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
1. 빛
2. 발광의 방법
3. 측광량 과 단위
4. 형광등의 기초
*** 1. 발광의 방법 ***
가. 열방사
(1) 온도 방사
(2) 물체내부의 원자, 분자, 이온등의 열진동에 의한 방사에너지가 방출되는 현상
(3) 400℃정도에서 암적색, 고온으로 하면 적열상태를 지나서, 백색으로 보여지 도록한다. 이 상태를 백열이라고 한다.
나. 루미네슨스 - 열방사 이외의 방사
(1) 냉광(온도를 느낄수 없는 빛)이라고도 한다.
(2) 인광과 형광으로 구별
(3) 전기 루미네슨스, 방사 루미네슨스, 초루미네슨스, 음극 루미네슨스
3. 측광량 과 단위
가.광속
눈으로 느낄 수 있는 범위의 방사속(380-780 (nm))만 단위시간당 빛의 양으로써 측정한 것이며, 단위는 (lm)이다.
나.조도
물체에 광속이 투사되어 밝아진 면의 정도를 나타낼 때 "조도"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조도의 단위는 룩스(lx)로 이것은 1㎡ 에 1lm의 광속이 입사할 때의 조도이다.
다. 휘도
광원을 보면 그 면은 빛나 보이며 밝게 되어 있는 면을 보아도 또는 반투명의것을 반대측에서 보아도 밝게 보인다. 이와 같은 밝기가 휘도이다. 휘도의 단위는 Cd/㎡ =스틸브(sb) 및 니트(nt)가 사용 된다.
1. 빛
2. 발광의 방법
3. 측광량 과 단위
4. 형광등의 기초
*** 1. 발광의 방법 ***
가. 열방사
(1) 온도 방사
(2) 물체내부의 원자, 분자, 이온등의 열진동에 의한 방사에너지가 방출되는 현상
(3) 400℃정도에서 암적색, 고온으로 하면 적열상태를 지나서, 백색으로 보여지 도록한다. 이 상태를 백열이라고 한다.
나. 루미네슨스 - 열방사 이외의 방사
(1) 냉광(온도를 느낄수 없는 빛)이라고도 한다.
(2) 인광과 형광으로 구별
(3) 전기 루미네슨스, 방사 루미네슨스, 초루미네슨스, 음극 루미네슨스
3. 측광량 과 단위
가.광속
눈으로 느낄 수 있는 범위의 방사속(380-780 (nm))만 단위시간당 빛의 양으로써 측정한 것이며, 단위는 (lm)이다.
나.조도
물체에 광속이 투사되어 밝아진 면의 정도를 나타낼 때 "조도"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조도의 단위는 룩스(lx)로 이것은 1㎡ 에 1lm의 광속이 입사할 때의 조도이다.
다. 휘도
광원을 보면 그 면은 빛나 보이며 밝게 되어 있는 면을 보아도 또는 반투명의것을 반대측에서 보아도 밝게 보인다. 이와 같은 밝기가 휘도이다. 휘도의 단위는 Cd/㎡ =스틸브(sb) 및 니트(nt)가 사용 된다.
본문내용
조명공학의 기초
1. 빛
- 눈에 들어와 밝음 감각을 발생시키는 파장 범위
- 단위는 통상 nm (nanometer=10E-9m)이다.
2. 발광의 방법
가. 열방사
(1) 온도 방사
(2) 물체내부의 원자, 분자, 이온등의 열진동에 의한 방사에너지가 방출되는 현상
(3) 400℃정도에서 암적색, 고온으로 하면 적열상태를 지나서, 백색으로 보여지 도록한다. 이 상태를 백열이라고 한다.
나. 루미네슨스 - 열방사 이외의 방사
(1) 냉광(온도를 느낄수 없는 빛)이라고도 한다.
(2) 인광과 형광으로 구별
(3) 전기 루미네슨스, 방사 루미네슨스, 초루미네슨스, 음극 루미네슨스
3. 측광량 과 단위
가.광속
눈으로 느낄 수 있는 범위의 방사속(380-780 (nm))만 단위시간당 빛의 양으로써 측정한 것이며, 단위는 (lm)이다.
나.조도
물체에 광속이 투사되어 밝아진 면의 정도를 나타낼 때 "조도"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조도의 단위는 룩스(lx)로 이것은 1㎡ 에 1lm의 광속이 입사할 때의 조도이다.
