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면서
Ⅰ. 수면의 단계
Ⅱ. 수면의 4가지 기능
1) 수면의 기능과 생리현상
2) 수면과 연령
3) 수면과 일주기리듬
4) 수면의 진단
Ⅲ. 수면장애
1) 관련장애
2) 발달 단계와 수면장애
Ⅳ. 간호과정
Ⅴ. 수면 생리현상(SLEEP CARE SYSTEM)의 3가지 작용
Ⅵ. 결 론
참고 자료
Ⅰ. 수면의 단계
Ⅱ. 수면의 4가지 기능
1) 수면의 기능과 생리현상
2) 수면과 연령
3) 수면과 일주기리듬
4) 수면의 진단
Ⅲ. 수면장애
1) 관련장애
2) 발달 단계와 수면장애
Ⅳ. 간호과정
Ⅴ. 수면 생리현상(SLEEP CARE SYSTEM)의 3가지 작용
Ⅵ. 결 론
참고 자료
본문내용
법으로 낮 시간 동안 채소를 주거나 가벼운 식사가 도움이 된다.
(3) 호흡관련 수면장애
-상기도형에서는 기관절개를 하면 모든 증상이 극적으로 소실되나 중추형에서는 특별한 치료 없다
-수면무호흡 대상자는 진정-수면제나 알코올 같은 중추신경계억제제를 사용을 금한다.
(4) 일주기 리듬 수면장애
-교대 근무형은 정상근무로 돌아오면 2주내로 수면주기도 정상, 시차형도 시간 지나면 적응이 된다.
-일주기 리듬교정하는 방법으로 고광도 빛을 이용한 광선 요법, 대인접촉을 통한 사회적 자극제공, 비타민B12 등이 있다.
(5) 수면중 경악장애
-소아의 경우 성장하면서 사라지게 되고, 디아제팜이 4단계 수면 억제하므로 효과가 있다.
(6) 수면중 보행장애
-10세정도면 3%로 자연 소실된다.
-성인의 경우 정신분열, 정동장애, 인격장애 등으로 발전할 수 있다.
(7) 평가
-수면장애를 가진 대상자를 위한 간호를 평가하는 데는 대상자의 수면양상의 변화와 대상자의 수면에 대한 주관적인 느낌 그리고 직업/사회적 기능장애의 감소 등이 모두 고려되어야 한다.
Ⅴ. 수면 생리현상(SLEEP CARE SYSTEM)의 3가지 작용
보통 8시간 자는 동안에 물 한 컵 정도(160g)의 땀이 나고, 체온은 새벽4시가 최저이며 최초의 3시간(2세트)의 잠에 의해 수면의 질이 바뀝니다(성장호르몬이 집중적으로 방출)
잠에 들어갈 때 3가지의 생리 현상이 일어납니다. 하룻밤에 그 생리 현상을 우리의 몸이 올바르게 이행하도록 수면환경을 갖추는 것에 의해 수면의 질이 좌우됩니다. 하룻밤에 약 90분 주기로 깊은 잠과 얕은 잠을 4-6회 정도 반복합니다. 최초의 3시간(2세트)의 잠에 의해 수면의 질이 바뀝니다.
사람의 하루 체온 리듬은 새벽4시가 최저이고, 일과 중 활동하기 위해서 체온은 상승하며, 저녁 활동이 끝나면 점차 체온이 떨어짐과 함께 잠이 오기 시작됩니다. 이 체온의 저하가 충분하지 않으면 좋은 수면을 취할 수 없습니다. 때문에 그래프처럼 땀을 흘리는 생리 현상이 필요하다. 이때 몸의 알맞은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보온성이 좋은 다운 이불이 필요한 것 입니다.
