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 2 }
이고, 오른쪽 사각형의 넓이의 절반이
{ 1 } over { 2 } bar { AC } `^{ 2 }
이므로 결국 피타고라스 정리
bar { AB } `^{ 2 } + bar { AC } `^{ 2 } = bar { BC } `^{ 2 }
를 얻을 수 있다.
7. 마지막으로 아래와 같은 모델을 가지고 아래의 그림과 같은 단계를 거쳐서
윗 쪽의 작은 두 정사각형 넓이의 합과 아래쪽의 큰 정사각형의 넓이의 합이 같음을 이용해서 피타고라스 정리를 보여줄 수 있겠다.
이러한 피타고라스 정리를 바탕으로 닮음과 합동을 이용하여 재밌는 그림들로 피타고라스 정리를 응용할 수 있겠다. 대표적인 예가 아래와 같은 경우들이다.
왼쪽과 같이 피타고라스 정리를 이용하여 적당한 그림을 그려놓은 후 직각삼각형ABC의 점들뿐만 아니라 연두색 위에 있는 빨간 점들을 움직여 보게 함으로써(오른쪽 그림처럼) 넓이의 변화를 관찰하게 해서 결국 넓이의 변화가 없다는 결론을 이끌어낼 수 있겠다.
또한 아래의 그림처럼 피타고라스 정리를 이용하여 만든 프랙탈 나무를 보여주고, 점A를 변화시켰을 때 변화하는 나무 모양에 대해서 토론을 하는 것으로 수업을 마무리 할 수 있겠다.
이고, 오른쪽 사각형의 넓이의 절반이
{ 1 } over { 2 } bar { AC } `^{ 2 }
이므로 결국 피타고라스 정리
bar { AB } `^{ 2 } + bar { AC } `^{ 2 } = bar { BC } `^{ 2 }
를 얻을 수 있다.
7. 마지막으로 아래와 같은 모델을 가지고 아래의 그림과 같은 단계를 거쳐서
윗 쪽의 작은 두 정사각형 넓이의 합과 아래쪽의 큰 정사각형의 넓이의 합이 같음을 이용해서 피타고라스 정리를 보여줄 수 있겠다.
이러한 피타고라스 정리를 바탕으로 닮음과 합동을 이용하여 재밌는 그림들로 피타고라스 정리를 응용할 수 있겠다. 대표적인 예가 아래와 같은 경우들이다.
왼쪽과 같이 피타고라스 정리를 이용하여 적당한 그림을 그려놓은 후 직각삼각형ABC의 점들뿐만 아니라 연두색 위에 있는 빨간 점들을 움직여 보게 함으로써(오른쪽 그림처럼) 넓이의 변화를 관찰하게 해서 결국 넓이의 변화가 없다는 결론을 이끌어낼 수 있겠다.
또한 아래의 그림처럼 피타고라스 정리를 이용하여 만든 프랙탈 나무를 보여주고, 점A를 변화시켰을 때 변화하는 나무 모양에 대해서 토론을 하는 것으로 수업을 마무리 할 수 있겠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