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0년대 근대소설의 발전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들어가며

Ⅱ.30년대 시대적 상황과 문학
1)시대적 상황
2)30년대 문학의 전개양상
(1)역사소설
(2)가족사소설
(3)농민소설
(4)노동자소설
(5)풍자‧세태소설
(6)모더니즘소설
(7)순수소설
(8)전향소설

Ⅲ.30년대 문학의 문학사적 중요성
1)동인지문단에서 사회적 문단에로
2)습작문단에서 작가문단에로
3)순수문학과 대중문학의 분리
4)근대문학적 성격에서 현대문학적 성격으로

Ⅳ.나오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분리
1920년대까지는 그 이전의 최남선, 이광수 2인 문단시절의 계몽주의문학의 영향이 그대로 이어져 순문학적인 것과 대중문학적인 것의 구별이 확연해지지 않았었다. 즉 이 시기의 작품이 가진 대중적 요소와 문학적 요소는 서로 분리되어 평가되지는 않았으며 이러한 평가의 동일시는 1930년대를 전후하면서부터 그나마 분리되어 평가되기 시작했다.
1930년대 문학적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순수문학적 성격은 민족주의적 입장에서건 사회주의 입장에서건 사회 참여가 용납될 수 없던 당시의 객관정세의 변화에 기인한다. 그러나 순수 문학의 입장이야말로 당시와 같은 일제 강점기의 혹독한 상황에서 한국문학의 존립을 가능하게 한 유일의 거점이 되었다. 이러한 순수문학적인 요소는 그 당시뿐만 아니라, 그 이후에도 한국현대문학의 가장 중심적인 요소로 점차 그 틀을 형성해 가는 양상을 보이기 시작한다. 사실 순수문학의 등장의 동기는 카프의 제1차 검거와 연계성이 있다. 사회가 점차 폐쇄상태로 죄어들자 여기에 대응하는 문학의 응전력(應戰力)은 순문학, 역사소설, 자기고발 등의 형태를 지니게 되었기 때문이다. 엄창섭(2002), 『한국현대문학사』, 새문社
4) 근대문학적 성격에서 현대문학적 성격으로
1920년대까지의 우리 문학은 근대문학의 성격을 강하게 지니고 있었다. 31 운동 이후에 전개된 자연주의, 낭만주의, 탐미주의, 민족주의, 상징주의 등과 창작 방법에서의 외면적객관적 묘사와 평면적 구성 모두 서구의 근대 문예사조에 속한 것들이었다. 엄창섭, 앞의 책, p.238
그런데 1930년대 서구의 현대문학이 가지고 있는 주지주의, 모더니즘, 초현실주의, 신 심리주의 등의 조류가 한국에 도임됨으로써 점차 현대 문학적인 성격으로 발전되었는데, 주인공 의식의 흐름에 따라 소설이 전개되는 심리주의 기법을 이용한 이상의「날개」가 그러한 대표적인 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Ⅳ. 나오며
지금까지 1930년대 소설의 전개양상과 이 시기 문학이 갖는 문학사적 중요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30년대 근대 소설의 발전은 기존의 시기와 비교했을 때 양적으로도 폭발적으로 증가했지만 그 내용과 주제의 다양성과 질적 성숙의 면모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겠는데, 민중계몽과 계급의식의 고취를 위한 문학에서 벗어나 당시 현실을 있는 그대로 그리려고 노력했다는 점에서 근대문학의 완성시기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반영하는 리얼리즘 기법을 통해 우리 민족이 처한 상황을 고발하고 반성하는 의미로서 노동자 소설과 세태풍자 소설, 그리고 농민소설이 태어났으며, 반대로 일제의 심화된 탄압 속에서 문학의 현실참여가 어렵게 되자 문학 자체가 지니는 내재적 예술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서정성을 강조한 순수문학이 등장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문학 속에 작가의 이데올로기를 담고자 하는 노력은 카프가 해체된 이후에도 전향소설로 계속되었으며, 카프 혹은 동반자계열의 작가들은 일제의 검열을 피해 농촌과 가족, 그리고 역사라는 상대적으로 소외된 소재를 사용해 그 이면에 민족의식과 계습의식의 고취를 담아내고자 했다.
