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 어 가 며
1) 해방 직후 우리나라를 둘러싼 움직임(미, 소 입장과 움직임을 중심으로)
(1) 미국의 대한정책
(2) 소련의 대한정책
(3) 한반도의 분할 군정실시
2) 해방 후 여러 정치 단쳬들의 움직임(건국준비위원회와 해외독립단체들의 움직임)
(1) 건국준비위원회
(2) 해외단체의 움직임
3) 건국준비위원회의 활동과 그 해체 이후 남북합작위원회의 활동
(1) 건국동맹
(2) 해방과 건국준비위원회
(3) 남북합작위원회(南北合作委員會, 혹은 좌우(左右)합작위원회. 이하 합작위)의 활동
4) 남북합작운동의 실패 요인과 그 이후 우리나라 정치상황
(1) 국외적 요인
(2) 국내적 요인
(3) 이후 상황
5) 주요 인물들에 대한 분석
(1) 여운형
(2) 김규식
(3) 안재홍
(4) 조봉암
건국준비위원회, 좌우합작위원회의 의의와 답사 의의
맺 으 며
민족재통일을 향하여
1) 해방 직후 우리나라를 둘러싼 움직임(미, 소 입장과 움직임을 중심으로)
(1) 미국의 대한정책
(2) 소련의 대한정책
(3) 한반도의 분할 군정실시
2) 해방 후 여러 정치 단쳬들의 움직임(건국준비위원회와 해외독립단체들의 움직임)
(1) 건국준비위원회
(2) 해외단체의 움직임
3) 건국준비위원회의 활동과 그 해체 이후 남북합작위원회의 활동
(1) 건국동맹
(2) 해방과 건국준비위원회
(3) 남북합작위원회(南北合作委員會, 혹은 좌우(左右)합작위원회. 이하 합작위)의 활동
4) 남북합작운동의 실패 요인과 그 이후 우리나라 정치상황
(1) 국외적 요인
(2) 국내적 요인
(3) 이후 상황
5) 주요 인물들에 대한 분석
(1) 여운형
(2) 김규식
(3) 안재홍
(4) 조봉암
건국준비위원회, 좌우합작위원회의 의의와 답사 의의
맺 으 며
민족재통일을 향하여
본문내용
들 어 가 며
48년 분단. 이 역사적인 사건은 그 이후의 한국현대사를 가장 크게 규정지으며 한반도를 살아가는 우리 민족의 삶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90년대 전세계적으로 찾아온 탈냉전과 그에 이은 신세계 질서 속에서도 아직 한반도는 2차 세계 대전 직후의 적대적인 냉전질서가 고착되어 있다. 남과 북은 분단 이후 수백만의 민간인 사상자를 내는 대규모 전쟁을 치렀으며 여태까지 서로를 대화와 공존의 대상으로보다는 적대와 질시의 대상으로 대하고 있다. 그리고 통일을 위한 어떠한 기초적인 조치로서 첫 발걸음을 내딛지 못하고 있다. 아직까지 한반도에는 통일의 가능성보다는 전쟁 재발의 가능성이 더 높은 듯하다.
이처럼 분단은 분명 이 땅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가장 큰 비극이요 또한 우리에게 맡겨진 가장 큰 과제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분단이라는 역사적인 사실은 우리 민족이 피할 수 없는 필연적인 것이었는가? 45년 기나긴 일제의 식민통치로부터 벗어난 우리 민족 모두는 자주독립국가의 건설과 그를 통한 민족의 번영을 해방에 이은 당연한 수순으로 기대하였다. 감옥에서 풀려난, 해외에서 돌아온 민족지도자들은 그 동안 핍박 받던 우리 민족 대다수의 기대에 부응하여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기 위해 전력을 다해 노력하였다. 그러나 예상치도 않게 38선을 기점으로 미소 양군이 한반도를 분할 점령하게 되었으며, 그 이후 민족국가 건설의 방법과 친일잔재 척결의 정도를 둘러싸고 우리 민족은 일대 혼란을 겪게 되었고 마침내 3년 후 뜻하지 않게도 남과 북에는 이질적인 정부가 들어서게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과정의 해방정국에서 줄곧 자주적인 통일국가 건설을 최우선으로 하는 노선을 견지한 정치세력이 있었는데, 바로 여운형을 중심으로 한 세력인 것이다. 당시 해방 이후 남로당의 계급혁명 노선이나 한민당의 반혁명 현상유지 노선과는 달리, 여운형은 모든 문제를 민족통일국가의 건설 아래에 두고 우리 민족이 계급문제나 친일잔재 척결 문제로 갈려지거나 분열되는 것을 반대하였다. 그는 47년 아직까지도 배후가 밝혀지지 않는 암살로 인해 목숨을 잃을 때까지 민족의 힘을 한데 모아 모든 정치세력이 참여하는 정부수립을 통한 통일국가 건설을 위해 노력하였다. 해방 이전 해방을 준비하는 건국동맹을 세울 때나 해방 직후 건국준비위원회, 조선인민공화국을 세우면서도 좌우 모든 세력을 규합하여 민족통일전선적인 조직체를 세워 민족의 힘을 모으는 구심체를 만들려고 노력했던 것이다. 그리고 46년 말부터 미소 공동위원회가 결렬되고 좌익과 우익이 극한 대치상태로 접어들면서 단독정부수립의 목소리까지 나오게 되자 여운형은 좌우합작운동에 참여하여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가 보여준 통일국가 건설 우선의 노선은 당시의 해방정국에서 분단을 막고 외세를 배제한 민족국가를 염원하던 민중들의 요구에 가장 부합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여운형의 통일노선은 오늘날 분단상황을 논의하며 통일을 생각하는 시점에 큰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탈냉전 이후 이데올로기가 종언을 고하면서 남북간에 화해와 대화의 가능성은 높아지고 있다.
