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의 전쟁 및 그에 따른 경제의 변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0세기의 전쟁 및 그에 따른 경제의 변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20세기의 전쟁사 1
第1節 서 론 1
第 2節
1 . 제 1차 세계대전 2
1 ) 제 1차 세계대전이 일어나게 된 동기 <역사적인 관점> 2
2 ) 1차대전의 발발과 경과 3
3 ) 1차대전의 성격 4
4 ) 1차대전후 국제질서 변화 5
5 ) 베르사이유 체제 5
2 . 제 1차 세계대전 <군사적인 관점> 6
1 ) 민족주의의 창궐 (The rise of nationalism) 6
2 ) 국가들간의 동맹의 확립 7
3 ) 전쟁의 발발 (Beginning of the War) 7
4 ) 참호전 (Trench warfare) 8
5 ) 마지막무대 (The Final Stage) 9
6 ) 미국의 참전 (The United States Enter the War) 10
3 . 제 1차 세계대전에 참전국과 동기 11
1. 연합국 12
ⅰ ) 프랑스 12
ⅱ ) 영국 12
ⅲ ) 러시아 13
ⅳ ) 이탈리아 13
ⅴ ) 미국 13
ⅵ ) 세르비아 14
ⅶ ) 루마니아 14
ⅷ ) 일본 14
ⅸ ) 벨기에 15
ⅹ ) 뉴질랜드 15
? ) 호주 16
? ) 캐나다 16
2 . 동맹국 16
ⅰ ) 독일 16
ⅱ ) 오스트리아-헝가리 17
ⅲ ) 오스만투르크 17
ⅳ ) 불가리아 18
第 3節 20세기의 전쟁 <제 2차 세계대전> 19
1 . 제 2차 세계대전의 특징 19
2 . 전쟁의 시작 19
3 . 전쟁의 발단 20
4 . 나치당과 독일의 재무장 21
5 . 이탈리아 22
6 . 스페인내전 22
7 . 뮌헨회담 23
8 . 개전의 서막 23
9 . 대전의 시작 26
10 . 전쟁의 피해 26
11 . 대전의 영향 27
第 4節 한국전쟁 30
1 . 한국 전쟁은 어떻게 전개되었는가? 30
2 . 전쟁의 기간 동안 남북한 정치정세의 변화 34
3 . 한국 전쟁의 역사적 의의 36
第 5節 전쟁으로 본 전쟁의 의의와 우리가 할 일 37
1. 전쟁의 의의 37
2. 우리가 할 일 37
第 6節 결말 38

본문내용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대통령 직선제는 이승만의 계속된 집권을 보장하였고, 한미상호안보조약은 미국의 지원 속에서 정권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휴전협정 반대와 북진통일을 주장하면서 국민들을 철저하게 반공이데올로기 속에서 통제할 수 있는 기틀도 마련하였습니다.
한국전쟁을 통해 정권이 안정화된 것은 비단 남한뿐이 아니었습니다. 북한 역시 전쟁 과정 속에서 김일성을 중심으로 하는 '항일빨치산 세력'이 보다 확고하게 정권을 장악할 수 있었습니다. 우선 소련의 지원을 받고 있었던 ‘소련파’─주로 소련에 귀화한 한국인들─의 핵심인물 중 하나였던 허가이가 ‘관문주의(關門主義)’라는 비판 하에 숙청되었습니다. 이것은 남한에서의 부역자 처벌과 비슷한 것이었습니다. 허가이는 유엔군이 북한을 점령했을 때 당원증(黨員證)을 버리고 도망간 당원들에 대한 철저한 심사를 하였습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많은 사람들이 불이익을 당하자 그에 대한 불만이 높아갔습니다. 결국 허가이는 이 과정에서 '문을 좁게 하여 당원들에게 불이익을 주었다'는 명분으로 숙청되었습니다.
또한 1952년 겨울에는 소위 '박헌영 간첩사건'이 발생하였습니다. 박헌영과 이승엽을 비롯한 남로당의 간부들이 미국과의 연락을 통해 북한 내에서 간첩행위를 했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1952년 12월에는 이들이 쿠데타를 통해 정권을 전복하려는 시도를 했다는 것입니다. 결국 이 사건으로 남로당 계열의 지도부 인사들이 대거 숙청되었습니다. 결국 김일성을 중심으로 하는 '항일빨치산 세력'은 독립동맹 계열의 '연안파'와 함께 안정된 집권을 확보하게 되었습니다.
