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별건축의 형태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다. 다이막시온 하우스는 특정 용도와 범위에 한정되고 기술 자체도 낮은 수준인 채로, 기술 발전에 대한 이상적인 미래상의 하나로써 역사에 묻혀 버린 듯이 보인다. 그렇지만 근대가 과학 기술과 관계없이 이야기되지 않는 한, 잠재적인 의미는 지속되는 것이다.
풀러의 또 다른 의의는 주택을 비행기나 배와 같이 육지 환경을 조절하는 도구로써 철저하게 생각한 점이다. 도구성을 철저하게 추구하다 보면 자기를 지배하는 상징성도 사라지게 된다. 과학기술성과의 충분한 발휘에 따르면 그 점이 가능할지도 모른다는 점이 예견되는 것이다. 모든 상징성을 제거 할 수 있을 때, 비로소 근대적 인간과 근대 사회가 태어난다는 맹렬한 논리를 풀러는 제시한 듯하다. 이점에서야 말로 풀로는 근대 건축파의 대극점에 존대하지 않았을까.
  • 가격8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04.07.25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17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