다. 휘도
광원을 보면 그 면은 빛나 보이며 밝게 되어 있는 면을 보아도 또는 반투명의것을 반대측에서 보아도 밝게 보인다. 이와 같은 밝기가 휘도이다. 휘도의 단위는 Cd/㎡ =스틸브(sb) 및 니트(nt)가 사용 된다.
4. 형광등의 기초
가.형광 램프의 개요
형광램프는 백열전구와 같이 조명광원의 주역으로 실용적인 안정기가 들어 있으며, 고속 자동화와의 양산 기계시스템으로 설비되어 장치공업의 하나로 대표적인 예가 되고 있다. 형광램프는 백열전구와 달리 별도의 점등장치를 필요로 하는 결점이 있지만
(1) 효율이 높고
(2) 빛이 확산광이어서 부드럽다.(휘도가 낮다)
(3) 선광원으로 빛의 분포가 일정하다.
(4) 여러가지 광색을 얻을 수 있다.
(5) 열방사가 적다.
(6) 수명이 길다는 우수한 특징을 갖고 있다.
1. 빛
- 눈에 들어와 밝음 감각을 발생시키는 파장 범위
- 단위는 통상 nm (nanometer=10E-9m)이다.
2. 발광의 방법
가. 열방사
(1) 온도 방사
(2) 물체내부의 원자, 분자, 이온등의 열진동에 의한 방사에너지가 방출되는 현상
(3) 400℃정도에서 암적색, 고온으로 하면 적열상태를 지나서, 백색으로 보여지 도록한다. 이 상태를 백열이라고 한다.
나. 루미네슨스 - 열방사 이외의 방사
(1) 냉광(온도를 느낄수 없는 빛)이라고도 한다.
(2) 인광과 형광으로 구별
(3) 전기 루미네슨스, 방사 루미네슨스, 초루미네슨스, 음극 루미네슨스
3. 측광량 과 단위
가.광속
눈으로 느낄 수 있는 범위의 방사속(380-780 (nm))만 단위시간당 빛의 양으로써 측정한 것이며, 단위는 (lm)이다.
나.조도
물체에 광속이 투사되어 밝아진 면의 정도를 나타낼 때 "조도"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조도의 단위는 룩스(lx)로 이것은 1㎡ 에 1lm의 광속이 입사할 때의 조도이다.
다. 휘도
광원을 보면 그 면은 빛나 보이며 밝게 되어 있는 면을 보아도 또는 반투명의것을 반대측에서 보아도 밝게 보인다. 이와 같은 밝기가 휘도이다. 휘도의 단위는 Cd/㎡ =스틸브(sb) 및 니트(nt)가 사용 된다.
4. 형광등의 기초
가.형광 램프의 개요
형광램프는 백열전구와 같이 조명광원의 주역으로 실용적인 안정기가 들어 있으며, 고속 자동화와의 양산 기계시스템으로 설비되어 장치공업의 하나로 대표적인 예가 되고 있다. 형광램프는 백열전구와 달리 별도의 점등장치를 필요로 하는 결점이 있지만
(1) 효율이 높고
(2) 빛이 확산광이어서 부드럽다.(휘도가 낮다)
(3) 선광원으로 빛의 분포가 일정하다.
(4) 여러가지 광색을 얻을 수 있다.
(5) 열방사가 적다.
(6) 수명이 길다는 우수한 특징을 갖고 있다.
추천자료
pQE-gfp PROTEIN의 CHARACTERIZATION (역가측정)
교수매체 활용전략 Top ten list
[인터넷][인터넷관련법][인터넷활용][온라인][사이버][가상공간][웹]인터넷의 역사, 인터넷관...
인테리어에서의 가구에 대한 이해
[운동과 건강] 스트레스의 원인과 운동처방
LED 에 관하여
장애인의 어려움과 해결 방안 탐색
풍력에너지
청계천 복원사업 계획에 관한 연구
[리모델링][리모델링시장][건축물]리모델링시장의 중요성, 리모델링시장의 동향, 리모델링시...
[실과교육][팀티칭][창의성교육]실과교육의 특성, 실과교육의 목적, 실과교육과 팀티칭, 실과...
국제 및 한국 민생부문별 에너지소비 현황
[전자회로][회로][브리지]전자회로의 역사, 전자회로의 부가조건, 전자회로의 해석, 브리지(...
주거환경학 - 자연채광이 잘된 건축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