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렇다고 그가 세계의 다원문화주의마저 거부하는 것은 아님을 명백히 한다.
한가지 궁금하게 생각하는 것은 세계문명의 충돌을 상론하는 이 책이 유독 북아일랜드 지역의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간의 뿌리 깊은 유혈투쟁에 관해서만은 시종 침묵하고 있는 이유가 무엇인가 하는 점과 ‘문화는 힘을 뒤따른다’고 했을 때, 지금까지 애써 강조했던 문화 우선성의 원칙이 힘 우선성의 원칙으로 다시 역전된다는 느낌과 또 ‘문화는 상대적이지만 윤리는 절대적이다’라고 했을 때, 과연 문화와 윤리를 이처럼 절대적으로 구분 짓는 것이 저자가 정의한 원래의 문명의 개념과 부합되는지 등에 관한 의문점이다.
또 너무 서양중심에서 동양을 판단하는 것 같다. 객관적인 것을 원칙으로 해야하는 논문에서 자기 중심적인 사고는 어쩔 수 없는 것 같다.
한가지 궁금하게 생각하는 것은 세계문명의 충돌을 상론하는 이 책이 유독 북아일랜드 지역의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간의 뿌리 깊은 유혈투쟁에 관해서만은 시종 침묵하고 있는 이유가 무엇인가 하는 점과 ‘문화는 힘을 뒤따른다’고 했을 때, 지금까지 애써 강조했던 문화 우선성의 원칙이 힘 우선성의 원칙으로 다시 역전된다는 느낌과 또 ‘문화는 상대적이지만 윤리는 절대적이다’라고 했을 때, 과연 문화와 윤리를 이처럼 절대적으로 구분 짓는 것이 저자가 정의한 원래의 문명의 개념과 부합되는지 등에 관한 의문점이다.
또 너무 서양중심에서 동양을 판단하는 것 같다. 객관적인 것을 원칙으로 해야하는 논문에서 자기 중심적인 사고는 어쩔 수 없는 것 같다.
추천자료
문명과 야만 - 타자의 시선으로 본 19세기 조선(서평)
문명사적 전환기의 도전과 응전에 관한 고찰
중국문명사
문화와 문명에 대한 보고서
인류 문명과 나무 그 과거와 미래
문명의 교류(콜럼버스의 신대륙발견에 의한 문명의 교류중에서 매독을 주제로 한 자료)
문명의 공존
문명의 공존
고대문명교류사를 읽고
문명의 공존 (주경철의 『대항해시대』)
서양문명의 정체성을 읽고 요약
[해양팽창과 근대세계의 형성] 이슬람문명과 기독교 문명의 교류와 융합 - 11세기 스페인의 ...
주역과 현대문명 - 주역과 음양사상
문명은 왜 붕괴하는가 - 문명의 붕괴, 조지프 A. 테인터 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