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신소설에서 악인의 편에 서서 그들의 적악을 돕는 종(특히 여비)의 등장은 그들 종의 신분상승 의지를 반영한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신소설의 인물설정의 방법은 평등사상이 당시의 시대사상으로 만연되고 있었다는 것과 관계가 있다. 4) 인물묘사 - 추상적 공식적인 묘사에서 차차 구체적 묘사로 전환됨을 볼 수 있으나, 한결 같이 미모의 주인공으로 묘사되고 있다. 이는 소설이 아직도 평범한 일상인일 수 없다는 전근대적 사고에서 나온 것 같다. 5) 구출자 등장 - 신소설에서도 주인공이 위기에 처하여 있을 때 어떤 형태로든지 구출자가 나타나 도와주고 있다. 구출자의 등장 형태나 성격이 고전소설과는 같다고 할 수 없지만, 그 우연성에 있어서는 동질적이라고 할 수 있다.
신소설의 인물은 고전소설의 인물과 부분적인 낙차를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요소를 유지 계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작가의 현실에 대한 인식의 결과로 인물의 다양화 평민화를 꾀하고 있으나, 완전한 성취라고 보기는 어렵다. 고전소설의 속성에서 완전 탈피하여 서구적 근대소설로 들어섰다고는 보기 어려울 것 같다.
- 참고 문헌 - 윤명구, 「개화기소설의 이해」,인하대출판부, 1986
신소설의 인물은 고전소설의 인물과 부분적인 낙차를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요소를 유지 계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작가의 현실에 대한 인식의 결과로 인물의 다양화 평민화를 꾀하고 있으나, 완전한 성취라고 보기는 어렵다. 고전소설의 속성에서 완전 탈피하여 서구적 근대소설로 들어섰다고는 보기 어려울 것 같다.
- 참고 문헌 - 윤명구, 「개화기소설의 이해」,인하대출판부, 1986
키워드
추천자료
<심훈의 소설 연구>에 관한 총체적 보고서
오정희 소설 연구
고전 소설의 주변 문예 양식
[소설창작론]상허 이태준의( `꽃나무는 심어 놓고`, `촌띄기`, `봄`, `농군`)작품에 대한 고찰
역사 군담소설
1930년대 근대소설의 발전
국문 소설의 성장과 발전
실향 소설
한국의 현대소설에 비추어진 인물의 권력양상 분석
인터넷 소설의 여성 영웅적 소재와 문화와의 관계
17세기의 한문소설 전반적인 소논문양식의 보고서 - 최척전과 운영전을 중심으로
(소설창작론)이태준의 단편 「패강냉」(패강랭)을 읽고 작품의 줄거리와 문학사적 의의에 대...
판소리계 소설(토끼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