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끼전속의 인물욕망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토끼전속의 인물욕망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1.용왕의 욕망
2.자라의 욕망
3.토끼의 욕망
4.신하의 욕망

결론

본문내용

어 있지 않다. 두 번째 수족회의가 열렸을 때는 나서서 토끼를 벌하자는 신하가 나타난다. 위와 같이 여러 대신들이 나서서 토끼를 잡아오겠다 하고 비를 내려 산을 함몰하여 바다를 만들어 토끼 족속까지 멸하자 하는 것은 용왕에 대한 권위를 인정하는 신하의 모습이기도 하다. 자라와 같은 충(忠)의 형태로 볼 수도 있지만 자라의 충의 이념을 실천하려는 욕망이나 개인적인 공명을 위한 욕망이라고 할 수는 없다.
결론
<토싶전>에서의 인물들의 욕망은 속고 속임을 통해서 드러나고 각각 인물들의 욕망은 누구하나 이루어지지 못한 채 끝나버리고 만다. 용왕은 삶을 이어나가고 자 하는 욕망을 가졌으나 결국 토끼에게 속아, 죽음으로써 욕망이 끝나고 자라는 토끼를 속여 수궁으로 데려 옴으로써 충과 공명이라는 욕망을 해결하는 듯 했으나 다시 토끼에게 속음으로써 죽음으로 끝나고 만다. 토끼는 개인적인 안락이라는 욕망을 수궁 행을 통해 이루는 듯 했으나 그것이 속은 것임을 알고 속임을 통해 위기를 빠져나오게 된다. 신하들의 욕망은 충과 개인적 욕망이라고도 할 수 있으나 뚜렷이 나타나지는 않는다.
<토끼전> 속의 속임과 속음의 대결관계는 그 속에 다시 크고 작은 속임과 속음의 관계가 여러 차례 반복된다.
) 최광석, 「<토끼전>이본계열의 구조와 근대 지향 의식」,경북대학교 대학원, 2001. p.147.
자라와 토끼가 만났을 때 자라는 자신이 육지에 나온 목적을 속이고 토끼는 속으며, 토끼는 자신이 육지생활이 행복한 것처럼 속이려하나 자라는 속지 않는다. 자라가 토끼를 속이면 용왕은 살고 토끼는 죽을 수밖에 없으며, 토끼가 용왕을 속이면 토끼는 살고 용왕은 죽을 수밖에 없다. 자라의 경우는 속임과 속음의 문제가 자신의 생존의 문제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나 용왕의 생사가 자신이 생사에 직결된다고 스스로 생각하고 있다. 속임과 속음의 구조는 삶의 논리이며 생존의 논리라 할 수 있다. 각 인물들의 욕망은 이렇듯 서로의 어울림 속에서 속임과 속음을 대립구도를 통해 드러난다.
참고문헌
김광숙외 20명, 『한국고전소설론』, 새문사, 1992.
김병국외 15명, 『고소설 연구1』, 태학사, 1997.
김진영외 4명, 『토끼전 전집2』,도서출판 박이정, 1998.
최광석, 「<토끼전>이본계열의 구조와 근대 지향 의식」,경북대학교 대학원, 2001.
, 최광석, 『<토끼전>의 결말구조의 두양상과 성격』-선주논총 제 3집, 선주문화연구소, 2000.

키워드

  • 가격9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7.29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21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