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연역과 귀납>
1. 타당성(건전성)
2. 개연성
3. 연역과 귀납의 복합
1장 좋은 논증이란
-좋은 논증의 조건-
1.관련성
2.전제의 참
3.충분한 근거
4.반박 잠재우기
2장 논증으로 재구성하기
<기본적인 마음가짐>
1)호의적인 해석
①의도 확대의 오류
②허수아비 공격의 오류
2)숨은 전제 보완
3)논증으로 재구성하기
3장 오류, 제대로 이해하기
1) 오류란 무엇인가?
2) 오류의 종류
<형식적 오류>
① 후건 긍정의 오류
* 후건 부정의 추론
② 전건 부정의 오류 (p 이면 q 인데 p를 부정하면 q가 부정된다.)
*전건 긍정의 추론
③ “아니면” 의 오류
<비 형식적 오류>
① 무 관련성의 오류
A. 대중 호소의 오류
B. 발생학적 오류
C. 인신공격의 오류
② 수용가능성 오류
A. 이중 의미의 오류(강조의 오류, 은밀한 재정의 오류)
B. 질문 구걸의 오류(순환 논증의 오류)
③ 불충분한 근거의 오류
A. 근시안적 귀납의 오류
B. 무지 논증의 오류
C. 결정적 증거 누락의 오류
D. 공통원인 간과의 오류
④ 반박 피하기의 오류
A. 반증 무시의 오류
B. 우물에 독 뿌리기의 오류
1. 타당성(건전성)
2. 개연성
3. 연역과 귀납의 복합
1장 좋은 논증이란
-좋은 논증의 조건-
1.관련성
2.전제의 참
3.충분한 근거
4.반박 잠재우기
2장 논증으로 재구성하기
<기본적인 마음가짐>
1)호의적인 해석
①의도 확대의 오류
②허수아비 공격의 오류
2)숨은 전제 보완
3)논증으로 재구성하기
3장 오류, 제대로 이해하기
1) 오류란 무엇인가?
2) 오류의 종류
<형식적 오류>
① 후건 긍정의 오류
* 후건 부정의 추론
② 전건 부정의 오류 (p 이면 q 인데 p를 부정하면 q가 부정된다.)
*전건 긍정의 추론
③ “아니면” 의 오류
<비 형식적 오류>
① 무 관련성의 오류
A. 대중 호소의 오류
B. 발생학적 오류
C. 인신공격의 오류
② 수용가능성 오류
A. 이중 의미의 오류(강조의 오류, 은밀한 재정의 오류)
B. 질문 구걸의 오류(순환 논증의 오류)
③ 불충분한 근거의 오류
A. 근시안적 귀납의 오류
B. 무지 논증의 오류
C. 결정적 증거 누락의 오류
D. 공통원인 간과의 오류
④ 반박 피하기의 오류
A. 반증 무시의 오류
B. 우물에 독 뿌리기의 오류
본문내용
의 식민지지배가 정당화되지 않는다.
예) 꿈에서 본 사탕을 내놓아라. 하면 꿈에서 본게 똑같다. 아니다, 봤다. 안 봤다. 가 아니라 꿈에서 보든 안보든 내놓으라는 것 자체가 잘 못 됐다.
C. 인신공격의 오류
-상대방 개인의 형편이나 이력을 가지고 문제와 상관없이 공격하는 것
-상대방이 처한 사회적 상황이나 견해를 트집 잡아 공격하는 것
....외에 10여가지가 더 있다.
② 수용가능성 오류
*복합 질문의 오류
-두 가지 이상의 질문을 같이 할 때 발생 예) 왜?+훔쳤어?
A. 이중 의미의 오류(강조의 오류, 은밀한 재정의 오류)
-한 논증에서 전제에 있는 하나의 단어나 어휘를 서로 다른 의미로 사용할 때 발생하는 오류이다. 즉, 같은 단어나 어휘를 다른 의미로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닌 것처럼 위장하여 잘못된 결론을 이끌어낼 때 발생.
