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I. 서태지의 등장
II. 서태지 신드롬
III. 서태지의 음악
3. 결론
2. 본론
I. 서태지의 등장
II. 서태지 신드롬
III. 서태지의 음악
3. 결론
본문내용
야한다는 것에 동의한다면 이들이 저항성은 단지 상징적 저항의 수준에 머무를 수 없으며 그것을 넘어서는 의미를 가진다. 저항의 상승은 어떻게 가능한가, 애당초 '서태지' 문화의 저항의 근거점이 대중의 문화적 실천과 맞물리는 영역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작업의 출발점은 서태지 문화를 소비하는 신세대들의 실천영역에 개입하는 것이 될 것이다. 신세대를 둘러싼 기존의 담론들이 신세대의 문화적 특성에 대한 기술을 통해 기성세대의 가치관과 구획선을 긋는 작업에 머물렀다면, 지금 필요한 것은 신세대 담론영역으로의 적극적인 개입과 함께 그들의 현실적인 실천양식을 적극적으로 변화시키는 실천이다. 실천이 수반되지 않고 신세대들의 해방적인 가치관을 기성세대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은 무의미한 금긋기일 수 있다. 단지 신세대에 대한 주석적 해석이 아니라 신세대들의 긍정적이고 해방적인 가치를 구체적 실천을 통해 옹호하고 새롭게 정립함으로써 신세대 자신들을 추동하고 변화시켜야 한다. 이러한 작업의 주체는 물론 신세대여야 한다. 그러나 결코 신세대는 겉으로 드러나는 외양이나 나이의 많고 적음에 따라 구별되는 것이 아니다. 이런 의미에서 신세대는 우리들 중 어느 누구도 될 수 있고 우리들 모두이어야 한다.
<참고문헌>
1. 강상현·채백. 1996「대중매체의 이해와 활용」. 한나래
2. 1991 「신세대론:혼돈과 질서」. 현실문화연구, 홍종윤:서태지론
3. 김창남. 1998「대중문화의 이해」, 한울
4. 김창남. 1995「대중문화와 문화실천」, 한울
5. http://user.chollian.net/~cjihye84/tjmuna.htm
<참고문헌>
1. 강상현·채백. 1996「대중매체의 이해와 활용」. 한나래
2. 1991 「신세대론:혼돈과 질서」. 현실문화연구, 홍종윤:서태지론
3. 김창남. 1998「대중문화의 이해」, 한울
4. 김창남. 1995「대중문화와 문화실천」, 한울
5. http://user.chollian.net/~cjihye84/tjmuna.htm
키워드
추천자료
음악론 입문 - 랩
sm기획 마케팅 전략분석
매니아 문화에 대하여
Tempest : 셰익스피어의 연극계 은퇴선언 Prospero : 아름다운 개인주의
우리나라 음반산업의 현황과 향후 발전과제
내 인생의 영화 - 트레인스포팅
음반 산업의 현재와 미래
대중문화와 청소년
[독후감/서평/요약/줄거리] 유수연의 독설 _ 유수연 저 !!!!
글로벌기업으로써의 성공 사례,YG엔터테인먼트,와이지엔터테인먼트,YG분석
사이버 공동체 팬클럽에 관하여
‘응답하라 1994’의 1996년(과거), 2016(현재), 백투더 퓨처의 2036년(미래) 세 시점에서 대학...
[여행 독후감] 생각으로 인도하는 질문여행 (서평, 독서감상문) 저자 환타 전명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