경제적으로 북한은 한국전쟁을 통한 철저한 산업시설의 파괴는 역설적이게도 북한이 보다 빠른 속도로 사회주의 체제로 진입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놓았습니다. 전쟁의 피해는 가혹한 것이었지만, 전쟁의 복구과정을 통해 사회주의 체제로 직접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또 다른 가능성을 열어 놓기도 하였습니다. 1950년대와 1960년대 초반 통해 북한이 경제적으로 상당한 성장을 하였고, 세계 역사상 유례가 없을 정도로 급속한 사회주의 체제 건설의 과정을 밟았던 것도 이러한 사정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남북한 정권의 변화와 함께 또 한가지 주목되는 것은 한반도와 외세와의 관계입니다. 미국은 한국전쟁을 계기로 해서 군사적으로 남한정권에 대해 주도권을 행사할 수 있는 위치를 확보하였습니다. 또한 전쟁 복구의 과정에서 미국이 시행한 무상원조는 한국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을 거의 절대적인 것으로 만들었습니다. 한국전쟁은 미국이 한국에 대해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조건을 보다 확대하였던 것입니다.
북한의 경우 해방 직후의 소련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감소하면서 중국의 영향력이 보다 강화되었습니다. 1958년까지 중국군이 북한에 주둔하면서 북한의 재건과 국방을 도왔으며, 1956년의 8월 종파사건의 처리과정에서 나타나듯이 북한의 내정에 일정정도 관여하기도 하였습니다. 아울러 1953년 스탈린의 사망은 중국의 북한에 대한 영향력을 보다 강화하는 또 다른 조건이 되기도 하였습니다. 이러한 북한과 중국, 소련의 관계는 지금에 이르기까지 계속되고 있습니다.
3 . 한국 전쟁의 역사적 의의
첫째로 이 전쟁은 우리 민족의 분열과 싸움일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갈등을 압축하고 있으며 그리고 둘째로는 전쟁은 아직도 끝나지 않았으며 휴전 상태에서 우리는 지금도 보이지 않는 싸움을 계속하고 있으며 셋째로 우리 남쪽에서도 이 문제에 대한 생각들이 너무나 다양해서 갈피를 잡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第 5節 전쟁으로 본 전쟁의 의의와 우리가 할 일
1. 전쟁의 의의
국제정치경제의 이론가로서 현실주의의 입장에 가까운 크래지너 교수와 길핀 교수는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도 국가의 기능이 다양하게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국가주권의 침해 또는 타협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현상입니다. 20세기 후반 세계화의 결과라기보다는 과거에도 존재해 왔던 현상이고, 국가문화의 다양성은 계속 존재할 것이라고 봅니다. 이로 인해서 전쟁이라는 것은 자신의 국가를 지키는 하나의 방위체제 일 수도 있고 자신들의 이익을 유지하기 위한 하나의 대책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전쟁은 모든 이에게 이로울 수는 없는 존재이므로 더 이상의 불행은 없어야 합니다.
2. 우리가 할 일
한반도의 냉전구조를 해체하기 위한 노력이 새삼스러운 것은 아닙니다. 왜냐하면 남북한간의 교류와 협력을 증진시키며, 군사적 긴장을 해소하고 평화공존체제를 구축하며, 평화통일로 나아가기 위해 정치, 경제, 군사 및 인도적 차원에서 취해진 제반 정책과 조치들이 바로 냉전구조를 해체하려는 방안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기존의 해체방안들은 특정한 역사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현시점에서는 방안에 따라 시의성, 적실성 또는 현실성을 상실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여기에서는 과거의 해체방안으로부터 교훈을 얻어 현실적으로 추진할 수 있고 해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방안들이 관심의 대상이다.
第 6節 결말
지금껏 20 세기의 전쟁들이 일어났던 동기와 그 전쟁들에 의해서 많은 사람들의 희생과 많은 목숨을 잃었습니다.
그리고 지금 21 세기인 지금도 미국이 전쟁을 다시 일으키려고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실을 우리는 과거를 되새겨 보면서 과거의 잘못된 것을 바로잡으면서 우리가 대처해야 할 방법을 찾아 나가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전쟁이라는 무력적인 충돌로써 지금의 일을 해결하려 하지말고 국제적으로 공식적인 타협과 알맞은 대처 방안을 고안해서 전쟁이 일어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해야 되겠습니다.
관련자료
http://www.koreanhistory.org/webzine/01/01-05.html 검색일 10월 3일
http://home.megapass.co.kr/~jsjko/ 검색일 10월 5일
http://www.nobelmann.com/history/ww2/ww2.htm 검색일 10월 7일
참고문
한반도 냉전구조의 현황과 과제, 백종천 학술 논문, 1998
국가 주권과 세계화, 국가전략 6권 4호 2000년 겨울(통권 제14호), 김성철
  • 가격3,0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04.08.23
  • 저작시기2004.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40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