-강조의 오류: 특정 단어나 어휘를 강조함으로써 발생
B. 질문 구걸의 오류(순환 논증의 오류)
-명제에 이미 결론이 들어 있어 듣는 사람이 그 결론을 내리도록 유도하는 오류이고, 순환논증의 오류는 결론이 전제에 이미 포함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전제와 결론이 사실상 같은 의미이고, 새로운 정보도 제공하지 못 하면서 마치 이유를 제시한 것처럼 보이게 하는 오류
③ 불충분한 근거의 오류
A. 근시안적 귀납의 오류
-고려해야 할 여러 가지 요소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 가지 요소만을 부각시켜 결론을 이끌어 낼 때 생기는 오류.
B. 무지 논증의 오류
-어떤 주장이 거짓이라는 증거나 증명이 없다는 이유로 그것을 참이라 거나
어떤 주장이 참이라는 증거나 증명이 없다는 이유로 거짓 이라고 할 때 발생하는 오류
즉, 논증이 결론을 정당화하기 위한 근거로 무지를 사용한다면 결론을 정당화 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참이라면 참이라는 근거를 제시해야지 참이 아닌 거짓 증거의 근거가 없어서 참이라는 주장은 불충분하다.]
C. 결정적 증거 누락의 오류
-결론을 지지할 결정적인 증거가 결여된 논증에서 발생
-여러 개의 전제를 제시하고도 결론을 뒷받침할 결정적 증거가 없다면 결정적 증거 누락의 오류이다.
D. 공통원인 간과의 오류
-겉으로는 인과적으로 연결된 것처럼 보이는 두 현상이 사실은 인과 관계에 있지 않고 하나의 공통 원인에 따른 두 가지 결과일 경우 이것을 무시하거나 간과 할 때 발생
-원인은 보통 시간의 선후 기준으로 원인과 결과를 판단하는 경우 때문
-공통원인의 가능성은 우리의 사고를 넓히고 사고의 수준도 높일 수 있다.
예) 1. 청소년은 폭력물에 노출되어 있다.
2. 폭력을 다룬 영화 등이 청소년을 폭력적으로 만든다.
3. 폭력을 규제하여 청소년을 폭력에 물들지 않게 해야한다.
-폭력물을 만드는 것과 청소년이 폭력적으로 되는 것은 공통의 원인이 있을 수 있다.
④ 반박 피하기의 오류
*피장파장의 오류-반박자체를 피하고, 상대방의 주장을 무력화시킨다.
A. 반증 무시의 오류
-논증의 결론에 불리하거나 결정적으로 결론을 뒤짚을 수 있는 증거를 논증제시자가 일부러 무시하거나 누락시키는 경우 발생
예) 부모의 결혼에 대한 입김-결혼 비용과 집 장만에 드는 돈을 부모가 내기 때문
예) 휴대폰 회사의 휴대전화 뇌암 발생률과의 관계를 무시
B. 우물에 독 뿌리기의 오류
-우물에 독을 뿌리면 우물을 먹는 사람은 모두 죽는다. 이렇게 아예 우물을 마실 수 없도록 막는 것처럼. 어떤 논증을 읽었을 때 논증의 구조가 반론을 제기할 수 없도록 되어진 경우
예) 1. 해방후 우리나라의 교육은 미국 식민지 교육이다.
2. 이런 사실을 부정하는 사람은 미국 식민지 교육의 성공 사례이다.
∴3. 동의하든, 부정하는 미국 식민지 교육을 인정하게 된다.
예) 꿈에서 본 사탕을 내놓아라. 하면 꿈에서 본게 똑같다. 아니다, 봤다. 안 봤다. 가 아니라 꿈에서 보든 안보든 내놓으라는 것 자체가 잘 못 됐다.
C. 인신공격의 오류
-상대방 개인의 형편이나 이력을 가지고 문제와 상관없이 공격하는 것
-상대방이 처한 사회적 상황이나 견해를 트집 잡아 공격하는 것
....외에 10여가지가 더 있다.
