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체벌 개념
2. 체벌의 두 가지 관점
3. 체벌의 장단점
4. 체벌 관련 법규
5. 체벌의 문제점
6. 처벌의 대안책
7. 토의 내용 (처벌에 대한 구체적 해결 방안책)
2. 체벌의 두 가지 관점
3. 체벌의 장단점
4. 체벌 관련 법규
5. 체벌의 문제점
6. 처벌의 대안책
7. 토의 내용 (처벌에 대한 구체적 해결 방안책)
본문내용
상제
학생들의 편지와 일기
타 교사들의 협조
상담기법
학부모와의 협조와 지도
각종 심성수련기법
훈화
나의 다짐 쓰기
부모님께 편지 쓰기
양서읽기 및 독후감쓰기
시청각 자료 활용 교육
노력봉사(화단정리, 쓰레기 줍기, 복도 계단껌 제거, 각종 청소활동…)
③ 벌점제
ⅰ) 벌점제의 긍정적 측면
- 체벌 같은 공포 분위기가 없고, 체벌보다는 보다 규정화된 특성
- 정해진 규정이나 조항을 위반하였을 때만 벌점을 부과할 수 있어서, 잘못된 제재가 가해졌을 때 규정상의 이유를 들어 이의를 제기 가능
- 잘못된 것을 잘못됐다고 말할 수 있는 민주시민 양성이라는 교육적 측면 지님
- 학내에 대화가 가능한 민주적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음
- 보다 민주적인 학교를 만드는 주요인으로도 작용됨
- 제재가 기록상의 형태로 행해지기 때문에 되돌릴 수가 있음
- 체벌이 갖고 있는 '심리적, 신체적 상처를 되돌릴 수 없다'는 문제점도
아울러 극복할 수 있음
ⅱ) 벌점제의 부정적 측면
- 규정적, 기록적인 엄격성을 띠므로 비인간적임
-> 반론
· 규정적이고 기록적인 엄격성이 제재 과정에서 교사의 감정 개입 여지를
줄여주어 벌점제에 객관성을 더해준다고 주장
- 벌점 누적이 심해지면 벌점의 의미를 상실할 수 있으며, 벌점이라는 부정적
기록이 남게 됨
-> 반론
· 사회 봉사활동 등의 선행을 통해 벌점을 지워주는 방안 존재
· 학생이 봉사활동을 통해 체벌보다는 훨씬 긴 반성과 사색의 시간을 가짐
· 교사나 학생 측 누구도 폭력으로 인한 심리적 피해를 입지 않음
(2) 학년별 특별교육 운영계획
① 구체적 교육내용은 학년 재량으로 정함
- 기타 본 규정에서 정하지 않은 세부사항도 학년협의로 결정
② 학교 규정상 교육벌을 받는 학생이 바른생활을 할 수 있도록 추후지도를 지속적 실시
③ '특별교육' 교육과정 예시
- 정신교육
· 훈화, 반성문 쓰기, 나의 다짐 쓰기, 부모님께 편지 쓰기, 양서 읽기와 독후 감 제출하기 , 각종 심성수련 프로그램 등
· 녹음테이프, 비디오 자료 등 정신교육 시청각 자료 활용 교육
- 노력봉사(1) : 화단정리, 쓰레기 줍기 및 처리 등
- 노력봉사(2) : 복도·계단 껌 제거, 화장실 및 특별실 청소 등
(3) 학부모와 연계한 책임지도제
① 아동이 특별교육 등을 이수하고도 개전의 정을 보이지 않거나 교육이수 중에
학부모를 내교토록 하여 지도대책을 협의함
② 담임교사는 학부모와의 상담기록을 보관함
③ 학부모가 가정에서도 징계 받은 학생을 적절한 프로그램으로 지도하게 하고
지도후, 지도실적을 학교 측에 제출하도록 함
3) 불가피할 경우의 원칙 있는 체벌
(1) 인격에 대한 모독을 주어서는 안 됨
(2) 감정을 배제하여야 함
(3) 권위를 내세우되 권위주의를 도모하지 말아야 함
(4) 신체적 체벌은 반드시 최후의 수단이어야 함
(5) 반드시 기록을 남기고 검증을 받아야 함
