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HDTV와 SDTV
2. 화면비(Aspect Ratio) - 16:9 Vs 4:3
3. HDTV의 특성에 따른 연출상의 고려
가. 기획 : 제작비, 아이템의 선정, 제작리소스의 선택
나. 야외촬영
다. 스튜디오 연출 계획
4. 편집의 흐름(Video Editing Flows)
5. 디지털 제작정보 시스템
(DIPS- Digital Information Production System)
2. 화면비(Aspect Ratio) - 16:9 Vs 4:3
3. HDTV의 특성에 따른 연출상의 고려
가. 기획 : 제작비, 아이템의 선정, 제작리소스의 선택
나. 야외촬영
다. 스튜디오 연출 계획
4. 편집의 흐름(Video Editing Flows)
5. 디지털 제작정보 시스템
(DIPS- Digital Information Production System)
본문내용
끌어와 작업 실시.
↓
[음성 더빙] 정음(整音)작업·효과음·내레이션 작업
↓
[오디오 살리기] 더빙스튜디오에 HD-5가 완비된 경우 HD-5를 직접 끌어와 작업 실시.
↓
[완성프로그램 작성] T-W붙이기·다닝 붙이기 작업
↓
[시사·예비본 만들기] 방송시작부터 종료시점까지 쭉 이어서 시사해 봄.
방송용 완성품과 똑같은 테입을 만들어 예비본으로 보관.
↓
[방식 변환] 하이비전과 NTSC가 같은 내용을 방송할 경우, 신호형식의 방식변환 실시.
NTSC 방송내용에 따라 방식변환의 작업 순서가 달라진다.
↓
[NTSC 편집] 하이비전과 NTSC가 서로 다른 내용으로 방송할 경우,
독자적인 편집작업을 실시.
↓
[NTSC 완성 프로그램] NTSC 방송만의 T-W가 필요한 경우에는 그에 따른 작업 실시.
↓
[시사·예비본 만들기] NTSC용 방송시작부터 종료시점까지 쭉 이어서 시사해 봄.
방송완성품과 똑같은 테입을 만들어 예비본으로 보관.
[소재 테입] HD-D5 테입
↓
[단순 편집] EDL 테입을 토대로 음성 중심으로 편집한다. 영상효과, 색깔 보정은 가공하지 않는다
↓
[색깔 보정 전 테입] → [MA 카피] MA카피
↓ 작업 순서에 따라 MA테입 카피 단계가 달라진다
[색깔 보정, 영상효과] 앞뒤의 씬을 확인하면서 연속성을 생각해 화상을 보정한다
↓ 연출의도에 맞게 표현력을 높이는 영상효과(OL·Wipe·DME등)를 첨가해 영상 편집을 완료한다
[HD 클린 픽처·테입] → [MA 카피]
↓ ↓
↓ [NTSC 화각(畵角) 보정] NTSC 다운 컨버팅 때의 화면에 맞춰 보정한다
↓ ↓
↓ [NTSC 클린 픽처·테입]
↓ ↓
[테럽 부가] HD-Vips에 의해 테럽 처리를 한다
↓ ↓
[준완성 프로그램· 테입]
↓ ↓
[MA 카피]더빙 스튜디오에 맞춰 MA 작업테입을 작성한다
↓ ↓
[PCM 24ch·MA테입]
↓ ↓ MA스튜디오에 HD-D5가 완비된 경우
[더 빙] HD-D5로 카피에 전달한다
↓ ↓
[오디오 되돌리기] MA에서 완성시킨 음성을 오디오 되돌리기
↓ HD테입에 카피한다 ↓ MA스튜디오에 HD-D5가 완비된 경우
[완 성 클 린 픽 처 · 테 입] 스튜디오 내에서 「오디오 되돌리기」
↓ ↓ ↓ 작업을 한다
[테럽 부가] [다 운 컨 버 팅]
↓ ↓
↓ [NTSC 클린 픽처·테입]
↓ ↓
↓ [NTSC 테럽 부가]
↓ ↓
[H D 방송용 완성·테입] ↓
↓ ↓ ↓
[시사·예비본 만들기] [다운 컨버팅] ↓
↓ ↓
[NTSC 방송용 완성·테입]
↓
[NTSC 시사·예비본 만들기]
이상의 편집 작업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NHK는 촬영원본은 보관하고, 일체의 작업을 복사본으로 한다.
- Off Line 편집은 대부분 S-VHS를 이용한다
- Clean Picture를 M/E 분리로 만든다.
- 모든 영상은 동일한 TC에 의해 제어되고 관리 됨으로써, 향후 자료 의 검색과 이용이 편리하다.
NHK의 편집시스템을 그대로 수용할 수는 없다하더라도, 최종 방송본 과 함께 국제표준 규격의 M/E 분리용 Clean Picture는 반드시 마련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현재 이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TS-7 편집실의 여건을 고려해 볼 때,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를 필요가 있다.
