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국사와 석굴암을 다녀와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불국사와 석굴암을 다녀와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불국사
1. 불국사 가는 길
2. 일주문
3. 연화교. 칠보교
4. 청운교. 백운교
5. 자하문자하문
6. 대웅전
7. 비로전비로전
8. 극락전
9. 무설전
10. 나한전나한전

Ⅲ. 석굴암
1. 석굴암 가는 길
2. 석굴암 석굴(국보 제24호)
3. 석굴암 석물

Ⅳ. 결론

본문내용

타내고 있다. 곧, 진리의 전달과 진리에로 도달하는 방법은 말과 글이란 매개를 통해서 가능한 것이라고 오해되지만 말과 글은 진리의 그림자이며 진리로 다가서는 길을 가르쳐 주는 지도일 뿐 진리 그 자체일 수는 없다는 의미이다. 무설전은 강당(講堂)으로 불교의 기초교육학을 배우는 곳이다. 출가수행자로서 갖추어야 할 예절과 계율을 익히고 불타 석가모니가 말씀하신 45년 설법 중에서 가려 뽑은 경전을 일정기간에 걸쳐 배우는 곳이다. 때로는 일반 신도들도 이 곳에서 설법을 듣는다. 신라시대에는 표훈(表訓)이나 신림(神琳)같은 스님들이 설법을 하였으며 많은 선남선녀들이 여기서 오욕을 씻고 불국을 돌아보고 귀가하였던 것이다. 15개의 돌기둥을 새긴 기단 정면 네 군데 계단이 가설되어 있는 큰 규모이다. 이 기단 위에 아홉 개씩 다섯 줄로 주춧돌이 놓여 있는 큰 건축 터에 지금은 우리 나라 최대의 맛배지붕으로 건물이 재현되어 서있다. 이 건물도 임진왜란 후에 다시 세웠으나 1920년 경에 허물어진 것을 1971년 공사 때 또 다시 세운 것이다.
10. 나한전羅漢殿
나한이란 부처님의 제자들중 소승의 계위인 아라한과에 오르신 성자들을 일컹는 말이다. 나한전은 아라한을 모신 곳을 말하며 이 곳은 최근에 새로 지어진 것이다. 불국사 나한전에는 부처님 당시의 16분의 수행을 잘하셨던 제자분들을 모셨다. 가운데 모신 불상은 석가모니부처님이고 양쪽에 제화갈라보살님과 미륵보살님을 모셨다
Ⅲ. 석굴암
1. 석굴암 가는 길
불국사에서 석굴암까지 등산로로 3㎞, 버스로 9㎞를 가야한다. 제가 간 곳은 등산로를 따라서 3㎞를 걸었다. 올라가면서 다람쥐도 보고, 따뜻한 햇빛아래 걷는 것도 괜찮았다. 토함산을 올라가서 석굴암까지 가는 길이 그렇게 쉽지는 않았지만 석굴암을 발견했을 때 너무나 기뻤다. 산 아래로 내려다 보이는 풍경이 너무나 아름다웠고, 석굴암으로 가는 길은 너무나 시원하였다.
2. 석굴암 석굴(국보 제24호)
석굴암은 신라 경덕왕 10년(751) 당시의 재상인 김대성에 의해서 창건되었다고 전한다. 석굴암의 조각들은 심오한 믿음과 우아한 솜씨가 조화된 통일신라시대의 가장 뛰어난 세계적인 걸작으로 한국불교예술의 대표작이다. 굴 가운데에는 높이3.18m의 여래좌상이 안치되어 있고 전실과 굴 입구 좌우벽에는 팔부신중 인왕 및 사천왕 등의 입상이 조각되어 불천을 지키고 있다.
굴 내부 본존불 둘레에는 천부인상2구, 보살입상2구 및 십대제자상10구를 배열하고 본존불 바로 뒤에는 11면 관세음보살입상을 조각하였다. 그리고 굴 천장 주위에는 10개의 감실이 있는데 그 안에 좌상의 보살과 거사 등이 안치되어 있다.
⇒ 석굴암을 들어가면서 이런 설명들이 있었지만 앞에 유리가 막혀 있어서 본존불말고는 잘 보이지 않았다. 그래서 너무나 안타까웠다.
3. 석굴암 석물
이 곳에 있는 석조물들은 석굴암을 수리(1913∼1915, 1962∼1964)할 때 교체된 구부재들과 기타 주변 석물들로 신라인들의 손길이 스며있는 귀중한 유물들이다.
여기서 석조물을 보면서 이 주변 석물들이 어디에 쓰였던 것일까?하는 의문이 들었다.
Ⅳ. 결론
이렇게 불국사와 석굴암에 대한 것을 보았다. 불국사와 석굴암을 다녀오면서 느낌것은 신라시대에 문화가 화려하고, 위엄있게 꽃피었다는 생각이 든다. 불국사는 근엄하면서도 아름다운 선이 있었다. 석굴암은 지리적인 위치와 바람등을 잘 고려하여 만든 인공석굴을 보면서 우리 조상들의 얼과 대단함을 느낄 수 있었다. 하지만 잘못된 보존으로 인해서 우리의 문화재들이 손상을 입는 것을 보면서 진정으로 우리의 문화와 유산을 사랑한다면 거기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관심이 필요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4.08.13
  • 저작시기2004.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32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