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에로티시즘
3. 외국 영화속에서의 성의식
a) 1970년대의 영화들
b) 1980년대의 영화들(영화의 새로운 돌파구로서의 포르노..)
c) 표현주의, 아방가르드, 형식주의의 영향
d) 동성간의 성
e) 근친상간
f) 성에대한 망상
3. 우리나라 영화속에서의 성의식
a) 최초의 키스씬
b) 1980년대 영화의 에로티시즘
c) 1990년대 (포르노 그라피의 절정기)
4 결 론..
2. 에로티시즘
3. 외국 영화속에서의 성의식
a) 1970년대의 영화들
b) 1980년대의 영화들(영화의 새로운 돌파구로서의 포르노..)
c) 표현주의, 아방가르드, 형식주의의 영향
d) 동성간의 성
e) 근친상간
f) 성에대한 망상
3. 우리나라 영화속에서의 성의식
a) 최초의 키스씬
b) 1980년대 영화의 에로티시즘
c) 1990년대 (포르노 그라피의 절정기)
4 결 론..
본문내용
. 공비토벌이 한창인 전시에 공비에 가담한 이유로 국군에 자수할 수 없는 부상당한 지식인과 그를 돌보는 과부 그리고 그들의 은밀한 사랑에 끼워든 또 다른 과부와의 삼각관계를 통해 본능적인 욕정을 그린 격정적인 에로티시즘을 보여준 작품이다. 60년대의 한국영화의 에로티시즘은 검열의 가위를 피하고 대담한 성묘사의 당위성을 부여하기 위해 문학성이 높은 작품을 영화화한 특색이 있다. 그러나 70년대에 이르러 한국영화는 천태만상의 에로틱한 영화들을 양산하게 된다. 방황하는 여성의 남성편력을 그린 이장호의<별들의 고향(1974)>과 김호선의<겨울여자(1977)>등 일련의 영화들은 성을 매개물로 관객을 끌어모았다. 조심스럽게 영화미학적인 접근을 시도한 성을 다룬 작품도 흔치않게 제작되기도 했다. 김기영의<화녀(71)>나 <충녀(72)>는 성의 억압이 가져오는 자학적인 성관계를 영화화한 대표적인 작품이다.
b) 1980년대 영화의 에로티시즘
80년대에 이르면 에로티시즘 주조의 멜로드라마가 한국영화를 지배하기 시작한다. 정인엽의 <애마부인(1982)>은 성적 충동을 대담하게 묘사함으로써 관객들의 관심을 끌어들인다. <애마부인> 이후 한국 여배우들은 옷벗는 것은 물론 실감있는 섹스 씬을 연기해야 하는 각오없이는 배우가 될 수 없는 시대가 도래하였다. 이장호의<무릎과 무릎 사이(1984)>는 외설을 논할 정도로 대담한 성행위 묘사가 자주 등장하였다. 이어서 발표한 <어우동(1985)>은 조선초 섹스 스캔들의 주인공인 어우동을 통해 그 사회체제를 비판한다고 했으나 관객에게 보여주는 것은 다양한 섹스 씬의 묘사였다.
c) 1990년대 (포르노 그라피의 절정기)
90년대 벽두부터 떠들썩한 <매춘(1990)>의 외설논쟁은 한국영화의 에로티시즘의 한계를 분명하게 들어냈다. 창녀들의 삶을 무가치하게 신파조로 늘어놓는 사건의 연속은 섹스 씬을 보여주기 위한 장치에 불과함을 속일 수 없었다. 이 작품에 비해 장선우의<경마장 가는 길(1992)>은 포스트모던한 사회 풍토 속에서 들어나는 지식인의 덧없는 사랑논쟁을 끈끈한 에로티시즘으로 작품화하는데 어느정도 그 수준을 성취하고 있다. 이어서 발표한 <너에게 나를 보낸다(1994)>는 포르노그라피를 노골적으로 내세운 한국영화의 본격적인 에로티시즘 영화의 시작이라 하겠다.
4 결 론..