48년 분단. 이 역사적인 사건은 그 이후의 한국현대사를 가장 크게 규정지으며 한반도를 살아가는 우리 민족의 삶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90년대 전세계적으로 찾아온 탈냉전과 그에 이은 신세계 질서 속에서도 아직 한반도는 2차 세계 대전 직후의 적대적인 냉전질서가 고착되어 있다. 남과 북은 분단 이후 수백만의 민간인 사상자를 내는 대규모 전쟁을 치렀으며 여태까지 서로를 대화와 공존의 대상으로보다는 적대와 질시의 대상으로 대하고 있다. 그리고 통일을 위한 어떠한 기초적인 조치로서 첫 발걸음을 내딛지 못하고 있다. 아직까지 한반도에는 통일의 가능성보다는 전쟁 재발의 가능성이 더 높은 듯하다.
이처럼 분단은 분명 이 땅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가장 큰 비극이요 또한 우리에게 맡겨진 가장 큰 과제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분단이라는 역사적인 사실은 우리 민족이 피할 수 없는 필연적인 것이었는가? 45년 기나긴 일제의 식민통치로부터 벗어난 우리 민족 모두는 자주독립국가의 건설과 그를 통한 민족의 번영을 해방에 이은 당연한 수순으로 기대하였다. 감옥에서 풀려난, 해외에서 돌아온 민족지도자들은 그 동안 핍박 받던 우리 민족 대다수의 기대에 부응하여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기 위해 전력을 다해 노력하였다. 그러나 예상치도 않게 38선을 기점으로 미소 양군이 한반도를 분할 점령하게 되었으며, 그 이후 민족국가 건설의 방법과 친일잔재 척결의 정도를 둘러싸고 우리 민족은 일대 혼란을 겪게 되었고 마침내 3년 후 뜻하지 않게도 남과 북에는 이질적인 정부가 들어서게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과정의 해방정국에서 줄곧 자주적인 통일국가 건설을 최우선으로 하는 노선을 견지한 정치세력이 있었는데, 바로 여운형을 중심으로 한 세력인 것이다. 당시 해방 이후 남로당의 계급혁명 노선이나 한민당의 반혁명 현상유지 노선과는 달리, 여운형은 모든 문제를 민족통일국가의 건설 아래에 두고 우리 민족이 계급문제나 친일잔재 척결 문제로 갈려지거나 분열되는 것을 반대하였다. 그는 47년 아직까지도 배후가 밝혀지지 않는 암살로 인해 목숨을 잃을 때까지 민족의 힘을 한데 모아 모든 정치세력이 참여하는 정부수립을 통한 통일국가 건설을 위해 노력하였다. 해방 이전 해방을 준비하는 건국동맹을 세울 때나 해방 직후 건국준비위원회, 조선인민공화국을 세우면서도 좌우 모든 세력을 규합하여 민족통일전선적인 조직체를 세워 민족의 힘을 모으는 구심체를 만들려고 노력했던 것이다. 그리고 46년 말부터 미소 공동위원회가 결렬되고 좌익과 우익이 극한 대치상태로 접어들면서 단독정부수립의 목소리까지 나오게 되자 여운형은 좌우합작운동에 참여하여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가 보여준 통일국가 건설 우선의 노선은 당시의 해방정국에서 분단을 막고 외세를 배제한 민족국가를 염원하던 민중들의 요구에 가장 부합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여운형의 통일노선은 오늘날 분단상황을 논의하며 통일을 생각하는 시점에 큰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탈냉전 이후 이데올로기가 종언을 고하면서 남북간에 화해와 대화의 가능성은 높아지고 있다.
추천자료
남북분단의 원인과 그 극복 방안- 통일정책비교를 중심으로
남북언어이질화
남북공동선언 실천과제..
[남북언어][북한언어][남북한언어]남북한언어의 의미, 남북한언어의 특징, 남북한언어정책의 ...
남북관계와 통일논의의 방향
[통일교육][학교통일교육][남북통일][남북관계][독일통일][독일][통일]통일교육의 원리, 통일...
[남북한언어][남북한언어정책][북한어][남북어][언어정책]남북한의 언어차이, 남북한 언어정...
[통일][남북통일]통일(남북통일)의 정의, 통일(남북통일)의 필요성, 통일(남북통일)의 당위성...
남북문제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
[북한관][다차원화][북한관 관심도][북한관과 학교교육][북한관과 통일관][남북통일관][통일...
[통일의식][통일사업][남북통일][독일통일][대학통일교육][대학생]통일의식과 통일사업, 통일...
[남남갈등][한국내 이념갈등][남북관계][해소방안]남남갈등(한국내 이념갈등)의 작용요소, 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