② 수용가능성 오류
*복합 질문의 오류
-두 가지 이상의 질문을 같이 할 때 발생 예) 왜?+훔쳤어?
A. 이중 의미의 오류(강조의 오류, 은밀한 재정의 오류)
-한 논증에서 전제에 있는 하나의 단어나 어휘를 서로 다른 의미로 사용할 때 발생하는 오류이다. 즉, 같은 단어나 어휘를 다른 의미로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닌 것처럼 위장하여 잘못된 결론을 이끌어낼 때 발생.
-강조의 오류: 특정 단어나 어휘를 강조함으로써 발생
B. 질문 구걸의 오류(순환 논증의 오류)
-명제에 이미 결론이 들어 있어 듣는 사람이 그 결론을 내리도록 유도하는 오류이고, 순환논증의 오류는 결론이 전제에 이미 포함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전제와 결론이 사실상 같은 의미이고, 새로운 정보도 제공하지 못 하면서 마치 이유를 제시한 것처럼 보이게 하는 오류
③ 불충분한 근거의 오류
A. 근시안적 귀납의 오류
-고려해야 할 여러 가지 요소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 가지 요소만을 부각시켜 결론을 이끌어 낼 때 생기는 오류.
B. 무지 논증의 오류
-어떤 주장이 거짓이라는 증거나 증명이 없다는 이유로 그것을 참이라 거나
어떤 주장이 참이라는 증거나 증명이 없다는 이유로 거짓 이라고 할 때 발생하는 오류
즉, 논증이 결론을 정당화하기 위한 근거로 무지를 사용한다면 결론을 정당화 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참이라면 참이라는 근거를 제시해야지 참이 아닌 거짓 증거의 근거가 없어서 참이라는 주장은 불충분하다.]
C. 결정적 증거 누락의 오류
-결론을 지지할 결정적인 증거가 결여된 논증에서 발생
-여러 개의 전제를 제시하고도 결론을 뒷받침할 결정적 증거가 없다면 결정적 증거 누락의 오류이다.
D. 공통원인 간과의 오류
-겉으로는 인과적으로 연결된 것처럼 보이는 두 현상이 사실은 인과 관계에 있지 않고 하나의 공통 원인에 따른 두 가지 결과일 경우 이것을 무시하거나 간과 할 때 발생
-원인은 보통 시간의 선후 기준으로 원인과 결과를 판단하는 경우 때문
-공통원인의 가능성은 우리의 사고를 넓히고 사고의 수준도 높일 수 있다.
예) 1. 청소년은 폭력물에 노출되어 있다.
2. 폭력을 다룬 영화 등이 청소년을 폭력적으로 만든다.
3. 폭력을 규제하여 청소년을 폭력에 물들지 않게 해야한다.
-폭력물을 만드는 것과 청소년이 폭력적으로 되는 것은 공통의 원인이 있을 수 있다.
④ 반박 피하기의 오류
*피장파장의 오류-반박자체를 피하고, 상대방의 주장을 무력화시킨다.
A. 반증 무시의 오류
-논증의 결론에 불리하거나 결정적으로 결론을 뒤짚을 수 있는 증거를 논증제시자가 일부러 무시하거나 누락시키는 경우 발생
예) 부모의 결혼에 대한 입김-결혼 비용과 집 장만에 드는 돈을 부모가 내기 때문
예) 휴대폰 회사의 휴대전화 뇌암 발생률과의 관계를 무시
B. 우물에 독 뿌리기의 오류
-우물에 독을 뿌리면 우물을 먹는 사람은 모두 죽는다. 이렇게 아예 우물을 마실 수 없도록 막는 것처럼. 어떤 논증을 읽었을 때 논증의 구조가 반론을 제기할 수 없도록 되어진 경우
예) 1. 해방후 우리나라의 교육은 미국 식민지 교육이다.
2. 이런 사실을 부정하는 사람은 미국 식민지 교육의 성공 사례이다.
∴3. 동의하든, 부정하는 미국 식민지 교육을 인정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