(6) 반드시 가정에 연락하고 협의를 해야 함
- 미성년자의 경우, 보호의 일차적 책임은 부모에게 있고 체벌은 부모의 권한을 위 임받아 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임
- 반드시 부모에게 체벌의 불가피성을 알리고 허락을 받은 후 시행해야 함
- 교사와 학생 일반이 동의하는 체벌을 부모가 허락하지 않는다면 법적으로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임
- 인간-교사의 힘으로도 통제가 불가능한 학생도 있을 수가 있으므로 이러한 학생 에 대해서는 보호자가 책임을지는 것이 합리적일 것임
(7) 교사의 가치관을 일방적으로 주입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어서는 안 됨
7. 토의 내용 (처벌에 대한 구체적 해결 방안책)
1) 강의평가
- 학생에 대한 태도, 교수법, 수업내용의 적절성 등을 평가하는 강의 평가지에 체벌의
당위성, 척도에 관한 항목을 포함 시킴
- 한달에 한번 시행
2) 학급법전
- 학생들 자치적으로 학급내에서 통용되는 규칙을 정해 교사가 학생을 통제하는데 직접
적으로 관여하는 역할을 정해놓음
- 체벌감소 효과를 가져옴
3) 학생에게 존대어 사용하기
- 서로 인격적 존중을 함으로써 체벌 감소 효과
4) 체벌일지
교사
- 학생에게 체벌가했을 경우 체벌이 옳은지에 대한 당위성의 여부를 판단하여 기록
하고 스스로 반성하는 기회를 갖음
학생
- 체벌을 받은 학생은 일지를 씀으로써 자신의 잘못을 확인하고 체벌 받을 행동을
줄여나갈 수 있음
제3자
- 체벌함을 사용하여 자신의 의견을 기록하여 교사에게 feedback 적용
5) 상점제
- 학생들을 몇 개의 조로 편성함
- 잘한 행동에 상점을 주어 잘못된 행동의 발생을 줄여줌
- 학기말 사위 그룹에게 상품(보상)제공
Reference
학교생활태도에 대한 체벌과 지.덕.벌의 효과 비교 (논문) - 이민구
중학생의 생활자세에 따른 체벌 인식의 차이에 관한 연구 (논문) - 최승환
http://www.jjcity.com/edu/
http://pax.hoseo.ac.kr/bb5007/관련기사/체벌/체벌에대한관점들.htm
http://hwangji-ms.kwtbe.go.kr/data_bank/data/20277_%C3%BC%B9%FA%BF%A1%B4%EB%C7%D1%B3%AA%C0%C7%C0%D4%C0%E5.hwp
http://chunma.yeungnam.ac.kr/~j6340475/data/data.html
http://www.kyungnam.ac.kr/dahan/%B1%B3%C0%B0%C4%AE%B7%B3/%B1%B3%C0%B0%C0%FB%20%C3%BC%B9%FA%20%C7%E3%BF%EB%20%B9%E6%C4%A7%BF%A1%20%B4%EB%C7%CF%BF%A9.htm
http://www.moleg.go.kr
/ (법제처)
http://plaza1.snu.ac.kr/%7Eysn/wwwboard-3.0.1/data/1st/%C3%BC%B9%FA.hwp
http://hakbumo.netian.com/Project/Punishment/Home%20Punishment.htm
2002.3.27 한국경제신문
2002.6.26 동아일보
김혜숙외, "매맞는 아이들", 청소년대화의 광장, 1994.
