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쾌락 원칙과 현실 원칙 사이의 갈등
2. 불안(anxiety)과 방어기제(defense mechanism)
3. 서편제의 송화 와 피아니스트의 에리카
4. 서편제와 피아니스트에 나타난 가학·피학증(강박 노이로제)
2. 불안(anxiety)과 방어기제(defense mechanism)
3. 서편제의 송화 와 피아니스트의 에리카
4. 서편제와 피아니스트에 나타난 가학·피학증(강박 노이로제)
본문내용
히 나타내고 있음을 알았다. 강박 노이로제는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진다. 환자의 마음은 관심이 없는 생각들로 점유되어 있고, 스스로 용납할 수 없는 충동에 의해 그대대로 행동하지만 그 행동에서 기쁨을 느낄 수가 없다. 그 뿐만 아니라 그러한 행위를 그만둘 용기도 없는 것이다. 이 관념(강박관념)은 그 자체로는 무의미하고, 환자의 입장에서도 흥미 없는 것이다. 환자는 자기의 의지와는 반대로 그것이 가장 중대한 인생 문제이기나 한 것처럼 생각하게 되고 고민한다. 환자가 마음속에 느끼는 충동 또한 유혹처럼 무서운 내용으로 점철되어 있으므로 환자는 그 생각을 자기는 짐작도 못할 일이라고 부정한다. 그 충동은 한번도 실행에 옮겨지지 않으므로 결과적으로 언제나 도피와 경계가 승리를 차지한다. 환자는 강박관념을 대치할 수는 있지만, 결코 그것을 제거하지는 못한다. 즉, 불합리한 생각을 의식 속에만 담아두면 우울증 환자가 되지만 에리카처럼 행위로 올겨 버리면 그것은 강박 노이로제 환자가 되어버리는 것이다. 대기 일상생활 속에서 동작의 반복이나 취침, 세면, 착의, 쇼핑 등의 동작에 많은 시간이 투여되고 거의 그치지 않는 과제가 되어 버린다. 엄마를 구타하고, 살해하고 싶은 충동 대신에 에리카의 경우에 성행위 포즈를 취하거나, 오줌을 누거나, 섹스숍에 가는 등의 행동을 통해서 어떤 의례를 대신 다른 의례로 대신한다. 엄마의 에리카에 대한 감시가 에리카의 클레메를 향한 감시와 억압으로 이어지는 것과도 연관된다. 이런 에리카의 강박 노이로제는 치료될 수는 있지만 피길 될 수는 없다. 그렇다면 서편제에서는 어떤 면이 가학·피학적이 였을까? 그것은 자기를 실명시키는 유봉을 오히려 용서하는 것에서 알 수 있다. 유봉을 용서하는 그녀는 피학성이다. 유봉이 자기에게 주는 사랑이 비 정상적인 것이며 나아가 자기가 그 누구의 대용물로서 사랑받는다는 것도 희미하게 안다. 그러나 그녀는 유봉을 떠받들고 순종적이다. 그러면서 죄책감의 중압에서 괴로워하며 서서히 꺼져가는 유봉의 생명을 옆에서 말없이 지키면서 소리를 한다. 그러므로 이들 두 사람 사이는 가학·피학적으로 맺어져 있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을 통해서본 영화 속 인물
1. 쾌락 원칙과 현실 원칙 사이의 갈등
2. 불안(anxiety)과 방어기제(defense mechanism)
3. 서편제의 송화 와 피아니스트의 에리카
4. 서편제와 피아니스트에 나타난 가학·피학증(강박 노이로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을 통해서본 영화 속 인물
1. 쾌락 원칙과 현실 원칙 사이의 갈등
2. 불안(anxiety)과 방어기제(defense mechanism)
3. 서편제의 송화 와 피아니스트의 에리카
4. 서편제와 피아니스트에 나타난 가학·피학증(강박 노이로제)
추천자료
영상문화의 이해 - 사례로 본 독일 역화의 미래
내면의 소리를 들으면 서로의 문화가 보인다
독일과 한국 교육제도의 비교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에 관한 연구
독일 통일 후의 현황과 문제
독일의 모든것
독일, 독일의 여행지, 독일 음식, 독일 역사
독일을 대표하는 문화유산
유럽문화와사회 - 유럽(독일)의 주요도시
독일의 경제상황 및 부동산문화
[교육학입문] 교육의 심리적 기초 - 세가지 발달이론 피아제, 프로이트, 에릭슨 발달이론 비...
독일 건축과 주거문화
인간행동과사회환경A형-행동발달에 대한 프로이트(S. Freud)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방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