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학 입문을 읽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생각되지만 그 중에 잭슨 토비의 비판을 보면 신범죄학자들이 범죄행위 가 부유한 지역보다 저소득 계층에서 더욱 빈번하게 일어나는 것은 차별적인 법집행에 있 다고 하는 일견 타당하게 생각되는 주장에 대하여 "하류계층에서 범죄가 발생하는 것은 만약 화이트 칼라 범죄가 정확하게 기록된다면 상류계층에서도 빈번하게 발생할 것이 명 백하다는 사실을 숨기는 환상" - 제 생각엔 암수에 관한 내용이라고 생각됩니다. - 이라 고 주장한다. 아울러 그는 어느 한 사회계층에서 범죄를 평가절하하거나 이를 평가절상하 는 것은 위험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IV. 결어
범죄학 입문을 읽으면서 베까리아에 의한 범죄학 개념의 성립으로부터 초기의 범죄학과 현대의 새로운 경향의 범죄학에 대해서 어떠한 일정한 연관성과 흐름을 가지고 진행되어 오고 있음을 알았다. 물론 신범죄학에 오면서 그런 연관성들의 단절과 비판을 의식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과 그런 신범죄학의 이론이 막스의 이론을 지나치게 추월하여 너무 급진적인 이론을 형성하지는 않았는가 하는 생각도 든다. 개인적으로는 실증주의적 범죄학과 그에 바탕을 두고 진행되어 온 심리학이론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전부터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프로이드의 이론과 그 것을 범죄학에 적용하는 것은 흥미로운 일이었다. 범죄학은 이제 어떤 사람이 범죄를 저지르는가보다는 어떻게 하면 범죄자들을 교정하고 또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가에 대하여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형법의 목적이 범죄자의 처벌에 있는 것이 아니라 교화에 있다면 범죄학은 그런 형법의 목적과 부합하여 전개되어 나가야 할 것이다.
  • 가격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07.28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20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