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가루가 나와 무늬가 박히게 된다. 이 무늬를 찍어내는 작업을 타초라고 한다. 이렇게 하여 타분 작업이 끝나면 그 본에 따라 채색을 입히는 일이 시작된다. 채색 작업에서는 단청 화공들이 각기 한 가지의 색을 분담하게 되는데 채색 작업에서 인원은 최소 한도로 출조한 대본에 나타난 색깔의 수에 따라서 배치하면 된다. 채색은 돼지털로 만든 붓으로 하는데 진한 색은 안쪽에, 엷은 색은 밖으로 가도록 한다.
바자휘에는 고분하고 휘의 윤곽에 묵선으로 끌채하거나 호분으로 물걷기한다.
머리초와의 계풍에는 별화를 하기도 한다.
벽화의 경우도 같은 방법으로 가칠한다. 목부의 가칠은 일반적으로 뇌록색이고 벽화의 바탕색은 정분으로 한다. 가칠한 다음에 초상하고 채화하면 단청은 끝이 난다.
시채나 채화가 끝났을 때 목부에는 동실유를 인두로 지지면서 바른다. 때로 명유나 법유를 붓으로 바르기도 하나 오동 기름을 바르는 것만 못한 방법이다.
위의 작업은 분업으로 이루어진다. 색맞추기, 면닦기, 가칠은 가칠장이 주로 맡고 화공들은 주, 록, 청, 묵, 분, 황을 각자가 한 색씩 맡아 초상에 시채하여 나간다. 화공은 운필에 있어서 목척같은 보조 용구를 이용하여 능률적이고 신속하게 한다
바자휘에는 고분하고 휘의 윤곽에 묵선으로 끌채하거나 호분으로 물걷기한다.
머리초와의 계풍에는 별화를 하기도 한다.
벽화의 경우도 같은 방법으로 가칠한다. 목부의 가칠은 일반적으로 뇌록색이고 벽화의 바탕색은 정분으로 한다. 가칠한 다음에 초상하고 채화하면 단청은 끝이 난다.
시채나 채화가 끝났을 때 목부에는 동실유를 인두로 지지면서 바른다. 때로 명유나 법유를 붓으로 바르기도 하나 오동 기름을 바르는 것만 못한 방법이다.
위의 작업은 분업으로 이루어진다. 색맞추기, 면닦기, 가칠은 가칠장이 주로 맡고 화공들은 주, 록, 청, 묵, 분, 황을 각자가 한 색씩 맡아 초상에 시채하여 나간다. 화공은 운필에 있어서 목척같은 보조 용구를 이용하여 능률적이고 신속하게 한다
추천자료
단청(丹靑)에 대하여
한국적인 디자인 단청(丹靑)에 대하여
[한국 건축 미술]한국의 단청
[목회자][목회자 역할][목회자상 역사][목회자와 교인 관계][목회사역][교회에서 목회자 비전...
[가구][가구의 의의][가구의 분류][가구의 조건][가구의 형성][가구의 발달][한국 가구의 역...
[단청][색채][조화미][전통][한국전통][단청의 의미][단청의 종류][단청의 기능][단청의 목적...
[전통문양][한국전통문양 성격][한국전통문양 분류][한국전통단청문양 종류][한국전통단청문...
단청에 관한 자세한 정리
음악과 창작학습(창작활동중심수업)의 의의와 유형, 음악과 창작학습(창작활동중심수업)의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