서울 시내 초 중 고등학생 484명에 대한 조사연구 중 학교체벌의 현황 조사 결과
학생들의 편지와 일기
타 교사들의 협조
상담기법
학부모와의 협조와 지도
각종 심성수련기법
훈화
나의 다짐 쓰기
부모님께 편지 쓰기
양서읽기 및 독후감쓰기
시청각 자료 활용 교육
노력봉사(화단정리, 쓰레기 줍기, 복도 계단껌 제거, 각종 청소활동…)
③ 벌점제
ⅰ) 벌점제의 긍정적 측면
- 체벌 같은 공포 분위기가 없고, 체벌보다는 보다 규정화된 특성
- 정해진 규정이나 조항을 위반하였을 때만 벌점을 부과할 수 있어서, 잘못된 제재가 가해졌을 때 규정상의 이유를 들어 이의를 제기 가능
- 잘못된 것을 잘못됐다고 말할 수 있는 민주시민 양성이라는 교육적 측면 지님
- 학내에 대화가 가능한 민주적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음
- 보다 민주적인 학교를 만드는 주요인으로도 작용됨
- 제재가 기록상의 형태로 행해지기 때문에 되돌릴 수가 있음
- 체벌이 갖고 있는 '심리적, 신체적 상처를 되돌릴 수 없다'는 문제점도
아울러 극복할 수 있음
ⅱ) 벌점제의 부정적 측면
- 규정적, 기록적인 엄격성을 띠므로 비인간적임
-> 반론
· 규정적이고 기록적인 엄격성이 제재 과정에서 교사의 감정 개입 여지를
줄여주어 벌점제에 객관성을 더해준다고 주장
- 벌점 누적이 심해지면 벌점의 의미를 상실할 수 있으며, 벌점이라는 부정적
기록이 남게 됨
-> 반론
· 사회 봉사활동 등의 선행을 통해 벌점을 지워주는 방안 존재
· 학생이 봉사활동을 통해 체벌보다는 훨씬 긴 반성과 사색의 시간을 가짐
· 교사나 학생 측 누구도 폭력으로 인한 심리적 피해를 입지 않음
(2) 학년별 특별교육 운영계획
① 구체적 교육내용은 학년 재량으로 정함
- 기타 본 규정에서 정하지 않은 세부사항도 학년협의로 결정
② 학교 규정상 교육벌을 받는 학생이 바른생활을 할 수 있도록 추후지도를 지속적 실시
③ '특별교육' 교육과정 예시
- 정신교육
· 훈화, 반성문 쓰기, 나의 다짐 쓰기, 부모님께 편지 쓰기, 양서 읽기와 독후 감 제출하기 , 각종 심성수련 프로그램 등
· 녹음테이프, 비디오 자료 등 정신교육 시청각 자료 활용 교육
- 노력봉사(1) : 화단정리, 쓰레기 줍기 및 처리 등
- 노력봉사(2) : 복도·계단 껌 제거, 화장실 및 특별실 청소 등
(3) 학부모와 연계한 책임지도제
① 아동이 특별교육 등을 이수하고도 개전의 정을 보이지 않거나 교육이수 중에
학부모를 내교토록 하여 지도대책을 협의함
② 담임교사는 학부모와의 상담기록을 보관함
③ 학부모가 가정에서도 징계 받은 학생을 적절한 프로그램으로 지도하게 하고
지도후, 지도실적을 학교 측에 제출하도록 함
3) 불가피할 경우의 원칙 있는 체벌
(1) 인격에 대한 모독을 주어서는 안 됨
(2) 감정을 배제하여야 함
(3) 권위를 내세우되 권위주의를 도모하지 말아야 함
(4) 신체적 체벌은 반드시 최후의 수단이어야 함
(5) 반드시 기록을 남기고 검증을 받아야 함
(6) 반드시 가정에 연락하고 협의를 해야 함
- 미성년자의 경우, 보호의 일차적 책임은 부모에게 있고 체벌은 부모의 권한을 위 임받아 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임
- 반드시 부모에게 체벌의 불가피성을 알리고 허락을 받은 후 시행해야 함
- 교사와 학생 일반이 동의하는 체벌을 부모가 허락하지 않는다면 법적으로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임
- 인간-교사의 힘으로도 통제가 불가능한 학생도 있을 수가 있으므로 이러한 학생 에 대해서는 보호자가 책임을지는 것이 합리적일 것임
(7) 교사의 가치관을 일방적으로 주입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어서는 안 됨
7. 토의 내용 (처벌에 대한 구체적 해결 방안책)
1) 강의평가
- 학생에 대한 태도, 교수법, 수업내용의 적절성 등을 평가하는 강의 평가지에 체벌의
당위성, 척도에 관한 항목을 포함 시킴
- 한달에 한번 시행
2) 학급법전
- 학생들 자치적으로 학급내에서 통용되는 규칙을 정해 교사가 학생을 통제하는데 직접
