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트레핑(trapping)
2. 헤딩(heading)
2. 헤딩(heading)
본문내용
한다.
4. 3∼4인 한조가 되어 한명은 공을 던져주고 나머지 인원은 한줄로 서서 트레핑을 한 후 뒤로 돌아가는 동작을 지속적으로 실시한다.
2. 헤딩(heading)
- 골기퍼를 제외한 모든 선수들은 팔과 손으로 플레이를 할수 없기 때문에 높은 공을 처리하기 위하여 복부, 가슴, 머리등의 신체부위를 이용한다.
헤딩을 가장 높은 볼을 처리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식이다. 정확하게 이마를 사용하여 패스, 슈팅의 역학을 수행한다.
(1) 헤딩의 종류
㉠ 스탠딩 헤딩
- 지면에 서서 헤딩을 하는 동작을 말한다. 지면에서의 양발의 위치는 어깨 넓이 만큼 벌리고 무릎은 유연한 자세를 유지한다.
헤딩에서 공과 접촉하는 부분은 이마로, 이마에 의해 충격을 가할 수 있고 또한 방향을 조정하면서 추진력을 가하는 것이다. 상체가 뒤로 젖혀졌을 때는 턱을 당기고 목의 근육을 긴장시키도록 하며 공을 주시하면서 상체를 앞으로 진동시키면서 공을 이마에 접촉하게 된다.
이마에 공이 접촉할 때 당겼던 턱을 앞으로 내밀면서 공을 보내고자 하는 방향으로 이마를 향하게 하는 동작을 취하도록 한다.
공을 좌우 방향으로 내보낼 때 상체의 움직임이 공의 방향과 같게 해야 하며 또 백헤딩을 할 때는 공과 이마가 접촉하는 순간 이마가 공중으로 향하도록 해야하며 턱을 올려야 한다. 그리고 가슴을 충분히 펴서 상체를 뒤로 기울리도록 한다.
● 지도방법 및 연습방법
- 초기에는 2∼3m 거리에서 던져 연습을 하도록 하며 공을 던지는 사람은 편안하게 할 수 있도록 공을 정확히 던져 주어야 한다. 헤딩을 하는 사람은 상체의 동작에 유의하며 이마 부위에 공이 정확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주의한다.
거리 및 속도의 변화를 주어서 헤딩을 할수 있도록 한다. 어느정도 익숙해 지면 3∼4명이 한조가 되어 헤딩을 연속적으로 할수 할 수 있도록 한다.
㉡ 점프 헤딩
- 점프 헤딩의 기본은 스탠드 헤딩과 동일하다. 유일하게 차이점은 제자리에서 서서 하는 동작이 아니라 공중으로 뛰어올라 헤딩을 하는 점이다.
점프 헤딩의 방법은 제자리에서 양발로 뛰어오르는 방법과 달리면서 한쪽 발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나뉠수 있다. 점프헤딩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점프의 가장 높은 지점에서 상체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공과 이마가 접촉할 때 신체가 발런스를 유지하는지의 여부이다. 따라서 공의 움직임을 예측하고 헤딩을 하는 접촉 순간의 타이밍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이다.
● 지도방법 및 연습방법
- 제자리에서 점프하여 정확한 동작을 취할 수 있게 한다. 이런 동작이 익숙해 지면 자신이 공을 던지고 헤딩하는 동작을 연습한다. 파트너를 정하여 일정한 거리에서 헤딩 연습을 실시하고 익숙해 지면 거리 및 방향의 변화를 주어 헤딩 연습을 실시한다. 정확한 공중 동작과 공을 이마에 정확히 맞출수 있도록 연습한다.
㉢ 다이빙 헤딩
- 몸을 앞으로 다이빙하듯이 몸이 쓰러지면서 하는 것인데 이는 전방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경기장의 장면과 목적에 따라 앞 뒤, 좌우 등 어떠한 방향으로든지 할 수 있는 헤딩 기술이다.
허리를 낮추고 발구름하는 다리에 몸의 중심을 실으면서 상반신을 앞으로 기울도록 하여, 몸의 중심을 앞으로 이동시키면서 발구름 발로 지면을 차고 다이빙 자세후 공중에서 헤딩하는 동작이다.
● 지도방법 및 연습방법
- 바닥에 몸의 충격을 보호할수 있는 장비를 놓고 공을 갖지 않고 연습을 실시한다. 일정한 동작이 숙달이 되면 2사람이 1조가 되어 한 사람이 공을 던져주고 연습을 할수 있도록 한다. 어느 방향, 속도에도 헤딩을 할수 있도록 연습을 실시한다. 초등학생의 경우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으므로 가급적이면 실시하지 않도록 한다.
4. 3∼4인 한조가 되어 한명은 공을 던져주고 나머지 인원은 한줄로 서서 트레핑을 한 후 뒤로 돌아가는 동작을 지속적으로 실시한다.
2. 헤딩(heading)
- 골기퍼를 제외한 모든 선수들은 팔과 손으로 플레이를 할수 없기 때문에 높은 공을 처리하기 위하여 복부, 가슴, 머리등의 신체부위를 이용한다.
헤딩을 가장 높은 볼을 처리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식이다. 정확하게 이마를 사용하여 패스, 슈팅의 역학을 수행한다.
(1) 헤딩의 종류
㉠ 스탠딩 헤딩
- 지면에 서서 헤딩을 하는 동작을 말한다. 지면에서의 양발의 위치는 어깨 넓이 만큼 벌리고 무릎은 유연한 자세를 유지한다.
