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영웅소설 <방한림전> 조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여성영웅소설 <방한림전> 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 <방한림전>에 대한 간단한 소개

2. 줄거리

3. 모티브로 본 <방한림전> - 남장여자, 동성혼, 입양, 적강

4. 등장인물분석 - 방관주, 영혜빙

5. 여성영웅소설로서의 의미

6. 맺음말

본문내용

하지 않겠다는) 위의 대목에서도 잘 드러난다. 이 점에서 영혜빙은 매우 혁신적인 인물이라 보여진다.
또한 영혜빙은 방관주와의 처음 만남에서 방관주가 여자임을 꿰뚫어 보는 통찰력을 지니기도 하였다. 독신으로 살겠다는 자신의 생각을 바꾸고 방관주와 결혼함으로써 유연한 사고를 하고 있기도 하다. 영혜빙에게 있어서 방관주와의 결혼은 당대의 여성을 억압하는 것이 아니라 부부간의 수평적 관계를 의미하는 것이다. 여성과의 결혼을 통해 그것이 가능하다고 본 것이다. ‘내가 보니 방씨의 얼굴이 시원스럽고...이런 영웅 같은 여자를 만나 일생 지기가 되어 부부의 의리와 형제의 정을 맺어 한평생을 마치는 것이 나의 소원이다’ 장시광, [조선시대 동성혼 이야기 : 방한림전] (한국학술정보, 2006) p.30.
는 대목에서 여성인 방관주와의 결혼을 결심하고 자신이 자기를 포함한 두 사람의 일생을 같이 만들어 가겠다고 하며 적극적이고 개방적인 여성주의적 면모가 나타난다.
또한 방관주가 남장을 함으로써 남성으로 사회적 자아를 실현한 데 비하여, 영혜빙은 여성으로써의 정체성을 지닌 인물이었다. 가정 안에서의 여성의 역할을 하지만 그것이 결코 남성에 예속되는 것이 아닌 자신도 동등한 입장임을 주장한다. 부부 관계에 있어서 자신의 동등한 권리를 주장하는 모습을 보인다. ‘군가가 상으로 받은 것을 아들과 그대는 가지되 첨에게는 미치지 않으니 어찌된 일입니까?’ [조선시대 동성혼 이야기 : 방한림전], 위책, p.71.
는 대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방관주가 큰 공을 세워 상을 받은 것은 자신의 덕분이기도 함을 언급하며, 아들하고만 그 공을 나누는 것에 불만을 드러낸다. 자신의 정당한 권리를 요구하는 것이다. 즉, 가정에서 여성의 역할도 남성의 역할 못지 않게 중요함을 주장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영혜빙의 수평적인 관계 구현 의지를 엿볼 수 있다.
그리고 영혜빙은 가부장제의 남성의 권위를 들어내는 방관주를 깨우치는 역할도 하고 있다. ‘나에게 당치 않은 것이 그대에게 홀로 맞는 것이 있겠습니까?’ [조선시대 동성혼 이야기 : 방한림전], 위책, p.71.
는 대목은 남성의 권위를 드러내는 방관주에게 여성의 역할도 그에 못지 않음을 주장하는 것이다. 또한 \'문백\'이라고 방관주의 호를 부르며 호형하는 대목에서 민주적이고 수평적인 부부 관계를 지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방관주는 처음 영혜빙과 결혼을 할 때 수평적인 \'지기\'로 살 것을 약속했다. 그러나 방관주가 점차 정치적인 권력을 갖고 지위가 상승하면서 남편들의 관행처럼 영혜빙에게 예속적인 관계를 요구하였다. 이에 대해 영혜빙은 문제를 제기하며 방관주의 이러한 태도를 경계하고 있는 것이다. 이 점에서 볼 때 영혜빙은 방관주보다 더 진보적이며 깨어 있는 인물이라 할 수 있다.
