리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어느 마당에서나 엇중모리 장단에 평조로 되는 것이 원칙이다.
엇중몰이
50
적벽가’의 맨 끝 뒤풀이로서 공명의 재주와 관우의 덕을 기리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어느 마당에서나 엇중모리 장단에 평조로 되는 것이 원칙이다.
엇중모리
판소리의 이해
(적벽가)
중몰이
52
목움출이 제 몸이 그리된 까닭을 조조에게 말하는 대목
잦은몰이
53
조조의 군사들이 탄식하며
화용도로 들어가는 대목
진양조
42
조의 군사들이 탄식하며
화용도로 들어가는 대목
중머리
정권진(적벽가)
송순섭(적벽가)
54
화용도의 좁은 길에 관우가
매복해 있다가 조조의 군사에게 달려드는 대목
잦은몰이
43
화용도의 좁은 길에 관우가
매복해 있다가 조조의 군사에게 달려드는 대목
자진머리
44
정욱이 조조로 하여금 관우에게 빌기를 권하는 대목
중머리
55
조조가 무기를 버리고 관우에게 살려달라고 비는 대목
중몰이
45
조조가 무기를 버리고 관우에게 살려달라고 빌지만 관우는 그에게 진 빚이 없다고 말하는 대목
중머리
56
관우가 조조의 말과는 달리
그에게 진 빚이 없음을 설명하는 대목
중몰이
46
조조가 지난날의 은혜를 들먹이며 관우에게 살려달라고 비는 대목
중중머리
47
관우가 지난날의 은혜는 예전에 갚았다고 말하며 조조의 목을 베려는 대목
중머리
48
관우가 조조를 살려주려 하자 안된다며 주창이 조조를 죽이려는 대목
자진머리
57
조조가 다시 관우에게 목숨을
비는 대목
중몰이
49
조조가 다시 관우에게 목숨을
비는 대목
중머리
58
‘적벽가’의 맨 끝 뒤풀이로서 공명의 재주와 관우의 덕을 기리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어느 마당에서나 엇중모리 장단에 평조로 되는 것이 원칙이다.
엇중몰이
50
적벽가’의 맨 끝 뒤풀이로서 공명의 재주와 관우의 덕을 기리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어느 마당에서나 엇중모리 장단에 평조로 되는 것이 원칙이다.
엇중모리
판소리의 이해
(적벽가)
추천자료
춘향전에 대한 북한의 가치평가
춘향전 연구분석
동편제의 명창 강도근
고전 소설의 유형
한국문학의 갈래 구분
한국 영화를 대표하는 임권택 감독
고전소설과 현대희곡의 상관성
[국어, 교양국어] 교양국어 요약정리 서브노트
세련된 하층비극 문학의 대두와 그 특수성 - 변강쇠가-의 비극성
[국어, 교양국어] 교양국어 요약정리 서브노트
[심청전][심청전 근원][심청전 배경사상][심청전 줄거리][심청전 주제][심청전 희극성]심청전...
2012년 1학기 구비문학의세계 기말시험 핵심체크
[고전문학 교육론] 사회적 삶을 고려한 ‘민요’ 배우기 - 시집살이 노래를 중심으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