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평화와 예루살렘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머리말

II. 팔레스타인 자치원칙 선언과 그 집행
1. 팔레스타인 자치원칙 합의의 배경
2. 팔레스타인 자치의 단계적인 집행과정

III. 동 예루살렘을 둘러싼 두 민족간의 다툼
1. 이스라엘의 동 예루살렘 합병과 유대화 정책
2. 팔레스타인 민족의 동 예루살렘 정책

IV. 동 예루살렘의 장래에 대한 전망

본문내용

때 그 한계는 좀더 분명해진다. 만약 팔레스타인 민족이 일정 수준의 양보와 타협에 만족하지 않고 과격하게 극단적으로 이스라엘을 밀어붙인다 면두 민족간의 화해와 공존의 꿈은 무산될 것이며, 다시 옛날의 분쟁 상태로 되돌아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평화의 도시' 예루살렘은 궁극적으로 예수님이 재림하실 때만이 완전한 평화의 도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1998.8.19]
참고문헌
Abed. G.7, 1992, "The Palestinians in the Peace Process: The Risks and the Opportunities, JPS(Journal of Palestine Studies) 22/1, 5-17
Mansour C, 1993, "The Palestinian-Israel : Peace negotiations: An Overview and Assessment", JPS 22/3, 5-31
Rouleau. R, 1993, "Eric Rouleau Talks about the Peace Process and Political Israel", JPS 22/4, 45-61.
Glaobach-gal. E, JERUSALEM - the Permanent Settlement, Miskal - Yediot Aharonot Books and Chemed Books, Tel Aviv, 1996. (Hebrew)
Sharkansky. I, Policy Making in Israel,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Pittsburgh, 1997, pp.115-147.
  • 가격4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07.09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00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