헤딩에서 공과 접촉하는 부분은 이마로, 이마에 의해 충격을 가할 수 있고 또한 방향을 조정하면서 추진력을 가하는 것이다. 상체가 뒤로 젖혀졌을 때는 턱을 당기고 목의 근육을 긴장시키도록 하며 공을 주시하면서 상체를 앞으로 진동시키면서 공을 이마에 접촉하게 된다.
이마에 공이 접촉할 때 당겼던 턱을 앞으로 내밀면서 공을 보내고자 하는 방향으로 이마를 향하게 하는 동작을 취하도록 한다.
공을 좌우 방향으로 내보낼 때 상체의 움직임이 공의 방향과 같게 해야 하며 또 백헤딩을 할 때는 공과 이마가 접촉하는 순간 이마가 공중으로 향하도록 해야하며 턱을 올려야 한다. 그리고 가슴을 충분히 펴서 상체를 뒤로 기울리도록 한다.
● 지도방법 및 연습방법
- 초기에는 2∼3m 거리에서 던져 연습을 하도록 하며 공을 던지는 사람은 편안하게 할 수 있도록 공을 정확히 던져 주어야 한다. 헤딩을 하는 사람은 상체의 동작에 유의하며 이마 부위에 공이 정확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주의한다.
거리 및 속도의 변화를 주어서 헤딩을 할수 있도록 한다. 어느정도 익숙해 지면 3∼4명이 한조가 되어 헤딩을 연속적으로 할수 할 수 있도록 한다.
㉡ 점프 헤딩
- 점프 헤딩의 기본은 스탠드 헤딩과 동일하다. 유일하게 차이점은 제자리에서 서서 하는 동작이 아니라 공중으로 뛰어올라 헤딩을 하는 점이다.
점프 헤딩의 방법은 제자리에서 양발로 뛰어오르는 방법과 달리면서 한쪽 발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나뉠수 있다. 점프헤딩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점프의 가장 높은 지점에서 상체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공과 이마가 접촉할 때 신체가 발런스를 유지하는지의 여부이다. 따라서 공의 움직임을 예측하고 헤딩을 하는 접촉 순간의 타이밍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이다.
● 지도방법 및 연습방법
- 제자리에서 점프하여 정확한 동작을 취할 수 있게 한다. 이런 동작이 익숙해 지면 자신이 공을 던지고 헤딩하는 동작을 연습한다. 파트너를 정하여 일정한 거리에서 헤딩 연습을 실시하고 익숙해 지면 거리 및 방향의 변화를 주어 헤딩 연습을 실시한다. 정확한 공중 동작과 공을 이마에 정확히 맞출수 있도록 연습한다.
㉢ 다이빙 헤딩
- 몸을 앞으로 다이빙하듯이 몸이 쓰러지면서 하는 것인데 이는 전방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경기장의 장면과 목적에 따라 앞 뒤, 좌우 등 어떠한 방향으로든지 할 수 있는 헤딩 기술이다.
허리를 낮추고 발구름하는 다리에 몸의 중심을 실으면서 상반신을 앞으로 기울도록 하여, 몸의 중심을 앞으로 이동시키면서 발구름 발로 지면을 차고 다이빙 자세후 공중에서 헤딩하는 동작이다.
● 지도방법 및 연습방법
- 바닥에 몸의 충격을 보호할수 있는 장비를 놓고 공을 갖지 않고 연습을 실시한다. 일정한 동작이 숙달이 되면 2사람이 1조가 되어 한 사람이 공을 던져주고 연습을 할수 있도록 한다. 어느 방향, 속도에도 헤딩을 할수 있도록 연습을 실시한다. 초등학생의 경우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으므로 가급적이면 실시하지 않도록 한다.
추천자료
점도의 정의 및 측정 방법, 종류, 단위 및 고려사항
[치매][치매노인][사회복지서비스프로그램]치매의 진단과 예방 및 치매노인을 위한 사회복지...
[스톡옵션]스톡옵션(주식매입선택권)의 개념, 스톡옵션(주식매입선택권)의 종류, 도입목적과 ...
[심폐소생술][CPR]심폐소생술(CPR)의 원리, 목적, 종류, 소아심폐소생술(CPR)고찰과 심폐소생...
[수행평가][교육평가]수행평가의 개념, 수행평가의 종류, 수행평가의 특징과 수행평가의 유사...
국세 및 지방세의 종류별(총30개) 과세대상, 과세방법, 및 세율 정리(17page 분량)
세균성식중독(감염형과 독소형)과 바이러스성식중독의 종류와 특성 및 예방 방법을 기술하시오
[실험] 화학공학 -단증류 실험 _ 중류란, 증류 종류, 응용분야, 실험기구, 장치, 방법, 결과,...
[교육심리학] ≪창의성(創意性/creativity)≫ 창의성의 정의, 창의성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지...
고혈압의 원인과 증상 및 합병증, 고혈압의 종류(분류)와 진단방법, 고혈압 치료를 위한 식이...
[뇌졸중] 뇌졸중의 유형(종류)과 원인 및 증상, 뇌졸중 예방 및 치료방법(뇌졸중의 영양치료,...
식중독의 종류와 원인 및 예방방법) 세균성 식중독(감염형 식중독, 독소형 식중독, 알레르기...
[심혈관계질환] 심혈관계 질환의 종류와 원인 및 치료방법 - 심근경색증, 울혈성 심부전, 심...
[기분장애] 양극성 정동장애(조울병, 조울증, 양극성 장애), 우울증, 알코올중독의 개념과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