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폰의 특성과 분류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 1 장 Microphone의 특성
1-1절 주파수 특성
1-2절 Polar Pattern (지향특성)
1-3절 감도
1-4절 임피던스
1-5절 최대 음압 레벨

제 2 장 Microphone의 분류
2-1절 변환 방식에 따른 분류
2-1-1 다이나믹형 마이크로폰
1) 리본형(ribbon type)
2) moving coil형
2-1-2 콘덴서형 마이크로폰
1) 일렉트렛 콘덴서 마이크로폰 ( Electret Condenser Microphone)
2) 고주파 콘덴서 마이크로폰 (RF Condenser Microphone)
2-2절 지향 특성에 따른 분류
2-2-1 무지향성 마이크로폰
2-2-2 양지향성 마이크로폰
2-2-3 단일지향성 마이크로폰
2-3절 특수 마이크로폰
2-3-1 바운더리 마이크로폰
2-3-2 초지향성 마이크로폰
2-3-3 스테레오 마이크로폰
2-3-4 무선(wireless) 마이크로폰
2-3-5 미니어쳐 콘덴서 마이크로폰(Miniature Condenser microphone)
2-4절 악세사리
2-4-1 윈드스크린 (wind screen)
2-4-2 쇼크 마운트(shock mount)

본문내용

48-U형 10Ω(400Ω이상의 부하 임피던스)
* 형식 : 고주파 방식 정전형
* 최대 허용 음압 : 816-T-U형 114㏈ SPL, 816-P48-U형 118㏈ SPL
* 고유잡음 : 18㏈ 이하
* 특징 및 용도
음압 경도형 단일 지향성 마이크와 라인형을 조합하여 초단일 지향성을 가지며 핸드 조작이 쉬운 적당한 길이를 가지고 있다. 감도가 좋아서 고유잡음이 낮다. 중고 음역에 매우 예리한 패턴을 가지고 있지만 저음역에서(400㎐ 부근)는 단일 지향성이 되므로 주의해야 하며 진동에 매우 약하므로 쇼크 마운트를 장착하여 사용하더라도 마이크 조작에 신중하여야 한다. 주로 토크의 붐용, TV 영화 로케이션 수음용, 카메라 기자의 원거리 수음용, 스포츠의 효과 수음용 등 야외에서의 수음에 사용된다. 토크난 효과 수음을 할 때는 불필요한 저역을 커트하는 것이 좋다.
2-3-3 스테레오 마이크로폰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은 하나의 마이크로폰 케이스 안에 두 개의 지향성 캡슐을 조합한 마이크로폰으로 스테레오 녹음에 편리하다. 마이크로폰을 밴드나 백코러스, 또는 오케스트라의 약 3~4.5m 앞에 설치하면 우수한 음질의 스테레오 녹음을 할 수 있다. 이 마이크로폰은 캡슐들이 매우 근접해 있기 때문에 시간 지연과 위상 캔슬이 거의 생기지 않는다. 그러므로 모노와 스테레오의 주파수 특성이 동일하여 음질변화가 거의 생기지 않는다.
1) NEUMANN SM-69FET형 스테레오 마이크로폰
* 주파수 특성 : 40㎐ ~ 16㎑
* 지향특성 : 무지향성, 단일 지향성, 양지향성을 포함해서 9단계의 가변
* 감도 :1.8 ㎷/μ bar
* 출력 임피던스 : 250Ω - 평형
* 고유잡음 : 22㏈ SPL 이하(등가 잡음 레벨)
* MS간 크로스토크 : 45㏈ 이상
* 특징 및 용도
SM-69 내장 증폭기를 AC- 710K에서 FET로 한 마이크이다. 주로 MS 방식 스테레오 수음용인데, 음악과 드라마나 스테레오 효과음 수음용으로도 사용된다. 스테레오 수음용으로서 페어 마이크로폰과 비교해 보면 1개로도 스테레오 수음이 가능하고 수음이 간편하며 스테레오 음질의 분리도가 좋다. 또한, 마이크의 위치를 바꾸지 않고도 리모트 컨트롤에 의하여 확산감의 조정이 가능할뿐 아니라 수음뒤에도 1점수음(MS 방식)에 가까운 경우는 확산감의 조정이 가능하다.
2) B&K 4006
* 주파수 특성 : 20㎐ ~ 20㎑ +1㏈
* 지향특성 : Omnidirectional(Pressure)
* 감도 : 9.6㎷/㎩ (250㎐에서)
* 출력 임피던스 :
* 최대음압레벨 : 143 ㏈ SPL
* 전원공급 : 48V Phantom Power
* 특징 및 용도
