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사와 그전망에 대하여 심리학, 발달이론 뿐만 아니라 신학도 상세히 설명하면서 일목 요연하게 종교 발달 심리학의 역사에 대하여 논하였다. 본인은 편입생이라 기독교 교육을 2년밖에 공부 하지 못했지만, 교직에서 상당히 다뤘던 프로이드를 시작으로 하여 에릭슨,콜버그, 등의 이론들은 너무나도 많이 공부 했던 내용들이였다. 그러나 그동안 학교에서 통상적으로 배웠던 심리학, 발달이론에 대한 것, 뿐만 아니라 그 이론들 속에 그러한 내용들이 있었나 할 정도로 지금까지 접해보지 못한 내용을 들 다시 말해,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이 남성 위주라는 것, 발달이론이 위로만 향해 있다는 것 등 등 내용들이였기에 많은 도움과 함께 유익했으며, 나에게 사고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기회이기도 했다.
종교 발달 심리학을 배우면서 본인의 짧은 의구심은 1) 종교를 발달의 측면으로 보는 것도 괜찮은가 하는 것이 늘 마음에 남았다. 신앙은 성숙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것이였다.
2) 이글에서도 나왔지만, 남성과 여성을 다르게 생각한다는 것이다. 그 다르다는 표현 속에는 무언의 의미가 꼭 내포 되어 있는데 그것은 "남성이 우월" 하다는 것을 함축하고 있는 느낌이 늘 들었다. 여성이나 남성 같은 존재이며, 서로에게 없는 부분들을 있게 하셔서 그 부족한 것을 서로에게 협조하며 도와줄 때 하나가 되어야 하는 것이란 생각이 늘 들었다. 그러나 남성은 강한 힘을 믿으며, 여자를 위협했고, 여자들은 하나님께서 주신 자신의 권리를 포기하며, 강한자인 남자에게 아첨이라는 좋치 않은 행태로 자신을 찾지 못하고 있다는 느낌이다. 나에게 없는 반쪽을 위해 헌신하며, 사랑하고 도와주는 가운데 하나가 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다.
많은 여성들은 자신이 어떻게 살아야 되는 것인지 조차 모르고 살기에 그것을 도와주려는 여성지도자들에게 사회에서는 그것을 조롱하며, 비난하고 나아가서는 "여성운동해방자", "여권운동자', 가정을 버린 여자들" 이니 하는 이상한 용어를 붙여 정당하지 못한 일을 하는 것 처럼 매도해 버린다.
한 국가, 그 사회를 남성들이 지배하고 있기에 모든 것이 다 남성위주로 되어있어 여성들이 경제할동이나 법률,등등 활동하기가 어려운 것은 사실이다. 여성, 남성 모두에게 책임이 있지 않나 하는 것이다.
이 글을 요약하면서 많이 접한 내용들은 간략하게 정리했으며, 그동안 몰랐던 내용들에 대하여는 지면을 할애 했다. 유익한 내용이였기에 보람있었다. -끝-
종교 발달 심리학을 배우면서 본인의 짧은 의구심은 1) 종교를 발달의 측면으로 보는 것도 괜찮은가 하는 것이 늘 마음에 남았다. 신앙은 성숙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것이였다.
2) 이글에서도 나왔지만, 남성과 여성을 다르게 생각한다는 것이다. 그 다르다는 표현 속에는 무언의 의미가 꼭 내포 되어 있는데 그것은 "남성이 우월" 하다는 것을 함축하고 있는 느낌이 늘 들었다. 여성이나 남성 같은 존재이며, 서로에게 없는 부분들을 있게 하셔서 그 부족한 것을 서로에게 협조하며 도와줄 때 하나가 되어야 하는 것이란 생각이 늘 들었다. 그러나 남성은 강한 힘을 믿으며, 여자를 위협했고, 여자들은 하나님께서 주신 자신의 권리를 포기하며, 강한자인 남자에게 아첨이라는 좋치 않은 행태로 자신을 찾지 못하고 있다는 느낌이다. 나에게 없는 반쪽을 위해 헌신하며, 사랑하고 도와주는 가운데 하나가 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다.
많은 여성들은 자신이 어떻게 살아야 되는 것인지 조차 모르고 살기에 그것을 도와주려는 여성지도자들에게 사회에서는 그것을 조롱하며, 비난하고 나아가서는 "여성운동해방자", "여권운동자', 가정을 버린 여자들" 이니 하는 이상한 용어를 붙여 정당하지 못한 일을 하는 것 처럼 매도해 버린다.
한 국가, 그 사회를 남성들이 지배하고 있기에 모든 것이 다 남성위주로 되어있어 여성들이 경제할동이나 법률,등등 활동하기가 어려운 것은 사실이다. 여성, 남성 모두에게 책임이 있지 않나 하는 것이다.
이 글을 요약하면서 많이 접한 내용들은 간략하게 정리했으며, 그동안 몰랐던 내용들에 대하여는 지면을 할애 했다. 유익한 내용이였기에 보람있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