① HD Clean Picture 제작 - SD로 Down Converting - SD Master 제작(자막) - 음악효과용 Copy, 효과실에서 M/E 분리
② HD Master 제작(자막)
③ SD Master 더빙(최종 방송용)
④ SD Master의 더빙 오디오로 HD Master 더빙(최종 방송용)
※ 자막처리
- 자막의 경우 SD는 화면의 검은색 띠와 경계선에 수퍼하고, HD는 화면의 Safty Zone에 수퍼해야 한다. (자막이 완료된 방송용 HD 프로그램을 SD로 Down Converting 하면 자막의 위치가 화면 중 심부로 이동하고, 자막의 크기가 더 작아져서 식별이 곤란해 지는 경우가 있음)
- HD는 화질이 선명하기 때문에 자막의 크기가 작아도 쉽게 읽을 수 있음.
5. 디지털 제작정보 시스템
디지털 HD 방송은 프로그램 제작 뿐아니라 제작 시스템 자체의 변화도 요구하고 있다. 기존 프로그램의 제작관행 중 가장 시급히 개선해야할 사항은 프로그램의 취재 및 제작 정보가 분산되어 사장된다는 점이다. 이는 영상물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정보나 기타 그와 관련한 인물, 지리 정보, 그리고 저작권 사항등 부가적인 정보가 추후 데이터 방송을 위해서 필요한 사항임 을 감안하면, 체계적인 수집, 저장 검색 등 시스템적 관리가 필요한 시점이 다. 현재 NHK에서도 이에 대한 시스템 개발에 착수해 시범운용 중이다.
일명 'BEATUS 시스템'으로 3년 전부터 구성에 착수해 사용 중이다.
그 대략적인 개발배경은 다음과 같다.
- 디지털 방송시대에는 대량의 고품질 컨텐츠가 필요
- 효율적인 컨텐츠 제작을 위해 영상소재와 소재에 관련된 캡션이나 권 리 정보 등 메타데이터의 중요성이 증대함에 따라 영상소재의 컷 단위 로 관리한 메타데이터의 데이터베이스화 요구
- 취재에서 편집, 방송, 아카이브로 이어지는 토탈 시스템의 구축
영상정보와 제작정보(메타 데이터-대본, 기획아이디어)의 통합저장 관리 시스템으로, 프로그램의 기획단계부터 제작완성 단계까지 제작진이 촬영대상 및 일시, 장소, 출연자, 저작권, 기타 내용정보를 네트워크 단말에서 작성입 력하고, 향후 쌍방향 데이터 방송에 활용할 계획이다. 시스템 구성은
- 취재물을 데이터 서버에 저장, MPEG 1 압축은 PC 용으로, DV(디지 털 비디오) 는 Non Linear 편집 용 화면으로 생성하고 있으며,
- 프로그램 제작을 위해 개인용 PC에서 Non Linear로 간단히 구성편집 을 하고, EDL이 서버에 편집정보를 저장하기도 한다. 결국 PC 상에서 영상 콘티를 작성하고 가 편집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 시스템은 디지털 제작정보의 관리 이용은 물론이고, 간이 편집까지 가능하다는 점에서 편집시스템의 새로운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디지털 방송은 곧 기술적 변화이며, 정신적 변화이기도 하다.
↓
[음성 더빙] 정음(整音)작업·효과음·내레이션 작업
↓
[오디오 살리기] 더빙스튜디오에 HD-5가 완비된 경우 HD-5를 직접 끌어와 작업 실시.
↓
[완성프로그램 작성] T-W붙이기·다닝 붙이기 작업
↓
[시사·예비본 만들기] 방송시작부터 종료시점까지 쭉 이어서 시사해 봄.
방송용 완성품과 똑같은 테입을 만들어 예비본으로 보관.
↓
[방식 변환] 하이비전과 NTSC가 같은 내용을 방송할 경우, 신호형식의 방식변환 실시.
NTSC 방송내용에 따라 방식변환의 작업 순서가 달라진다.
↓
[NTSC 편집] 하이비전과 NTSC가 서로 다른 내용으로 방송할 경우,
독자적인 편집작업을 실시.
↓
[NTSC 완성 프로그램] NTSC 방송만의 T-W가 필요한 경우에는 그에 따른 작업 실시.
↓
[시사·예비본 만들기] NTSC용 방송시작부터 종료시점까지 쭉 이어서 시사해 봄.
방송완성품과 똑같은 테입을 만들어 예비본으로 보관.