영화에서의 성표현은 어느 측면에서 보든지 빼놓을 수 없는 소재가 된다. 그것은 인간의 삶을 그리는 부분으로서 없어서는 안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성은 어느 각도에서든 표현의 대상이 되지만 목적이나 방법에 따라서 예술과 외설의 문제로 비약된다. 그러나 영화에서 성의 묘사는 단순히 영화의 표현문제만이 아니라 사회, 문화적 생활주변의 여건과 관련된 사항임을 알아야 한다. 영화가 퇴폐적인 성문화의 확산을 조장한다는 우려는 바로 이와같은 영화 속의 성문화가 일상의 생활에 깊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반증하고 있는 것이다. 결국 영화 속의 성문화 수용은 당시대의 사회나 개인의 가치기준에 맡길 수 밖에 없는 특별하고 어려운 부문이다.
b) 1980년대 영화의 에로티시즘
80년대에 이르면 에로티시즘 주조의 멜로드라마가 한국영화를 지배하기 시작한다. 정인엽의 <애마부인(1982)>은 성적 충동을 대담하게 묘사함으로써 관객들의 관심을 끌어들인다. <애마부인> 이후 한국 여배우들은 옷벗는 것은 물론 실감있는 섹스 씬을 연기해야 하는 각오없이는 배우가 될 수 없는 시대가 도래하였다. 이장호의<무릎과 무릎 사이(1984)>는 외설을 논할 정도로 대담한 성행위 묘사가 자주 등장하였다. 이어서 발표한 <어우동(1985)>은 조선초 섹스 스캔들의 주인공인 어우동을 통해 그 사회체제를 비판한다고 했으나 관객에게 보여주는 것은 다양한 섹스 씬의 묘사였다.
c) 1990년대 (포르노 그라피의 절정기)
90년대 벽두부터 떠들썩한 <매춘(1990)>의 외설논쟁은 한국영화의 에로티시즘의 한계를 분명하게 들어냈다. 창녀들의 삶을 무가치하게 신파조로 늘어놓는 사건의 연속은 섹스 씬을 보여주기 위한 장치에 불과함을 속일 수 없었다. 이 작품에 비해 장선우의<경마장 가는 길(1992)>은 포스트모던한 사회 풍토 속에서 들어나는 지식인의 덧없는 사랑논쟁을 끈끈한 에로티시즘으로 작품화하는데 어느정도 그 수준을 성취하고 있다. 이어서 발표한 <너에게 나를 보낸다(1994)>는 포르노그라피를 노골적으로 내세운 한국영화의 본격적인 에로티시즘 영화의 시작이라 하겠다.
4 결 론..
영화에서의 성표현은 어느 측면에서 보든지 빼놓을 수 없는 소재가 된다. 그것은 인간의 삶을 그리는 부분으로서 없어서는 안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성은 어느 각도에서든 표현의 대상이 되지만 목적이나 방법에 따라서 예술과 외설의 문제로 비약된다. 그러나 영화에서 성의 묘사는 단순히 영화의 표현문제만이 아니라 사회, 문화적 생활주변의 여건과 관련된 사항임을 알아야 한다. 영화가 퇴폐적인 성문화의 확산을 조장한다는 우려는 바로 이와같은 영화 속의 성문화가 일상의 생활에 깊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반증하고 있는 것이다. 결국 영화 속의 성문화 수용은 당시대의 사회나 개인의 가치기준에 맡길 수 밖에 없는 특별하고 어려운 부문이다.
추천자료
청소년의 성문화 실태에 관한 연구-전북지역 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성문화의개념-남성과 여성의 성문화
[성] 선사시대,메소포타미아, 이집트, 그리스와 로마의 성문화
우리나라의 성문화
인도의 종교와 성문화
[성문화인식조사]우리나라 여자 대학생들의 성희롱 경험 및 인식 연구
청소년의 성문화
대학생의 데이트 문화와 성문화
청소년 성문제, 사이버 인터넷과 청소년 성문화, 복지대안 파워포인트 PPT 프리젠테이션
[청소년의 성문화] 이성교제와 성의식, 청소년 성정체감과 섹스
일본의 성문화
내가 살아온 여성으로서의 삶과 성문화
기독교와성윤리,성문화,현대 기독교 성문화의 유형
[청소년 문제행동] 청소년 성문제행동(性問題行動)의 원인분석 - 생물학적 접근(호르몬 분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