사람은 체온이 내려감에 따라서 졸리기 때문에 체온을 저하시키기 위해 땀을 내고, 증발할 때의 열을 빼앗는 것으로 체온을 내리는 기능을 이용하는 시스템으로 되어있습니다. 자는 동안 깊은 잠에 빠지기 위해서 내부의 온도를 계속적으로 내리게 되기 때문에 땀을 쉽게 내고 건조시키는 흡습, 발산성이 좋은 그리고 새벽의 체온 저하로 추위를 느끼게 되어 잠에서 깰 수가 있으니 보온력이 뛰어난 침구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몸부림은 왜 필요한 것일까요. 사람은 일과 중 활동하면서 신체가 지치거나 뒤틀림이 생겨서 이것을 회복하기 위해서 수면 중에 몸의 근육을 느슨하게 만들어서 등뼈 등의 각 부분의 뒤틀림을 몸부림에 의해 치료해 주는 기능을 합니다. 그리고 자는 동안에 근육 등이 활동을 정지하면 혈행 불량을 일으켜 피로 물질이 모여서 근육 자체도 단단해지기 때문에 자고 있는 동안도 움직이는 것이 필요합니다. 더구나 이불 속의 온도를 조절하거나 자는 동안 신체의 눌림에 의한 모세관의 압박을 받아서 이를 뒤척임 등으로 해소합니다. 이때 몸의 뒤척임에 쉬운 가벼운 다운 이불이 좋습니다.
사람은 밤에 자는 것으로 뇌를 쉴 수 있게 하는 호르몬을 분비해 신체를 수복합니다. 잠의 질에 의해 호르몬의 분비하는 양은 변화합니다. 양질의잠(깊은 잠)이 성장호르몬의 분비를 좌우합니다.
위의 그래프에서 보듯이 우리가 잠을 자는 동안에 뇌와 몸에서 많은 생리적인 현상이 일어납니다. 이에 알맞은 침구의 사용이 필요합니다. (보온성, 흡습 , 발산성, 경량성 등 - 좋은 잠을 위한 조건)
Ⅵ 결 론
대한 수면 연구회에서 밝힌 자료에 의하면 미국 스탠퍼드 인간수면연구소소장 클리트 쿠시다 박사는 현대인들의 평균 수면시간은 7.5시간이하로 과거에 비해 최소한 1시간이상 줄어 전인구의 수면부족 시간이 연간 1천억시간에 이르고 있다고 밝히고 인간의 기초적인 3대 생물학적 필수조건중 하나인 수면 부족은 과학자들조차 가늠할 수 없는 값비싼 대가를 몰고 올 것이라고 말한다.
워커 박사는 수면이 왜 필요한가에 대한 대답은 이제서야 과학자들의 새삼스러운 연구로 하나둘씩 나오기 시작하고 있다면서 수면부족은 우선 정보를 보관하고 다시 꺼내 쓰는 뇌의 능력을 "심각하게 그리고 돌이킬 수 없게" 저하시키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고 말했다.
잠을 잘 자면 기억-학습능력이 20% 증가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고 워커 박사는 지적했다. 이밖에 수면부족은 궤양과 양극성장애를 촉진하고 노인들의 사망위험을 2배로높이며 학습과 기억력을 손상시킨다는 과학적 증거가 점점 커지고 있다. 만성적으로 잠이 모자라는 사람은 잠을 제대로 자는 사람보다 병치레가 잦고 비만, 심혈관질환, 고혈압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도 나오고 있다.
이스라엘 텔아비브 대학 심리학교수 아비 사데 박사는 만성 수면부족으로 정보를 흡수하고 학습하는 뇌 기능을 온전하게 이용하지 못하는 아이들이 적지 않으며 아이들의 과잉행동, 주의력결핍장애(ADHD), 폭력, 기타 좌절을 견뎌내지 못하는 갖가지 장애들 역시 수면부족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못 잔 잠을 나중에 한꺼번에 잔다고 해도 기억축적에 관한한 아무 소용없는 일이라고 워커 박사는 말한다. 제 때 자지 않으면 그 때 기억은 잃어버리는 것이나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주중에 못 잤던 잠을 주말 또는 휴일에 보충할 수는 있다. 그러나 잠을 못 잤을 때 발생한 뇌의 기능 손실은 보충되지 않는다. 아이들의 불규칙한 수면습관은 학교성적 저하와 행동장애와 연관이 있다는 연구보고서도 있다". 사데 박사의 말이다. 30-45분 낮잠을 자는 것은 에너지 재충전에 도움이 된다고 과학자들은 말한다.
프레드 허친슨 암연구소의 셸리 투로거 박사는 "낮잠은 뇌의 단기 인식기능을 향상시킨다"고 말한다. 이런 연구보고서가 발표되자 직장에 낮잠 잘 공간과 시간을 마련해 주는 기업들도 있다고 한다.