영혜빙은 밝은 직관으로, 주체적 인식과 성찰적, 개성적, 추진력과 실천력을 갖춘 활달함과 의지력과 도전적인 기질을 지니면서도, 쾌활하고 따뜻한 이해력을 지닌 인물이다. 이 점은 유모가 두 사람이 각각 결혼할 것을 말할 때 방관주가 화를 내자 ‘문백형은 어찌 우연한 일에 유모를 질타하십니까? 유모는 불과 주인을 위한 충성된 마음을 가졌으니 또한 아름답지 않습니까?’ [조선시대 동성혼 이야기 : 방한림전], 위책, p.50.
라고 말한 대목에서 나타난다. 영혜빙은 남성중심사회가 억지로 이분화한 양분된 여성주인공의 성격이 아니다. 그 문화적으로, 후천적이고, 사회적으로 마치 불변적인 것 같이 규정한 \'여성다움\'과 \'남성다움\'에서 \'여성답게\' 수동적이지도, \'남성답게\' 공격적이거나 냉정하지 않다. 상대를 이해하고 존중하며 그의 발전을 위해 도움을 주는 그런 인물이다. 이론이나 주의를 거부하면서 가부장제의 이분법적인 사고방식에 반기를 든 급진적인 여성주의자가 영혜빙이다. 방관주가 남성을 지향하며 여성 해방적이라면 영혜빙은 사회의 근본적인 문제를 인식하는 인물인 것이다.
5. 여성영웅소설로서의 의미
1) 독립적인 성으로서의 여성상을 표현
기존의 대부분 영웅 소설에서는 ‘스승’이 등장하여 주인공의 교육을 담당하거나 실력자나 조력자가 주인공을 지원하였다. 반면에 <방한림전>에서는 스스로가 사물의 이치를 깨닫고 자신의 길을 정하는 형태로 독립적인 여성상을 표현하고 있다. 이는 방한림의 내용구성에서 확인 할 수 있다.
ⅰ. 방한림을 뒤늦게 낳은 무남독녀로 설정
방한림이 태어났을 때부터 부모님의 기대와 여러 역할의 책임을 지고 있는 개체임을 간접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ⅱ. 방한림이 8살 때 부모가 동시에 죽는 구성
방한림이 주변사람들의 관계와 영향 속에서 성장하지 않고 하나의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함을 보여주고 있다.
ⅲ. 방한림이 직접 과거에 응시, 전쟁에 자원 출전하는 내용
스스로가 삶을 결정지을 수 있음을 나타내며 독립적인 성으로서의 여성상을 표현하고 있다.
2) 수평적 인간관계 설정 - 평등과 생명을 존중하는 여성문화를 표현
ⅰ.부모와 자식
바야흐로 말을 일으매 글자를 가르치니 하나를 들으면 열을 통하고 열을 들으면 천을 깨우치니 부모 애중하여 아들 없음을 한치 아니하고 홍금채의를 입히되 문백소저 천성이 소탈하고 검소하여 취삼으로 쳬긴 옷을 입고자 하는지라 방공 내외 여아의 뜻을 맞추어 소원대로 남복을 지여 입히고 아직 어린고로 여공을 가르치지 않고 오직 시서를 가르치니, 방적수선을 권한 즉 스스로 폐하니, 부모 또한 여아의 재모범인이 아니라 또한 슬피여김을 구태여 권치 않고 여복을 나오지 아니하고 친척으로 하여금 아들이라 하더니 <방한림전>, 나손문고본, 1장
위 대목에서 보듯이 방한림은 여성과 남성의 성정체성을 구분 할 수 있기도 전에 소탈한 남자아이 옷을 입기를 좋아하며 여도를 거부한 채 남자들이 배우는 학문을 즐겨한다. 이에 부모님은 방한림에게 여도를 강요하지 않고 오히려 그녀의 의견을 존중하며 스스로 모든 일을 결정하도록 한다. 이는 권위 질서 아래 부모의 뜻대로 자녀를 키우는 수직적인 관계가 보편적이었던 당시 사회와 달리 방한림의 부모는 자녀 중심 교육관을 지녔으며 자식과 부모간의 관계가 수평적임을 보여주고 있다.
ⅱ) 부부
양인이 화락야 할임이 됴당의 갓다오면 당의셔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7.01.21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99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