낮은 Level을 위해 설계된 콘덴서형 마이크로폰으로 감도가 좋고 잡음이 작아 오케스트라, 악기, 목소리 등의 수음에 사용된다. B&K 4003과는 Preamplifer의 전원 공급방식에 차이가 있을뿐 음향학적 특성은 같다. 기본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Standard Protection Grid(은색)는 정면의 소리에 대한 특성이 좋다. 필요할 경우, 다른 2가지의 Protection Grid를 사용하여 Frequency Response를 변경 할 수 있다. Grid DD 0297은 높은 주파수의 임장감(臨場感)을 높여주며, Nose Cone UA77은 높은 주파수에 대해서도 완전한 Omnidirectional Response를 가진다.
2-3-4 무선(wireless) 마이크로폰
무선마이크 시스템은 사실상 모든 유형의 마이크를 사용하므로 마이크에 대해서 보다는 마이크 케이블 대신 사용되는 전송-수신 시스템에 대해서 살펴보자. 각 마이크는 소형 건전지사 작동하는 전송기로 입력되며 이 전송기는 마이크 케이스에 일체화되어 있거나 허리에 매달수 있다. 이 전송기의전력은 약 50㎽ 정도로 단거리 전송용이다. 전송범위는 76m에서 400m까지 다양하다. 전송기의 주파수 할당은 UHF FM 스펙트럼의 150㎒에서 216㎒대 이다. 전송은 같은 주파수애의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데, 종종 수신을 확장시키기 위해 다양한 안테나 시스템을 사용하기도 한다. 오디오는 그 수신기로부터 콘솔이나 리모트 믹서로 연결된다. 어떤 시스템은 두 개의 전송 주파수를 사용하여 혼신이 생길 경우 대체할수 있도록한 것도 있다. 무선 마이크는 마이크 코드가 없기 때문에 이동이 간편하고 의복 장착용은 화면상에서 마이크를 의식 시키지 않고 수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2-3-5 미니어쳐 콘덴서 마이크로폰(Miniature Condenser microphone)
미니어처 마이크로폰은 유니트가 매우 얇아 마이크로폰 스탠드를 사용하지 않고 드럼의 림, 플롯, 혼, 어코스틱 기타에 부착시킬 수 있는 마이크로폰이다. 음질은 스튜디오의 일반 마이크로폰과 동일하지만 일반 마이크로폰과 동등하고 가격은 비교적 저렴하지만 노이즈가 다소 많은 단점이 있다.
2-4절 악세사리
2-4-1 윈드스크린 (wind screen)
강한 바람이 마이크로폰에 전해지면 불필요한 잡음이 생긴다. 녹음 스튜디오에서도 가수가 마이크로폰을 가까이 사용하면 마이크로폰의 출력에는 일그러짐이 발생한다. 특히 '프'또는 ‘티'와 같은 치찰음들은 공기의 움직임이 바로 진동판에 전달되기 때문에 일그러짐이 뚜렷하게 들린다. 대체로 단일 지향성과 양지향성과 같은 압력변화형 마이크로폰들이 치찰음의 영향을 받기 쉽다. 이러한 잡음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윈드스크린이나 팝필터를 사용한다. 윈드스크린은 마이크로폰의 감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강한 바람을 막아줄 뿐 아니라 습기와 먼지로 부터 진동판을 보호한다.
2-4-2 쇼크 마운트(shock mount)
대부분의 녹음 스튜디오에는 약간의 건물 진동음과 소음 등을 들을 수 있다. 비록 이러한 진동음이 매우 작다 할지라도 마이크로폰 스탠드를 통해 마이크로폰의 진동판을 동작시킨다. 이러한 진동의 전달을 차단하기 위해 쇼크마운트를 사용해야 한다. 카디오이드 마이크로폰은 기계적인 쇼크와 진동에 대해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데, 특히 손으로 마이크를 잡고있을 때 더욱 심하다.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4.08.05
  • 저작시기2004.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26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