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테: 파우스트 !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결 큰 것이라고 할수 있다. 그럼에도 파우스트는 구원되고 메피스토는 구원되지 못했다는 것은 오직 신학적 관점에서만 이해가 가능하다. 메피스토는 자신이 신적능력을 행사하면서 신에 대항하려 했으나, 파우스트는 인간성을 개선하고 인간에게 무언가를 가르치기 위해서 신을 향한 절대적 인식의 노력을 거듭했다는 차이점이 있다. 메피스토가 어둠에 갇힌 인간상이라면 그것은 필경 밝은 빛의 세계에 있는 인간 상과의 대비적인 개념아래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어두움과 밝음은 기독교적 문맥 밖에서는 생각 할 수 없다. 즉 신의 은총안에 있는 자는 밝음의 세계에 있는 자이고, 은총밖에 있는 자는 어둠에 거하는 자고 파악되는 것이다. 결국 메피스토는 기독교적 신을 믿지 않는 불신자의 표상이 되는 것이다. 이것이 이 작품에서 메피스토의 주요 모티브가 되는 것이다. 또한, 파우스트와 메피스토의 대결은, 단순한 선악 관계의 이원론적 싸움이 아니라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절대 진리와 신을 찾아가는 파우스트의 도정을 완전하게 하기 위하여 메피스토는 시종일관 주도 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신은 악을 통해서도 역사한다는 기독교진리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 가격4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4.08.23
  • 저작시기2004.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40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