참고 자료
세리코 http://www.selico.co.kr/sleepscience/2-3-1.html
한국 수면 협회
의학협회 자료
(3) 호흡관련 수면장애
-상기도형에서는 기관절개를 하면 모든 증상이 극적으로 소실되나 중추형에서는 특별한 치료 없다
-수면무호흡 대상자는 진정-수면제나 알코올 같은 중추신경계억제제를 사용을 금한다.
(4) 일주기 리듬 수면장애
-교대 근무형은 정상근무로 돌아오면 2주내로 수면주기도 정상, 시차형도 시간 지나면 적응이 된다.
-일주기 리듬교정하는 방법으로 고광도 빛을 이용한 광선 요법, 대인접촉을 통한 사회적 자극제공, 비타민B12 등이 있다.
(5) 수면중 경악장애
-소아의 경우 성장하면서 사라지게 되고, 디아제팜이 4단계 수면 억제하므로 효과가 있다.
(6) 수면중 보행장애
-10세정도면 3%로 자연 소실된다.
-성인의 경우 정신분열, 정동장애, 인격장애 등으로 발전할 수 있다.
(7) 평가
-수면장애를 가진 대상자를 위한 간호를 평가하는 데는 대상자의 수면양상의 변화와 대상자의 수면에 대한 주관적인 느낌 그리고 직업/사회적 기능장애의 감소 등이 모두 고려되어야 한다.
Ⅴ. 수면 생리현상(SLEEP CARE SYSTEM)의 3가지 작용
보통 8시간 자는 동안에 물 한 컵 정도(160g)의 땀이 나고, 체온은 새벽4시가 최저이며 최초의 3시간(2세트)의 잠에 의해 수면의 질이 바뀝니다(성장호르몬이 집중적으로 방출)
잠에 들어갈 때 3가지의 생리 현상이 일어납니다. 하룻밤에 그 생리 현상을 우리의 몸이 올바르게 이행하도록 수면환경을 갖추는 것에 의해 수면의 질이 좌우됩니다. 하룻밤에 약 90분 주기로 깊은 잠과 얕은 잠을 4-6회 정도 반복합니다. 최초의 3시간(2세트)의 잠에 의해 수면의 질이 바뀝니다.
사람의 하루 체온 리듬은 새벽4시가 최저이고, 일과 중 활동하기 위해서 체온은 상승하며, 저녁 활동이 끝나면 점차 체온이 떨어짐과 함께 잠이 오기 시작됩니다. 이 체온의 저하가 충분하지 않으면 좋은 수면을 취할 수 없습니다. 때문에 그래프처럼 땀을 흘리는 생리 현상이 필요하다. 이때 몸의 알맞은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보온성이 좋은 다운 이불이 필요한 것 입니다.
사람은 체온이 내려감에 따라서 졸리기 때문에 체온을 저하시키기 위해 땀을 내고, 증발할 때의 열을 빼앗는 것으로 체온을 내리는 기능을 이용하는 시스템으로 되어있습니다. 자는 동안 깊은 잠에 빠지기 위해서 내부의 온도를 계속적으로 내리게 되기 때문에 땀을 쉽게 내고 건조시키는 흡습, 발산성이 좋은 그리고 새벽의 체온 저하로 추위를 느끼게 되어 잠에서 깰 수가 있으니 보온력이 뛰어난 침구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몸부림은 왜 필요한 것일까요. 사람은 일과 중 활동하면서 신체가 지치거나 뒤틀림이 생겨서 이것을 회복하기 위해서 수면 중에 몸의 근육을 느슨하게 만들어서 등뼈 등의 각 부분의 뒤틀림을 몸부림에 의해 치료해 주는 기능을 합니다. 그리고 자는 동안에 근육 등이 활동을 정지하면 혈행 불량을 일으켜 피로 물질이 모여서 근육 자체도 단단해지기 때문에 자고 있는 동안도 움직이는 것이 필요합니다. 더구나 이불 속의 온도를 조절하거나 자는 동안 신체의 눌림에 의한 모세관의 압박을 받아서 이를 뒤척임 등으로 해소합니다. 이때 몸의 뒤척임에 쉬운 가벼운 다운 이불이 좋습니다.
사람은 밤에 자는 것으로 뇌를 쉴 수 있게 하는 호르몬을 분비해 신체를 수복합니다. 잠의 질에 의해 호르몬의 분비하는 양은 변화합니다. 양질의잠(깊은 잠)이 성장호르몬의 분비를 좌우합니다.
