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보청기의 개요
1. 보청기의 종류
1) 개인형 보청기
2) 집단형 보청기
3) 특수 보청기
2. 보청기의 선책
1) 보청기의 선택 절차
2) 보청기 선택시 유의점
3) 보청기의 조건
3. 보청기의 사용지도
Ⅱ. 보청기의 종류
1. 착용 방법에 따른 분류
2. 증폭 방식에 따른 분류
3. 음의 전달 방식에 따른 분류
4. 컴퓨터 응용 방식에 따른 분류
5. 전달방식에 따른 분류
1) 일반보청기
2) 특수보청기
6. 증폭방식에 따른 분류
1) 아날로그
2) 프로그램형
3) 디지털
Ⅲ. 보청기의 발전과정
Ⅳ. 보청기의 선택
Ⅴ. 보청기의 취급
Ⅵ. 보청기의 상식
참고문헌
1. 보청기의 종류
1) 개인형 보청기
2) 집단형 보청기
3) 특수 보청기
2. 보청기의 선책
1) 보청기의 선택 절차
2) 보청기 선택시 유의점
3) 보청기의 조건
3. 보청기의 사용지도
Ⅱ. 보청기의 종류
1. 착용 방법에 따른 분류
2. 증폭 방식에 따른 분류
3. 음의 전달 방식에 따른 분류
4. 컴퓨터 응용 방식에 따른 분류
5. 전달방식에 따른 분류
1) 일반보청기
2) 특수보청기
6. 증폭방식에 따른 분류
1) 아날로그
2) 프로그램형
3) 디지털
Ⅲ. 보청기의 발전과정
Ⅳ. 보청기의 선택
Ⅴ. 보청기의 취급
Ⅵ. 보청기의 상식
참고문헌
본문내용
원인만 초래할 뿐이다.
알코올이나 솔벤트유, 또는 세척제 등으로 보청기를 닦으면 절대로 안된다. 보청기에는 어떠한 종류의 기름도 절대적으로 필요치 않다는 것을 기억하고, 오직 부드러운 마른 헝겊으로만 보청기의 외부를 닦도록 한다.
머리모양을 가다듬기 위해 사용하는 헤어스프레이의 성분 중에는 보청기의 음량을 조절하는 장치를 고정시켜 버리기도 하고, 소리를 전하는 아주 작은 마이크로폰 구멍을 막아 버리는 수가 있다. 그러므로 이런 문제점을 미리 예방하기 위해서는 헤어스프레이를 사용할 때는 보청기를 꼭 빼놓도록 한다. 만약 보청기의 상태가 만족스럽지 않거나 고장이 나거든 여러분의 지정 보청기전문점에 문의하도록 한다. 단지 건전지를 구입하려고 전문점의 사무실을 방문하더라도 그때마다 보청기 전문가에게 보청기를 한번씩 점검해보는 것이 보청기를 가장 잘 보존하는 방법이다.
Ⅵ. 보청기의 상식
보청기의 가격은 한 개당 약 20만 원에서 약 200여만 원까지 크기 및 회로의 처방 선택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크기가 작아질수록, 회로가 고급화될수록 가격이 비싸진다. 보청기는 사용 시 수분과 고온, 충격을 피하고, 부드러운 헝겊으로 자주 닦아주고, 처음에는 하루에 한 시간으로 사용량을 제한하다가 점차 사용량을 늘려 간다. 정기 점검은 적어도 1년에 한번은 받아서 청력이나 보청기에 변화나 이상이 있는지 점검해야 한다. 보청기 배터리는 675(파란색), 13(주황색), 312(갈색), 10(노란색), 5(빨간색) 등의 번호와 색상으로 크기를 구별한다. 사용기간은 크기가 클수록 오래가는데 사용자의 사용량 및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배터리의 사용량도 줄이고 보청기의 회로도 잘 보존하기 위해서 보청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배터리 문을 열어 놓거나 배터리를 보청기에서 빼두어야 한다. 배터리는 체내에서 독성으로 작용하므로 어린이나 애완동물이 삼키지 않도록 주의하고, 만일 삼켰으면 빨리 가까운 병원을 찾는다.
