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줄거리
3. 발췌
4. 감상
2. 줄거리
3. 발췌
4. 감상
본문내용
같은 사상도 하나로 정립하고 상황별로 적용하기 힘든데, 다른 사상과 섞이면 더 혼란스럽지 않겠는가. 그러니 ‘맞고 틀리다’의 아집에서 벗어나 다름을 인정했으면 한다.
특히 우리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자 상대적 동물이라고 생각한다. 알랭드 보통의 <불안>에서도 나오는데 나보다 키가 작은 사람들 무리에 있을 때는 크다고 느끼지만, 나보다 키가 큰 사람들 속에 있으면 작다고 느낀다. 나는 그대로인데 말이다. 여기서도 공자는 안자에게 이상주의라고 평가받는다. 하지만 공자는 노자와 만나고 자신이 현실주의라고 생각한다. 비교 대상이 바뀌면서 이상주의자였던 공자가 어느새 현실주의자가 되었다. 이렇게 우리는 상황에 따라 큰 생각과 인식의 변화를 겪는 다는 것을 놓치지 말아야 겠다.
작가도 자주 언급하지만 세계 3대 성인 (예수, 석가, 공자)에서 공자는 나머지 두 분과 성격이 조금 다르다. 공자는 기적을 일으키지 못하고, 중간중간 실수도 범하며, 마지막까지 자신의 큰 뜻은 이루지 못한다. 이는 영웅 중에서도 불행한 결말을 맞이하는 ‘임경업’과 같은 민중적 영웅을 떠오르게 한다. 도술을 부리고 하고 싶은 일을 모두 하는 홍길동보다 더 인간적인 모습에 정감이 가기도 하는데, 공자도 이와 같다. 그의 인간미 넘치는 모습에서 매력을 느낀다. 그리고 그를 종교가 아닌 철학자로 대할 수 있어 다행인 것 같다. 믿음을 강요하기보다, 사상을 배우고 익히기를 바라며, 가르쳐 주려고 하는 그의 모습에서 나또한 그를 더 깊이 알고 싶어진다. 구원받기 위해서가 아니라, 배우고 싶어지는 사람. 그의 제자인 맹자에 대해서도 바로 알아봐야겠다.
특히 우리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자 상대적 동물이라고 생각한다. 알랭드 보통의 <불안>에서도 나오는데 나보다 키가 작은 사람들 무리에 있을 때는 크다고 느끼지만, 나보다 키가 큰 사람들 속에 있으면 작다고 느낀다. 나는 그대로인데 말이다. 여기서도 공자는 안자에게 이상주의라고 평가받는다. 하지만 공자는 노자와 만나고 자신이 현실주의라고 생각한다. 비교 대상이 바뀌면서 이상주의자였던 공자가 어느새 현실주의자가 되었다. 이렇게 우리는 상황에 따라 큰 생각과 인식의 변화를 겪는 다는 것을 놓치지 말아야 겠다.
작가도 자주 언급하지만 세계 3대 성인 (예수, 석가, 공자)에서 공자는 나머지 두 분과 성격이 조금 다르다. 공자는 기적을 일으키지 못하고, 중간중간 실수도 범하며, 마지막까지 자신의 큰 뜻은 이루지 못한다. 이는 영웅 중에서도 불행한 결말을 맞이하는 ‘임경업’과 같은 민중적 영웅을 떠오르게 한다. 도술을 부리고 하고 싶은 일을 모두 하는 홍길동보다 더 인간적인 모습에 정감이 가기도 하는데, 공자도 이와 같다. 그의 인간미 넘치는 모습에서 매력을 느낀다. 그리고 그를 종교가 아닌 철학자로 대할 수 있어 다행인 것 같다. 믿음을 강요하기보다, 사상을 배우고 익히기를 바라며, 가르쳐 주려고 하는 그의 모습에서 나또한 그를 더 깊이 알고 싶어진다. 구원받기 위해서가 아니라, 배우고 싶어지는 사람. 그의 제자인 맹자에 대해서도 바로 알아봐야겠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