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의세계] 마이크의종류와음향특성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소리의세계] 마이크의종류와음향특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마이크의 종류 및 음향 특성
ⅰ. 지향 특성에 따른 분류
ⅱ. 구조에 따른 분류
ⅲ. 용도에 따른 분류

본문내용

하는 것이 가능 (이점이 전문가들의 평가가 높은 이유이다.)
(2)주의점
①전용의 AC전원회로나 고급의 헤드앰프 회로가 필요하다.
②따라서 조정이 다소 복잡하다.
③비교적 고가(성능으로 비교하면 비싸지 않음)이다.
④습도에 약하다.
3)일렉트로닉 콘덴서형(약칭 ECM=Electronic Condencer Mic)
반영구대전체, 결국 전자적인 현상을 진동막에 응용한 콘덴서형의 마이크 전원에는 소형 배터리를 사용한다.
(1)장점
①콘덴서 형과 같은 형태로 충실도가 높은 음을 얻을 수 있다.
②특히 세세한 음에 명료도가 높다.
③전지를 사용하므로 사용 후 반드시 {OFF}시켜야 하며 장기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전지를 빼놓아야 한다.
④로케이션 등을 행할 경우는 반드시 전지를 넣어 만일의 상태에 대비하여야하며
예비전지를 휴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4)평행형, 불평행형마이크
마이크에는 평행형과 불평행형의 2종류가 있다. 각각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평형형(Vlance Type)
①전문가용 프로용의 마이크에는 이 형태가 많다.
②녹음 현장에서 존재하는 전기적노이즈(예 : 조명기구로부터의 노이즈)등을 막기 어렵다.
③마이크코드를 연장하여도 노이즈를 타지 않는다(코트를 100M정도 연장 하여도 녹음의 혼입이 거의 없다)
④콘덱터는 BTS나 캐논형이 많다.
⑤로우 임피던스형의 마이크에 이 평행형이 많음
(2)불평행형(Non-balance Type)
①아마츄어 용의 저가격 마이크는 거의 불평행형이다.
②콘넥터로는 표준 플러그나 미니플러그가 많다.
③전기적노이즈를 막을 수가 없다.
④따라서 이 타입의 마이크는 연장거리를 그다지 길게 하지 알아야 한다.
⑤하이 임피던스형의 마이크는 거의가 불평행형이라고 생각해도 된다.
ⅲ. 용도에 따른 분류
마이크는 여러 현장에서 사용된다. 메이커 측에서도 다양한 용도에 대응하여 제품을 생산 하고 있다. 제작자는 고려하여 여러 종류의 마이크를 준비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주된 형태와 용도와의 관계를 살펴보자.
1)핸드마이크
가벼운 봉 형태로 인터뷰나 리포트용으로 손에 잡는 마이크로써 마이크 스탠드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여 범용성이 높은 마이크이다.
(1)주의점
①손에 잡고 녹음하는 경우 손을 이동하거나 만지는 소리가 잡음으로 나타 날 수 있다.
②마이크 코드에 부착하므로 코드의 움직임이 노이즈가 될 수도 있다.
③마이크 머리부분은 음원방향을 향하도록 하고 적당한 거리(10-30cm이내)를 확보해야한다.
2)타이마이크
넥타이 핀 모양으로 경량 소형마이크 타이핀형의 홀더에 부착하여 사용한다.
(1)장점
①피사체의 인물이 이동하면서 이야기할 때 신체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음량이 일정하다.
②경량, 소형 등으로 출연자가 마이크를 의식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이야기하는 것이 가능하다.
③작은 소도구등에 부착하여 보이지 않게 녹음할 수도 있음
(2)주의점
①마이크가 옷과 접촉되는 신체의 움직임에 커다란 노이즈로 표현된다.
②무지향성 이므로 마이크의 방향에 신경을 쓸 필요가 없다. 그러나 음원과의 거리 설정에는 주의를 요한다.
③잡음이 많은 곳에서는 사용을 고려해야만 한다.
3)텔레스코프 마이크
망원마이크, 소형마이크에서는 신축이 자유로운 낚시대 모양의 파이프에 붙어있는 것이 많다.
(1)장점
①카메라에 부착하는 경우 몸체주변의 노이즈를 피할 수 있어 목적 음을 보다 깨끗하게 수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합동 인터뷰 등의 경우 음원에 가깝게 할때 마이크를 길게하여 녹음하는 것이 가능하다.
②마이크가 가늘게 되기 때문에 바위사이의 흐르는 물소리나 풀벌소리 등을 손쉽게 녹음할 수 있다.
(2)주의점
①파이프내에 코드가 들어있기 때문에 신축시 주의해야 한다.
②틈새로 마이크를 집어넣을때 주변벽에 주의해야한다.
③음원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마이크의 신장효과를 과신해서는 안 된다.
4)스탠드 마이크
전용 마이크스탠드에 세우거나 붐용 마이크 스탠드에 걸어서 사용하는 형태의 마이크
(1)주의점
①구조적으로는 핸드마이크와 다르지 않지만 반드시 스탠드가 필요하다.
②진동이 많은 곳에서 사용하는 경우는 스탠드의 진동에 의해 노이즈가 전달되지 않도록 마이크스탠드 밑에 쿠션 등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③원칙적으로는 마이크를 고정시켜 출연자에게 지향토록하고 거리의 지시가 필요하다.
5)원포인트 스테레오 마이크
두 개의 마이크를 나란히 1개의 케이스에 조합한 마이크 스트레오 녹음을 위해서는 통상 2개의 마이크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 원포인트 스테레오 마이크는 외견상은 1개의 마이크이지만 스테레오 녹음이 가능하다는 편리함이 있다.
(1)장점
①현장의 긴장감을 표시하고 싶을때 편리성하다.
②음의 흡인력이 좋아 거리감을 나타낼 수 있다.
(2)주의점
①카메라 포지션을 고려하면서 음의 밸런스를 잡기 위한 최적의 마이크이나 포지션을 설정해야만 한다.
②카메라를 팬할 때 스테레오마이크를 따라 움직이지 않으면 안 된다.
③마이크를 고정시키면 현장의 음과 거리감 밸런스를 잡는 등의 자연스런 표현이 가능하다. 이를{음상의 정립}이라 한다. 그러나 마이크를 움직이면 마이크의 음상정립이 무너진다.
6)와이어레스 마이크(Wireless Mic)
와이어(코드)를 사용하지 않고 전파로 신호를 보내는 것이 가능한 마이크.
시판되고 있는 와이어레스 마이크는 FM방송의 전파를 사용한다. 따라서 FM튜너나 FM라디오가 있다면 와이어레스 마이크의 음을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는 전용튜너를 사용한다.
(1)장점
①출연자가 마이크 코드에 구속되지 않고 자유로이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다.
②출연자의 행동범위가 넓거나 액션을 동반할 때에 편리하다.
③동시에 복수의 수신기에서 수신가능하다. FM 워크맨 등을 사용하여 수신측의 동시 이동도 가능하다.
(2)주의점
①주파수가 한정되기 때문에 수신측의 튜너를 정밀하게 조정해야한다
②전파의 도달범위는 한정되어 있다.
③옥외나 넓은 회의장(예 : 체육관, 대극장)에서는 감도가 대폭 떨어지기도 한다.
④송신측 안테나의 길이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도 있다.
⑤사용시점에서는 송신측의 안데나를 접촉하지 않는다.
⑥사용하는 배터리의 용량에 주의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07.18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58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