위의 그래프에서 보듯이 우리가 잠을 자는 동안에 뇌와 몸에서 많은 생리적인 현상이 일어납니다. 이에 알맞은 침구의 사용이 필요합니다. (보온성, 흡습 , 발산성, 경량성 등 - 좋은 잠을 위한 조건)
Ⅵ 결 론
대한 수면 연구회에서 밝힌 자료에 의하면 미국 스탠퍼드 인간수면연구소소장 클리트 쿠시다 박사는 현대인들의 평균 수면시간은 7.5시간이하로 과거에 비해 최소한 1시간이상 줄어 전인구의 수면부족 시간이 연간 1천억시간에 이르고 있다고 밝히고 인간의 기초적인 3대 생물학적 필수조건중 하나인 수면 부족은 과학자들조차 가늠할 수 없는 값비싼 대가를 몰고 올 것이라고 말한다.
워커 박사는 수면이 왜 필요한가에 대한 대답은 이제서야 과학자들의 새삼스러운 연구로 하나둘씩 나오기 시작하고 있다면서 수면부족은 우선 정보를 보관하고 다시 꺼내 쓰는 뇌의 능력을 "심각하게 그리고 돌이킬 수 없게" 저하시키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고 말했다.
잠을 잘 자면 기억-학습능력이 20% 증가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고 워커 박사는 지적했다. 이밖에 수면부족은 궤양과 양극성장애를 촉진하고 노인들의 사망위험을 2배로높이며 학습과 기억력을 손상시킨다는 과학적 증거가 점점 커지고 있다. 만성적으로 잠이 모자라는 사람은 잠을 제대로 자는 사람보다 병치레가 잦고 비만, 심혈관질환, 고혈압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도 나오고 있다.
이스라엘 텔아비브 대학 심리학교수 아비 사데 박사는 만성 수면부족으로 정보를 흡수하고 학습하는 뇌 기능을 온전하게 이용하지 못하는 아이들이 적지 않으며 아이들의 과잉행동, 주의력결핍장애(ADHD), 폭력, 기타 좌절을 견뎌내지 못하는 갖가지 장애들 역시 수면부족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못 잔 잠을 나중에 한꺼번에 잔다고 해도 기억축적에 관한한 아무 소용없는 일이라고 워커 박사는 말한다. 제 때 자지 않으면 그 때 기억은 잃어버리는 것이나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주중에 못 잤던 잠을 주말 또는 휴일에 보충할 수는 있다. 그러나 잠을 못 잤을 때 발생한 뇌의 기능 손실은 보충되지 않는다. 아이들의 불규칙한 수면습관은 학교성적 저하와 행동장애와 연관이 있다는 연구보고서도 있다". 사데 박사의 말이다. 30-45분 낮잠을 자는 것은 에너지 재충전에 도움이 된다고 과학자들은 말한다.
프레드 허친슨 암연구소의 셸리 투로거 박사는 "낮잠은 뇌의 단기 인식기능을 향상시킨다"고 말한다. 이런 연구보고서가 발표되자 직장에 낮잠 잘 공간과 시간을 마련해 주는 기업들도 있다고 한다.
참고 자료
세리코 http://www.selico.co.kr/sleepscience/2-3-1.html
한국 수면 협회
의학협회 자료
추천자료
산욕기의 정의와 신체적 변화 임상생리
개정 노동법에 따른 생리휴가제도
정신분열병 (Schizophrenia)병태생리
청소년기의 신체․생리적 성장과 발달로 인한 심리적 영향에 대한 연구
피부관리 피부타입별 피부관리 생리기간 피부관리 건성 중성 복합성 지성 피부관리 천연 팩
청소년기에 신체, 생리적 변화가 심리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일회성 운동에 따른 생리적 반응 - 노화에 따른 근력과 신경근 기능.ppt
2013년 동계계절시험 인체생리학 시험범위 핵심체크
[영양사국가고시] 생리학 요점정리 (5장, 9장 제외)
2014년 1학기 인체생리학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2014년 1학기 인체생리학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암의 역학, 병태생리, 발생원인
2017년 동계계절시험 인체생리학 시험범위 핵심체크
[생애주기영양학] 노인기에는 생리적 기능과 일상 활동량이 감소에 따른 올바른 영양관리 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