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교와 현대 사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시작하며
2. 유교(儒敎)
2-1. 유교란 무엇인가?
2-2. 유교의 사상적 성격
3. 현대 사회
3-1. 현대 사회의 의미
3-2. 현대 사회의 특징
3-3. 21세기 사회의 모습

본문내용

웃는 모습, 우는 모습의 사진을 찍고, 그 얼굴 사진을 디지털화 해 컴퓨터에 입력시키는 작업을 수행하는 감성 컴퓨터의 탄생을 예측하는 학자도 있다.
이러한 컴퓨터 분야의 획기적 발전은 Internet에 의한 정보의 세계화를 앞당기고 있으며, 정보화가 국가의 운명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할 것으로 본다. 바야흐로 전자 Network가 TV와 세탁기, 자동차, 자동 판매기, 우주 공간을 연결하여 세계 통합 네트 워크 시대 개막을 예고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전자 감시 사회와 정보 민주주의의 갈림길에 서 있다.
두 번째로 예견되어 지는 것은 생명공학 분야에서의 변화이다. 생명공학에 대해서는 1998년 여름 영국의 찰스 왕세자가 '유전자 조작은 신의 영역을 침범하는 행위'라며 반대 운동에 가담하고 나서자, 농부 출신인 카터 대통령이 가난한 제 3세계의 식량난을 앞세워 생명 공학의 불가피성을 역설하고 나선 것이다. 현재 미국의 과학자들은 공기에서 바로 질소를 섭취하는 식물을 개발 중이며, 워싱톤의 카네기 연구소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만드는 박테리아의 유전자를 겨자나무에 집어 넣어 플라스틱이 열리는 나무를 개발했다. 또 미 넥트란사는 인간과 비슷한 간을 지닌 돼지를 만들었으며, 이 돼지의 간을 사람에게 이식하기 위한 1단계 임상실험을 진행중이며 2020년이면 인체 장기의 95%를 시험관에서 성장시킨 기관으로 대체될 전망이다. 이러한 사실들은 복제 인간과 양질의 유전자로 무장한 '개량 인간'의 탄생이 가능성의 영역으로 다가옴에 따라 기존의 평등관도 해체 될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예측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우려해야 할 다른 문제는 자연과 생존의 문제이다. 현재 지구에서는 세계 40개국에서 식량난을 겪고 있고 60억 인구 중 해마다 1,800만명이 굶주림으로 죽어가고 있다. 그리고 2025년이 마실 물을 가까이 할 수 없는 인구는 5억명에서 13억명으로 늘어나고 2050년이 되면 세계 인구의 2/3가 물 부족 사태에 직면할 것이다. 설상가상으로 21세기 지구의 평균 온도는 3℃상승하고, 해수면은 21㎝ 상승해 바닷가 대도시들은 위협을 받게 될 것이며 이에 따른 기상 이변(CO2 가스의 다량 배출이 원인)은 인류에게 엄청난 재앙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미 이러한 징조는 나타나고 있는데, 인도의 폭염, 동아프리카의 한발, 미국의 토네이도, 빈발하는 열대성 저기압, 엘리뇨와 라니냐 현상 등이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인류의 미래를 생각해 보면, 지속 가능한 지구, 인류의 생존을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 인류에게 희망은 있는가? 라는 의문을 갖게 한다.
이와 함께 '세계화 물결 앞에 국가는 없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탈 규제와 시장 자유화와 기술혁신을 주축으로 하는 시장 자본주의의 세계화 현상은 국가의 의무를 대내외적으로 최고 권위로서 주권을 행사하던 역할에서 안팎을 매개해 주는 역할로 바뀌어 가고 있다. 그리고 세계화가 진행될수록 각 개인들은 보다 작은 집단에서 귀속감을 찾으려 한다는 역설이 주장되고 있는 현실이다.
  • 가격4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07.30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22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