하지만 모더니즘 소설 등 서구 문예사조를 우리 고유의 문학으로 만들지 못했던 것과 강화된 일제의 탄압 및 검열에 적극적으로 대항하지 못하고 오히려 일제에 편승했던 작가들이 있었던 것은 30년대 문학의 융성과 대비되는 모습이 아닐 수 없다. 붓을 드는 것 보다 꺾는 것이 더 쉬웠던 암울한 시대이었지만, 서구로부터 유입된 사조들을 우리 고유의 것으로 승화시키지 못하고 식민지 현실에 대한 구체적인 반성과 극복의 자세를 찾기 힘들다는 것은 1930년대 소설이 지니는 한계점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
조동일 외 6인 공저(1994), 『한국문학강의』, 길벗
박을수석일균(2000), 『新韓國文學史』, 아세아문화사
박철석(1990), 『韓國現代文學史論』, 民知社
엄창섭(2002), 『한국현대문학사』, 새문社
현진건, 「문장」- 역사소설문제, 1939년 12월
송백헌(1985), 『한국근대역사소설연구』, 삼지원
서경석(1998), 『한국 근대 리얼리즘 문학사 연구』, 태학사
김성수(1991), 「이기영 소설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류양선(1994), 「한국 농민 문학 연구」. 서광학술자료사
- 이대용. 「김유정의 농민소설 연구」 성균관대학교 학위논문재인용
백철. 「농민문학 문제」. 조선일보. 1931.10.1-20
윤병로(2003), 「한국 근현대 문학사」,명문당
권영민(2002), 「한국현대문학사」, 민음사
임화(1940), 「세태소설론」
이주형(1995), 『한국근대소설연구』, 창작과비평사
최병우(강릉대 교수), 「이효석 소설에 나타난 성과 그 현대성」
김해옥(1999),『한국 현대 서정소설론』, 새미
김병익(2001), 『한국문단사』, 문학과 지성사
林熒澤, 崔元植 編(1982), 『韓國近代文學史論』, 한길사
김시태. 「모더니즘소설의 한국적 양상-1930년대」
신동욱(1994), 『 1930년대 한국소설연구』, 한샘출판사
김유중(1998), 『한국모더니즘문학의 세계관과 역사의식』, 태학사
김우종(1982), 『한국 현대 소설사』, 성문각
김외곤(1992), 「<대하>와 <동맥>에 나타난 개화사상과 개화 풍경」,『한국 근대 장편소설 연구』, 한국 현대문학 연구회
김남천, “현대 조선 소설의 이념”《조선일보》,1938.9.10-18
신상성,(1992)『한국 가족사 소설 연구』, 경운출판사
정명환, 「위장된 순응주의」(『창작과 비평』, 1968, 겨울호)
「채만식 작품연구」(1988), 숙명여대 석사논문
김인옥(2002), 『한국 현대 전향소설 연구』,국학자료원
*목 차
Ⅰ.들어가며
Ⅱ.30년대 시대적 상황과 문학
1)시대적 상황
2)30년대 문학의 전개양상
(1)역사소설
(2)가족사소설
(3)농민소설
(4)노동자소설
(5)풍자세태소설
(6)모더니즘소설
(7)순수소설
(8)전향소설
Ⅲ.30년대 문학의 문학사적 중요성
1)동인지문단에서 사회적 문단에로
2)습작문단에서 작가문단에로
3)순수문학과 대중문학의 분리
4)근대문학적 성격에서 현대문학적 성격으로
Ⅳ.나오며
*참고문헌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6.05.15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95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