적으로 관여하는 역할을 정해놓음
- 체벌감소 효과를 가져옴
3) 학생에게 존대어 사용하기
- 서로 인격적 존중을 함으로써 체벌 감소 효과
4) 체벌일지
교사
- 학생에게 체벌가했을 경우 체벌이 옳은지에 대한 당위성의 여부를 판단하여 기록
하고 스스로 반성하는 기회를 갖음
학생
- 체벌을 받은 학생은 일지를 씀으로써 자신의 잘못을 확인하고 체벌 받을 행동을
줄여나갈 수 있음
제3자
- 체벌함을 사용하여 자신의 의견을 기록하여 교사에게 feedback 적용
5) 상점제
- 학생들을 몇 개의 조로 편성함
- 잘한 행동에 상점을 주어 잘못된 행동의 발생을 줄여줌
- 학기말 사위 그룹에게 상품(보상)제공
Reference
학교생활태도에 대한 체벌과 지.덕.벌의 효과 비교 (논문) - 이민구
중학생의 생활자세에 따른 체벌 인식의 차이에 관한 연구 (논문) - 최승환
http://www.jjcity.com/edu/
http://pax.hoseo.ac.kr/bb5007/관련기사/체벌/체벌에대한관점들.htm
http://hwangji-ms.kwtbe.go.kr/data_bank/data/20277_%C3%BC%B9%FA%BF%A1%B4%EB%C7%D1%B3%AA%C0%C7%C0%D4%C0%E5.hwp
http://chunma.yeungnam.ac.kr/~j6340475/data/data.html
http://www.kyungnam.ac.kr/dahan/%B1%B3%C0%B0%C4%AE%B7%B3/%B1%B3%C0%B0%C0%FB%20%C3%BC%B9%FA%20%C7%E3%BF%EB%20%B9%E6%C4%A7%BF%A1%20%B4%EB%C7%CF%BF%A9.htm
http://www.moleg.go.kr
/ (법제처)
http://plaza1.snu.ac.kr/%7Eysn/wwwboard-3.0.1/data/1st/%C3%BC%B9%FA.hwp
http://hakbumo.netian.com/Project/Punishment/Home%20Punishment.htm
2002.3.27 한국경제신문
2002.6.26 동아일보
김혜숙외, "매맞는 아이들", 청소년대화의 광장, 1994.
서울 시내 초 중 고등학생 484명에 대한 조사연구 중 학교체벌의 현황 조사 결과
추천자료
[교생실습]21세기 교사의 자질 고찰 및 교육실습(교생실습)의 목표, 교육실습(교생실습)과 생...
[교육학A+] 고등학교 기간제 교사 정의와 증가원인 및 기간제교사와 조직구조,정규직 교사와...
[교사][교원]교사(교원)의 정의, 교사(교원)의 자질, 교사(교원)의 교육자로서의 역할, 교사(...
교원(교사)의 정의, 교원(교사)의 임용, 교원(교사)의 퇴직, 교원(교사)의 휴직, 교원(교사)...
초등학교교원(초등교사) 교사문화, 초등학교교원(초등교사) 교직기초능력인증제, 초등학교교...
[유아교사론] 유아교사의 조직환경 - 영유아교육기관의 조직적 특성, 영유아교사들의 근무환...
『세계교육과정연구 - 핀란드편』 (핀란드 교육의 특성, 핀란드의 교사, 핀란드의 학제, 수학...
몬테소리(Montessori)교육의 특징과 활용 (몬테소리의 생애와 철학적 배경, 몬테소리 교육의 ...
A+자료 유아 다문화 교육(Multi-cultural Education) {유아 다문화 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목...
[언어교육] 바람직한 언어교육을 위한 부모와 교사의 역할 [언어교육]
[보육교사론] 보육교사의 직업적 특성을 돌봄, 교육, 사회복지서비스 측면에서 비교하고 각...
[부모교육 A형]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아동, 부모, 교사, 사회적 측면에서 논하시고, 부모교육...
[부모교육 A형]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아동, 부모, 교사, 사회적 측면에서 논하시고, 부모교육...
[보육교사론] 보육교사의 직업적 특성을 돌봄, 교육, 사회복지 서비스 측면에서 차이를 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