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장애인의 어려움과 해결 방안 탐색
1. 시각장애인의 어려움과 해결방안
1) 시각 장애인의 어려움
2) 해결방안
<사례1>
<사례 2>
2. 청각장애인의 어려움과 해결방안
1) 청각 장애인의 어려움
2) 해결방안
<사례1>
<사례 2>
3. 지적장애인의 어려움과 해결방안
1) 지적 장애인의 어려움
2) 해결방안
<사례1>
<사례 2>
4. 지체장애인의 어려움과 해결방안
1) 지체 장애인의 어려움
2) 해결방안
<사례1>
<사례 2>
<사례 3>
1. 시각장애인의 어려움과 해결방안
1) 시각 장애인의 어려움
2) 해결방안
<사례1>
<사례 2>
2. 청각장애인의 어려움과 해결방안
1) 청각 장애인의 어려움
2) 해결방안
<사례1>
<사례 2>
3. 지적장애인의 어려움과 해결방안
1) 지적 장애인의 어려움
2) 해결방안
<사례1>
<사례 2>
4. 지체장애인의 어려움과 해결방안
1) 지체 장애인의 어려움
2) 해결방안
<사례1>
<사례 2>
<사례 3>
본문내용
앉아 있는 사람은 프린터의 배치 때문에 인쇄된 것에 미칠 수 없다.
② 해결 방안
- 제시되는 화면을 어떤 높이에서라도 볼 수 있도록 그 높이가 조정될 수 있게 한다.
- 의자차에 앉아 있는 사람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인쇄된 것을 놓는다.
- “도달하기 및 쥐기” 보조기를 사용하여 안쇄된 것을 조작하도록 촉진한다.
- 시각적 디스플레이에 대한 물리적 접근이 의자차에 앉아 있는 사람에게 허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시각적 디스플레이 외에 여분의 청각 출력을 제공한다.
③ 제작 지침: 시각적 출력을 시야 내에서 보거나 인쇄된 것에 다다를 수 있는 사람의 수를 극대화 한다.
<사례 2>
① 문제점: 간질과 같은 발작 민감성 체질의 사람은 화면의 커서 또는 명멸하는 자극에 의하여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제시 화면 앞 또는 가까이에서 작업하는 동안 발작이 더 많이 일어날 수 있다.
② 해결 방안: 발작 행동을 유발시키기 쉬운 주파수대의 섬광이 나타나거나 깜빡임이 있는 화면을 사용하지 않게 한다.
③ 제작 지침: 발작을 일으키지 않고 출력 디스플레이를 볼 수 있는 사람의 수를 극대화한다.
<사례 3>
① 문제점: 제어장치, 글쇠판 등에 닿지 못하거나 그것들을 사용할 수 없다.
- 의자차를 사용하는 사람, 매우 약하거나 극단적으로 키가 작은 사람은 제어장치, 키 패드 등을 충분히 사용할 수 있을 만큼 그것들에 닿을 수 없다.
- 운동 조정 능력이 열악한 사람은 제어 장치에 닿을 수는 있지만, 그것들이 너무 작거나 서로 서로 너무 가까이 있기 때문에 손잡이, 버튼 등을 정확하게 조작할 수 없다.
- 중증의 허약자는 제어 장치에 닿을 수는 있지만, 제어장치를 조작하기 위하여 뻗치고 있거나 쥐고 있는 자세를 취하기가 너무 힘들기 때문에 조작할 수 없다.
② 해결 방안
- 의자차에 앉아 있거나 손이나 발 등을 뻗치는 데 제한이 있는 사람이라도 제어 장치, 글쇠판 등에 쉽게 도달할 수 있도록 그것들을 사용자 가까이 놓는다.
- 제어 장치를 사용자가 신체의 위치 변화를 최소화하면서 제어판에 닿거나 그것을 사용할 수 있게 놓는다.
- 제어 장치를 사용자가 최근접 거리에서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놓는다. 또한, 사용자의 팔이나 손목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 음성 재인을 통한 입력 선택 사양을 제공한다.
- 유선 또는 무선의 원격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3) 제작 지침: 제어 장치에 닿는 사람의 수를 극대화한다.
② 해결 방안
- 제시되는 화면을 어떤 높이에서라도 볼 수 있도록 그 높이가 조정될 수 있게 한다.
