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인식의 기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역사란?
2. 역사의 가치
3. 역사 인식의 주체이자 객체인 "나"는 누구인가?(어떤 존재인가?)
4. 역사를 보는 눈 - 역사학, 역사철학, 역사관 소개

※ 근대 한국사학과 사관

본문내용

사관과 민중들에 의해 만들어진다고 보는 민중사관, 역사를 규정하는 힘이 정신적 원리라고 보는 관념사관, 경제적 생산력이라는 물질적 생활원리가 보다 기본적이라 보는 유물사관, 종교적 종말론 같은 종교적 역사관, 인간정신 진보→문화발전 누적→다음 시대 역사발전의 원동력으로 보는 문화사관, 실질적인 증거를 가장 중시하는 실증사관, 왕조를 중심으로 보는 왕조사관 등 다양한 사관이 있을 수 있고, 있어 왔다. 그런데 자기 목적과 입장을 살리기 위해 억지로 정해진 기준에 史實을 맞추려는 데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 근대 한국사학과 사관
0 19세기말에서 20세기 초 : 실학자들의 역사인식을 이어 사대주의 사관을 비판하고 민족주의를 내세 우는 애국계몽주의 역사학은 忠君愛國主義를 벗어나지 못함
0 식민사관의 논점
- 타율성론 : 한국사의 성격을 부수성, 주변성, 다인성으로 규정하고, 사대주의는 숙명적 굴레로 단 정. 태고적부터 기자, 위만, 한사군 등 중국의 지배를 받았고, 남쪽은 임나일본부에 의해 통치되었 으며, 문화적 독창성이 결여되어 불교, 유교 등 외래사상으로 가득차 있다
- 정체성론 : 노예제 존속, 국민경제의 부재, 토지국유제 등으로 자율적 발전이 불가하여 일본이 발 전시켜주는 봉사를 했다
0 반식민사학의 확립
① 민족주의 사학 : 한국사의 발전을 민족의 정신적 측면에서 설명하려고 시도. 항일운동의 중요 한 정신적 토대가 되었으나 투쟁사관, 민족정신을 지나치게 강조하다 보니 사료의 실증이 약하다 는 비판과 학계에서 밀려남으로써 보편적인 발전사관이 되지 못했다.
② 사회경제사학 : 한국의 역사도 세계사와 같은 유물사관의 법칙으로 발전해왔다고 하여 식민주의 사관은 극복했으나 극단적인 계급주의 노선으로 민족역량의 통합을 저해하고 분열시켰으며, 실증 적이고 이론적인 뒷받침이 없어 한계성 노출
③ 실증사학 : 문헌 중심의 실증을 중시하는 학풍. 역사가의 주관이나 의식을 일체 배제하며, 민족운 동으로서의 역사연구를 거부했다. '진단학회'(1934)를 조직하여 활동. 일부학자들이 일본의 식민주 의 사관의 영향을 받은 것이 비난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 영국의 젊은 사학자 젠킨스는 이 실증사학이 '편견으로 뭉쳐져 있고, 이를 합리화 하기 위해 조작을 하게 된다'고 지적
0 1960년대는 식민주의 사학의 유산을 극복하고 민족사의 독자성과 내재적인 발전과정을 추구하는 민 족주의 사학이 촉진되었다(4.19 혁명이후 한국적 민주주의를 내세우면서 민족의식이 되살아나 민족 사와 민족문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졌다). 그러나 중앙정보부가 생기면서 고구려 중심 역사 등 북쪽에 관련된 연구는 심한 탄압을 받게 된다.
0 1970년대는 민족사학에 대한 부분적인 반성과 분화가 시작되어(1976년에 국사바로잡기 운동이 본격 화되어, 78년에는 문교부 장관을 재판에 회부, 판사의 일리있다는 판결문을 받아냄), 1980년대에는 한단고기, 규원사화, 부도지가 세상에 나오고, 81년의 국사교과서 공청회가 있었고, 86년 소설 丹으 로 시작된 고대사에 대한 관심으로 87 역사교육 심의회가 만들어져 30명의 학자들이 연구토의를 했 으나 결론은 기존 강단 사학자들이 체계적인 방어를 하게 만들어 "탈식민지 사관이란 탈을 쓰고 식 민지 사관을 추종하는" 오히려 더 나빠지는 결과가 초래되었으나 각각의 개성적인 면이 보다 뚜렷 해졌다. 1990년대에 들어오자 일제잔재 청산에 활기를 띄어 조선총독부 건물 철거, 초등학교로 개칭 등 민족정기 되찾기 노력이 강화되었고, 엄청나게 많은 민족주의적 책자가 출판되면서 자료도 많이 발굴되었으며, 소장학자들이 다수 출현하여 기대를 걸게 하고 있으나 학계로서는 일정한 한계가 있 는 게 현실이다.
단군의 實史化와 함께 민족의 형성과정, 민족문화의 기원, 민족사에서 첫 국가의 등장 등 민족 의 뿌리를 밝히려는 것이 민족주의 역사의식에서 가장 중시하는 면이다. 대중의 관심도 컸으나 실 증사학의 영향 하에 있던 학계의 노력과 대중화는 미흡했다.
0 이상에서 보듯이 사관의 종류는 다양하고, 이런 경제사회 사관, 유물사관, 유럽주의 사관, 왕조사 관, 사대사관, 왜식 사관 등이 현재의 역사 서술에 교묘하게 결합되어 있는데 이 현재의 사관과 도 식이 무너져야 기본적으로 교과서도 바뀔 수 있다. 많은 젊은이들이 한국사에 대한 실망감, 세계화 와 배외사상으로 전통문화 경시, 민족사관이나 주체의식의 강조를 편협한 국수주의로 매도하는 경 향까지 있는데 이를 벗어나는 새로운 한국사의 인식이 필요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4.08.27
  • 저작시기2004.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43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