주의! 만 7, 8세 이전에는 청력의 정도에 상관없이 단순기능의 귀걸이형 보청기를 착용하는 것이 두 가지 이유에서 현명하다. 첫 번째 이유는 어린이가 자라면서 귀의 크기가 변하므로 보청기를 연결하는 귓본만 바꾸면 되므로 경제적이다. 두 번째 이유는 역시, 어린이가 자라면서 소리에 집중하는 능력이 생겨서 검사를 잘 받게 되므로 청력의 변화가 있을 수 있고 변화되는 청력에 손쉽게 보청기의 증폭량과 증폭형태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김은희 외 1명 : 효과적인 보청기 사용에 대한 이론적 탐색, 우석대학교특수교육연구소, 1988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 보청기 더 잘들리게... KS규격 개정, 한국개발연구원, 2007
이정학 외 1명 : 최근의 보청기 기술과 재활, 대한청각학회, 2008
이필상 외 1명 : 보청기 및 인공와우 착용아의 어음변별력과 어음명료도의 상관관계, 한국재활과학회, 2005
장순석 외 2명 : 지향성 보청기 성능 검사 장치 개발, 대한기계학회, 2005
홍성화 : 보청기의 원리와 기본 구조,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03
알코올이나 솔벤트유, 또는 세척제 등으로 보청기를 닦으면 절대로 안된다. 보청기에는 어떠한 종류의 기름도 절대적으로 필요치 않다는 것을 기억하고, 오직 부드러운 마른 헝겊으로만 보청기의 외부를 닦도록 한다.
머리모양을 가다듬기 위해 사용하는 헤어스프레이의 성분 중에는 보청기의 음량을 조절하는 장치를 고정시켜 버리기도 하고, 소리를 전하는 아주 작은 마이크로폰 구멍을 막아 버리는 수가 있다. 그러므로 이런 문제점을 미리 예방하기 위해서는 헤어스프레이를 사용할 때는 보청기를 꼭 빼놓도록 한다. 만약 보청기의 상태가 만족스럽지 않거나 고장이 나거든 여러분의 지정 보청기전문점에 문의하도록 한다. 단지 건전지를 구입하려고 전문점의 사무실을 방문하더라도 그때마다 보청기 전문가에게 보청기를 한번씩 점검해보는 것이 보청기를 가장 잘 보존하는 방법이다.
Ⅵ. 보청기의 상식
보청기의 가격은 한 개당 약 20만 원에서 약 200여만 원까지 크기 및 회로의 처방 선택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크기가 작아질수록, 회로가 고급화될수록 가격이 비싸진다. 보청기는 사용 시 수분과 고온, 충격을 피하고, 부드러운 헝겊으로 자주 닦아주고, 처음에는 하루에 한 시간으로 사용량을 제한하다가 점차 사용량을 늘려 간다. 정기 점검은 적어도 1년에 한번은 받아서 청력이나 보청기에 변화나 이상이 있는지 점검해야 한다. 보청기 배터리는 675(파란색), 13(주황색), 312(갈색), 10(노란색), 5(빨간색) 등의 번호와 색상으로 크기를 구별한다. 사용기간은 크기가 클수록 오래가는데 사용자의 사용량 및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배터리의 사용량도 줄이고 보청기의 회로도 잘 보존하기 위해서 보청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배터리 문을 열어 놓거나 배터리를 보청기에서 빼두어야 한다. 배터리는 체내에서 독성으로 작용하므로 어린이나 애완동물이 삼키지 않도록 주의하고, 만일 삼켰으면 빨리 가까운 병원을 찾는다.
주의! 만 7, 8세 이전에는 청력의 정도에 상관없이 단순기능의 귀걸이형 보청기를 착용하는 것이 두 가지 이유에서 현명하다. 첫 번째 이유는 어린이가 자라면서 귀의 크기가 변하므로 보청기를 연결하는 귓본만 바꾸면 되므로 경제적이다. 두 번째 이유는 역시, 어린이가 자라면서 소리에 집중하는 능력이 생겨서 검사를 잘 받게 되므로 청력의 변화가 있을 수 있고 변화되는 청력에 손쉽게 보청기의 증폭량과 증폭형태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김은희 외 1명 : 효과적인 보청기 사용에 대한 이론적 탐색, 우석대학교특수교육연구소, 1988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 보청기 더 잘들리게... KS규격 개정, 한국개발연구원, 2007
이정학 외 1명 : 최근의 보청기 기술과 재활, 대한청각학회, 2008
이필상 외 1명 : 보청기 및 인공와우 착용아의 어음변별력과 어음명료도의 상관관계, 한국재활과학회, 2005
장순석 외 2명 : 지향성 보청기 성능 검사 장치 개발, 대한기계학회, 2005
홍성화 : 보청기의 원리와 기본 구조,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0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