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연소자를 사랑하겠다"고 말하고 있다[公冶長편]. 역시 이편이 공자답다고 하겠다.
(6) 階級性
공자의 학은 君子의 학이다. 공자의 사상이 위정자를 위한 사상임은 말할 것도 없다. 덕치의 구상도 그러한 입장에서 생각된 것이고 仁의 德도 위로부터 아래로의 '施惠'라는 성격을 다분히 갖고 있었던 것 같다. 공자가 염두에 두고 말하고 있는 건 위정자의 부류에 속해 있는 사람들의 마음가짐뿐이며, 백성은 전적으로 위정자의 지도에 따르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다만 공자는 위정자에게 도덕적인 정당성을 요구하고, 또 백성에게 '은혜'를 베풀라고 강조한다. 덕치주의는 백성에게도 도덕성을 인정한 연후에 비로소 성립되는 것이었다. 이는 이를테면 법가 사상이 오로지 군주만을 위하고, 백성을 농업 생산력과 戰力의 근원으로만 생각하는 것과는 커다란 차이가 있다. 공자는 더욱 넓은 시야에서 전체의 질서를 생각하고 있었으리라고 여겨진다.
지금까지 서술해 온 공자의 사상의 특징은 매우 세속적 상식적이고, 또 그 내용이 너무 단조로와 보이긴 해도, 전통에 의거하여 인간의 가치를 존중한 당시의 봉건 사회에서의 위정자측의 사상으로서 가장 온화하고 밝은 사상이었다고 할 수 있다.
(6) 階級性
공자의 학은 君子의 학이다. 공자의 사상이 위정자를 위한 사상임은 말할 것도 없다. 덕치의 구상도 그러한 입장에서 생각된 것이고 仁의 德도 위로부터 아래로의 '施惠'라는 성격을 다분히 갖고 있었던 것 같다. 공자가 염두에 두고 말하고 있는 건 위정자의 부류에 속해 있는 사람들의 마음가짐뿐이며, 백성은 전적으로 위정자의 지도에 따르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다만 공자는 위정자에게 도덕적인 정당성을 요구하고, 또 백성에게 '은혜'를 베풀라고 강조한다. 덕치주의는 백성에게도 도덕성을 인정한 연후에 비로소 성립되는 것이었다. 이는 이를테면 법가 사상이 오로지 군주만을 위하고, 백성을 농업 생산력과 戰力의 근원으로만 생각하는 것과는 커다란 차이가 있다. 공자는 더욱 넓은 시야에서 전체의 질서를 생각하고 있었으리라고 여겨진다.
지금까지 서술해 온 공자의 사상의 특징은 매우 세속적 상식적이고, 또 그 내용이 너무 단조로와 보이긴 해도, 전통에 의거하여 인간의 가치를 존중한 당시의 봉건 사회에서의 위정자측의 사상으로서 가장 온화하고 밝은 사상이었다고 할 수 있다.
추천자료
동양철학 요약정리 (공자, 맹자, 성선,성악설, 주자의 이기론)
'공자-인간과 신화' 서평
주희 논어집주 공자 논어 제 18편 미자 한문 원문 및 한글 해석
공자, 맹자의 교육관에 비추어 본 나의 교육관
(동서양고전) 공자의 <논어> 내용요약 및 독후감
(동서양고전) 공자의 <논어> 내용요약 및 감상문--배움의 자세를 중심으로
(동서양고전) 공자의 <논어> 내용요약 및 독후감
(동서양고전) 공자의 <논어> 내용요약 및 감상문
(동서양고전) 공자의 <논어> 내용요약 및 감상문
[동서양고전]공자의 논어에 대한 감상문
공자에 대하여
[독후감] 소설 공자 _ 최인호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