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화기 소설의 유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신소설에서 악인의 편에 서서 그들의 적악을 돕는 종(특히 여비)의 등장은 그들 종의 신분상승 의지를 반영한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신소설의 인물설정의 방법은 평등사상이 당시의 시대사상으로 만연되고 있었다는 것과 관계가 있다. 4) 인물묘사 - 추상적 공식적인 묘사에서 차차 구체적 묘사로 전환됨을 볼 수 있으나, 한결 같이 미모의 주인공으로 묘사되고 있다. 이는 소설이 아직도 평범한 일상인일 수 없다는 전근대적 사고에서 나온 것 같다. 5) 구출자 등장 - 신소설에서도 주인공이 위기에 처하여 있을 때 어떤 형태로든지 구출자가 나타나 도와주고 있다. 구출자의 등장 형태나 성격이 고전소설과는 같다고 할 수 없지만, 그 우연성에 있어서는 동질적이라고 할 수 있다.
신소설의 인물은 고전소설의 인물과 부분적인 낙차를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요소를 유지 계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작가의 현실에 대한 인식의 결과로 인물의 다양화 평민화를 꾀하고 있으나, 완전한 성취라고 보기는 어렵다. 고전소설의 속성에서 완전 탈피하여 서구적 근대소설로 들어섰다고는 보기 어려울 것 같다.
- 참고 문헌 - 윤명구, 「개화기소설의 이해」,인하대출판부, 1986
  • 가격3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4.07.18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11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