[소재 테입] HD-D5 테입
↓
[단순 편집] EDL 테입을 토대로 음성 중심으로 편집한다. 영상효과, 색깔 보정은 가공하지 않는다
↓
[색깔 보정 전 테입] → [MA 카피] MA카피
↓ 작업 순서에 따라 MA테입 카피 단계가 달라진다
[색깔 보정, 영상효과] 앞뒤의 씬을 확인하면서 연속성을 생각해 화상을 보정한다
↓ 연출의도에 맞게 표현력을 높이는 영상효과(OL·Wipe·DME등)를 첨가해 영상 편집을 완료한다
[HD 클린 픽처·테입] → [MA 카피]
↓ ↓
↓ [NTSC 화각(畵角) 보정] NTSC 다운 컨버팅 때의 화면에 맞춰 보정한다
↓ ↓
↓ [NTSC 클린 픽처·테입]
↓ ↓
[테럽 부가] HD-Vips에 의해 테럽 처리를 한다
↓ ↓
[준완성 프로그램· 테입]
↓ ↓
[MA 카피]더빙 스튜디오에 맞춰 MA 작업테입을 작성한다
↓ ↓
[PCM 24ch·MA테입]
↓ ↓ MA스튜디오에 HD-D5가 완비된 경우
[더 빙] HD-D5로 카피에 전달한다
↓ ↓
[오디오 되돌리기] MA에서 완성시킨 음성을 오디오 되돌리기
↓ HD테입에 카피한다 ↓ MA스튜디오에 HD-D5가 완비된 경우
[완 성 클 린 픽 처 · 테 입] 스튜디오 내에서 「오디오 되돌리기」
↓ ↓ ↓ 작업을 한다
[테럽 부가] [다 운 컨 버 팅]
↓ ↓
↓ [NTSC 클린 픽처·테입]
↓ ↓
↓ [NTSC 테럽 부가]
↓ ↓
[H D 방송용 완성·테입] ↓
↓ ↓ ↓
[시사·예비본 만들기] [다운 컨버팅] ↓
↓ ↓
[NTSC 방송용 완성·테입]
↓
[NTSC 시사·예비본 만들기]
이상의 편집 작업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NHK는 촬영원본은 보관하고, 일체의 작업을 복사본으로 한다.
- Off Line 편집은 대부분 S-VHS를 이용한다
- Clean Picture를 M/E 분리로 만든다.
- 모든 영상은 동일한 TC에 의해 제어되고 관리 됨으로써, 향후 자료 의 검색과 이용이 편리하다.
NHK의 편집시스템을 그대로 수용할 수는 없다하더라도, 최종 방송본 과 함께 국제표준 규격의 M/E 분리용 Clean Picture는 반드시 마련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현재 이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TS-7 편집실의 여건을 고려해 볼 때,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를 필요가 있다.
① HD Clean Picture 제작 - SD로 Down Converting - SD Master 제작(자막) - 음악효과용 Copy, 효과실에서 M/E 분리
② HD Master 제작(자막)
③ SD Master 더빙(최종 방송용)
④ SD Master의 더빙 오디오로 HD Master 더빙(최종 방송용)
※ 자막처리
- 자막의 경우 SD는 화면의 검은색 띠와 경계선에 수퍼하고, HD는 화면의 Safty Zone에 수퍼해야 한다. (자막이 완료된 방송용 HD 프로그램을 SD로 Down Converting 하면 자막의 위치가 화면 중 심부로 이동하고, 자막의 크기가 더 작아져서 식별이 곤란해 지는 경우가 있음)
- HD는 화질이 선명하기 때문에 자막의 크기가 작아도 쉽게 읽을 수 있음.
5. 디지털 제작정보 시스템
디지털 HD 방송은 프로그램 제작 뿐아니라 제작 시스템 자체의 변화도 요구하고 있다. 기존 프로그램의 제작관행 중 가장 시급히 개선해야할 사항은 프로그램의 취재 및 제작 정보가 분산되어 사장된다는 점이다. 이는 영상물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정보나 기타 그와 관련한 인물, 지리 정보, 그리고 저작권 사항등 부가적인 정보가 추후 데이터 방송을 위해서 필요한 사항임 을 감안하면, 체계적인 수집, 저장 검색 등 시스템적 관리가 필요한 시점이 다. 현재 NHK에서도 이에 대한 시스템 개발에 착수해 시범운용 중이다.
일명 'BEATUS 시스템'으로 3년 전부터 구성에 착수해 사용 중이다.
그 대략적인 개발배경은 다음과 같다.
- 디지털 방송시대에는 대량의 고품질 컨텐츠가 필요
- 효율적인 컨텐츠 제작을 위해 영상소재와 소재에 관련된 캡션이나 권 리 정보 등 메타데이터의 중요성이 증대함에 따라 영상소재의 컷 단위 로 관리한 메타데이터의 데이터베이스화 요구
- 취재에서 편집, 방송, 아카이브로 이어지는 토탈 시스템의 구축
영상정보와 제작정보(메타 데이터-대본, 기획아이디어)의 통합저장 관리 시스템으로, 프로그램의 기획단계부터 제작완성 단계까지 제작진이 촬영대상 및 일시, 장소, 출연자, 저작권, 기타 내용정보를 네트워크 단말에서 작성입 력하고, 향후 쌍방향 데이터 방송에 활용할 계획이다. 시스템 구성은
- 취재물을 데이터 서버에 저장, MPEG 1 압축은 PC 용으로, DV(디지 털 비디오) 는 Non Linear 편집 용 화면으로 생성하고 있으며,
- 프로그램 제작을 위해 개인용 PC에서 Non Linear로 간단히 구성편집 을 하고, EDL이 서버에 편집정보를 저장하기도 한다. 결국 PC 상에서 영상 콘티를 작성하고 가 편집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 시스템은 디지털 제작정보의 관리 이용은 물론이고, 간이 편집까지 가능하다는 점에서 편집시스템의 새로운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디지털 방송은 곧 기술적 변화이며, 정신적 변화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