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수립
⊙ 수립과정
⊙ 정부형태
⊙ 정부조직
⊙ 지도이념
⊙ 임시정부의 활동
⊙ 재정 및 홍보
⊙ 독립전쟁
⊙ 느낀점
⊙ 임시정부 활동 연표
⊙ 수립과정
⊙ 정부형태
⊙ 정부조직
⊙ 지도이념
⊙ 임시정부의 활동
⊙ 재정 및 홍보
⊙ 독립전쟁
⊙ 느낀점
⊙ 임시정부 활동 연표
본문내용
동의 통할 기구로서의 구실을 일정하게 담당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임시정부는 끝내 연합국으로부터 공식 승인은 받지 못하였다.
또 이승만의 부정행위와 비리와 같은 행위는 임시정부가 '정부'라는 이름에 걸맞게 전체 민족운동을 지도할 수 있는 역량을 발휘하지 못하는 상황이 이어지게 만들었고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일개 독립운동 단체로 전락해 버리게 만드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
하지만,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최초의 민주공화제 정부로 애국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그것만으로도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대한 민국의 독립을 위해 여러 활동을 하였고 실패한 것도 있었지만 여러 성과를 거두었다. 비록 상해에 세워졌고 임시정부였지만 한국 독립의 발전의 근거가 되고 대한민국 건국의 정신적, 사상적 기반이 되었다.
⊙ 임시정부 활동 연표
1919년 3월 1일 3.1운동
1919년 3월 21일 露領 대한민국 의회 수립
1919년 4월 10일 - 11일 상해에서 제1회 임시의정원 회의 개최 /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919년 4월 23일 한성(漢城)정부 수립(서울)
1919년 5월 파리 강화회의에 공고서 제출
1919년 5월 東三城 安東에 교통국 안동지국 설치
1919년 7월 12일 임시史料 조사편찬부 설치
1919년 7월 10 聯通制 실시
1919년 8월 18일 부터 제6차 임시의정원 회의에서
1919년 9월 17일 까지 임시정부 통합, 대한민국 임시헌법제정(대통령제)
1919년 9월 15일 통합 임시정부 시정일(始政日)
1919년 11월20일 國債 발행 조례 공포
1920년 1월 21일 군무부(軍務部) 포고1호 선포
1920년 10월 廣東護法政府와 외교관계 수립
1923년 1월 국민대표회의 개최
1923년 8월 陸軍駐滿參義府 설치
1925년 4월 7일 임시헌법 개정 (국무령 중심의 내각책임제)
1926년 12월 김구, 한인애국단 조직
1927년 3월 5일 임시헌법 개정 (집단지도체제)
1928년 3월 25일 한국독립당 창당
1932년 1월 8일 이봉창 의거
1932년 4월 29일 윤봉길 의거
1932년 - 1939년 임시정부 이동
1940년 9월 임시정부 重慶 이동
1940년 9월 17일 한국 광복군 창설
1941년 11월 28일 건국강령 공포
1942년 12월 9일 대일 선전포고
1945년 8월 15일 일제항복
1945년 11월 23일 임시정부 요인 1진 환국
1945년 12월 1일 임시정부 요인 2진 환국
1945년 12월 19일 임시정부 환국 환영대회 개최
▶ 참고문헌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편, {독립운동사}(임시정부편), 1972
이강훈, {대한민국 임시정부사}, 1975 서문당
유광렬 역음, {抗日宣言·倡義文集}, 1975 서문당
국사편찬위원회 편, {한민족독립운동사}
조동걸,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조직], {한국사론} 10, 1981 국사편찬위원회
강만길, {조선민족혁명당과 통일전선}, 1991 화평사
노경채, {한국독립당연구}, 1991 고려대 박사학위논문
또 이승만의 부정행위와 비리와 같은 행위는 임시정부가 '정부'라는 이름에 걸맞게 전체 민족운동을 지도할 수 있는 역량을 발휘하지 못하는 상황이 이어지게 만들었고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일개 독립운동 단체로 전락해 버리게 만드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
하지만,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최초의 민주공화제 정부로 애국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그것만으로도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대한 민국의 독립을 위해 여러 활동을 하였고 실패한 것도 있었지만 여러 성과를 거두었다. 비록 상해에 세워졌고 임시정부였지만 한국 독립의 발전의 근거가 되고 대한민국 건국의 정신적, 사상적 기반이 되었다.
⊙ 임시정부 활동 연표
1919년 3월 1일 3.1운동
1919년 3월 21일 露領 대한민국 의회 수립
1919년 4월 10일 - 11일 상해에서 제1회 임시의정원 회의 개최 /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919년 4월 23일 한성(漢城)정부 수립(서울)
1919년 5월 파리 강화회의에 공고서 제출
1919년 5월 東三城 安東에 교통국 안동지국 설치
1919년 7월 12일 임시史料 조사편찬부 설치
1919년 7월 10 聯通制 실시
1919년 8월 18일 부터 제6차 임시의정원 회의에서
1919년 9월 17일 까지 임시정부 통합, 대한민국 임시헌법제정(대통령제)
1919년 9월 15일 통합 임시정부 시정일(始政日)
1919년 11월20일 國債 발행 조례 공포
1920년 1월 21일 군무부(軍務部) 포고1호 선포
1920년 10월 廣東護法政府와 외교관계 수립
1923년 1월 국민대표회의 개최
1923년 8월 陸軍駐滿參義府 설치
1925년 4월 7일 임시헌법 개정 (국무령 중심의 내각책임제)
1926년 12월 김구, 한인애국단 조직
1927년 3월 5일 임시헌법 개정 (집단지도체제)
1928년 3월 25일 한국독립당 창당
1932년 1월 8일 이봉창 의거
1932년 4월 29일 윤봉길 의거
1932년 - 1939년 임시정부 이동
1940년 9월 임시정부 重慶 이동
1940년 9월 17일 한국 광복군 창설
1941년 11월 28일 건국강령 공포
1942년 12월 9일 대일 선전포고
1945년 8월 15일 일제항복
1945년 11월 23일 임시정부 요인 1진 환국
1945년 12월 1일 임시정부 요인 2진 환국
1945년 12월 19일 임시정부 환국 환영대회 개최
▶ 참고문헌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편, {독립운동사}(임시정부편), 1972
이강훈, {대한민국 임시정부사}, 1975 서문당
유광렬 역음, {抗日宣言·倡義文集}, 1975 서문당
국사편찬위원회 편, {한민족독립운동사}
조동걸,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조직], {한국사론} 10, 1981 국사편찬위원회
강만길, {조선민족혁명당과 통일전선}, 1991 화평사
노경채, {한국독립당연구}, 1991 고려대 박사학위논문
키워드
추천자료
이승만의 건국과 민주정부 수립과정
한국 정치문제점과 발전방안,지역감정과 정당
한국의 정치 발전방안
남북한 국가의 성립
백범일지가 나에게 가져다준것
대한민국 헌정사 건국헌법에서 9차 개정까지
한국 정치의 발전과 과제
한ㆍ일 양국간의 독도영유권 분쟁과 그 대처방안
제헌헌법 초안 비교
태극기의 유래와 역사 상징 의미 그리기 게양법
이승만 리더십 분석을 통한 바람직한 대통령 리더십 연구
[이승만 분석] 이승만의 생애, 업적과 리더십 및 이승만에 대한 평가
한국대통령(대한민국대통령) 연혁, 헌법상 권한, 한국대통령(대한민국대통령) 제도변천과정, ...
[핵심총정리] 한국사 능력검정시험 + 수능 완벽 대비(고급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