- 의자차에 앉아 있는 사람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인쇄된 것을 놓는다.
- “도달하기 및 쥐기” 보조기를 사용하여 안쇄된 것을 조작하도록 촉진한다.
- 시각적 디스플레이에 대한 물리적 접근이 의자차에 앉아 있는 사람에게 허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시각적 디스플레이 외에 여분의 청각 출력을 제공한다.
③ 제작 지침: 시각적 출력을 시야 내에서 보거나 인쇄된 것에 다다를 수 있는 사람의 수를 극대화 한다.
<사례 2>
① 문제점: 간질과 같은 발작 민감성 체질의 사람은 화면의 커서 또는 명멸하는 자극에 의하여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제시 화면 앞 또는 가까이에서 작업하는 동안 발작이 더 많이 일어날 수 있다.
② 해결 방안: 발작 행동을 유발시키기 쉬운 주파수대의 섬광이 나타나거나 깜빡임이 있는 화면을 사용하지 않게 한다.
③ 제작 지침: 발작을 일으키지 않고 출력 디스플레이를 볼 수 있는 사람의 수를 극대화한다.
<사례 3>
① 문제점: 제어장치, 글쇠판 등에 닿지 못하거나 그것들을 사용할 수 없다.
- 의자차를 사용하는 사람, 매우 약하거나 극단적으로 키가 작은 사람은 제어장치, 키 패드 등을 충분히 사용할 수 있을 만큼 그것들에 닿을 수 없다.
- 운동 조정 능력이 열악한 사람은 제어 장치에 닿을 수는 있지만, 그것들이 너무 작거나 서로 서로 너무 가까이 있기 때문에 손잡이, 버튼 등을 정확하게 조작할 수 없다.
- 중증의 허약자는 제어 장치에 닿을 수는 있지만, 제어장치를 조작하기 위하여 뻗치고 있거나 쥐고 있는 자세를 취하기가 너무 힘들기 때문에 조작할 수 없다.
② 해결 방안
- 의자차에 앉아 있거나 손이나 발 등을 뻗치는 데 제한이 있는 사람이라도 제어 장치, 글쇠판 등에 쉽게 도달할 수 있도록 그것들을 사용자 가까이 놓는다.
- 제어 장치를 사용자가 신체의 위치 변화를 최소화하면서 제어판에 닿거나 그것을 사용할 수 있게 놓는다.
- 제어 장치를 사용자가 최근접 거리에서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놓는다. 또한, 사용자의 팔이나 손목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 음성 재인을 통한 입력 선택 사양을 제공한다.
- 유선 또는 무선의 원격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3) 제작 지침: 제어 장치에 닿는 사람의 수를 극대화한다.
추천자료
[특수교육의 지도, 특수교육] 특수교육의 지도원리와 지도방법 및 특수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특수교육]장애아동(특수아동)부모교육의 필요성, 장애아동(특수아동)부모교육의 역할과 장애...
[제7차특수학교교육과정][특수교육]제7차 특수학교교육과정의 목표, 제7차 특수학교교육과정...
[치료특수][치료교육]치료특수교육(치료교육)의 배경, 치료특수교육(치료교육)의 분류와 치료...
[특수교육]제7차 특수학교교육과정의 배경, 제7차 특수학교교육과정의 특징, 제7차 특수학교...
제7차 특수학교교육과정의 배경, 특성, 성격, 제7차 특수학교교육과정의 지역수준교육과정, ...
[특수교육]제7차 특수학교교육과정의 특징, 제7차 특수학교교육과정의 교수지도, 제7차 특수...
[특수학교교육과정]특수학교교육과정의 목표와 방향, 특수학교교육과정의 개정과 추구하는 인...
전환교육(직업, 특수교육)의 개념, 전환교육(직업, 특수교육)의 중요성, 전환교육(직업, 특수...
[특수교육][특수체육][특수체육 가치][특수체육 부모참여][특수체육 지도원리]특수교육의 개...
[특수교육보조원]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 특수교육보조원의 법적근거, 특수교육보조원의 운영...
우리나라 유아특수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유아특수교육의 개념, 필요성, 유아특수교육의 현황...
(2015 특수아교육A형) 우리나라 유아 특수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하여 객관적 자료(최근 ...
특수아교육 B형-특수아에 대한 법적法的,학문적 정의를 제시하고,최근 어떠한 방향에서의 특...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