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조의 [빈상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건적 잔재에서 벗어나지 못한 일면이 보이기도 하며, 이 작품의 주역인 여성들에 대한 여성관도 전통적 미덕을 강조하여 구소설적 요소를 보이기도 한다.
셋째, 근대적 각성은 신결혼관과 해외유학을 포함한 과도기적 시대상을 통하여 복합적으로 집약되어 나타내고 있다.
해외유학은 현실도피를 위한 유학이라는 점이 특기할 만하다.
과도기적 시대상은 부패한 관리를 사회 고발하는 것과 근대적 재판형식을 통해서 억울한 일을 해결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넷째, 「빈상설」은 '축첩으로 인한 가정비극'을 제재로 하면서 축첩제도에 대한 근대적 비판의식의 발로라고 할 수 있다.
) 李龍男, 「韓國近代文學과 作家意識」, 1997, pp.38∼39.
위의 정리를 살펴보면 「빈상설」은 구소설적 잔재가 남아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것만으로 「빈상설」을 혼합에 실패한 소설로 본다는 것은 많은 신소설적 요소들이 그 자리를 잃어간다. 이 작품에 나온 신소설적 요소들은 단순히 구소설에 혼합이 잘못된 불순물이 아니라 구소설의 전통적 윤리관속에서도 근대적 정신의 각성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보여줘야 하는지 잘 나타내는데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참고문헌
李龍男, 「李海朝와 그의 作品世界」, 동성사, 1986.
李龍男, 「韓國近代文學과 作家意識」, 국한자료원, 1997.
宋敏鎬, 「韓國開化期小說의 史的 硏究」, 일지사, 1975.
이용남외, 「한국개화기소설 연구」, 태학사, 2000.
강인숙, 「한국근대소설 정착과정연구」, 박이정, 1999.
이해조, 「빈
상설」, 『한국개화기문학총서』(신소설·번안소설편 권1), 아세아문학사, 1978.
  • 가격4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07.15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07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