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평가의 의의와 교육현장에서 평가가 가지는 문제점. 그리고 우리 나라 교육현장에서 교육평가가 학습자와 사회에 미친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가 어느 정도 실현되었는지를 최종적으로 확인하는 평가활동이다. 이것은 여러 교과에 걸쳐 수업활동이 모두 끝난 다음, 사전에 설정된 교수목표에 대한 학생의 성취도 수준을 종합적으로 판정하기 위해서 그리고, 집단간의 성적결과를 비교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된다. 총합평가결과는 학생들의 장래 성적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되며, 교육의 장기적인 질적 관리를 위해 적절히 활용될 수 있다.
평가도구의 종류에는 타당도, 신뢰도, 객관도, 실용도가 있다.
타당도는 한 검사가 그 검사가 재고자 하는 목적을 얼마나 충실하게 측정하느냐 하는 정도를 말한다. 즉, 타당도는 평가에 있어서 '무엇'과 관련된 개념으로서, ' 이 검사는 무엇을 재고 있는가?', '이 검사는 측정하려고 하는 능력을 얼마나 충실하게 재고 있는가?'의 문제이다.
신뢰도는 특정 검사에 그 점수에서 얻어진 점수를 얼마만큼 믿을 수 있느냐를 나타내는 정도이다. 즉, 신뢰도는 평가에 있어서 '어떻게 측정하고 있는가'와 관련된 개념으로서 '이 검사가 얼마나 오차 없이 정확하게 측정하느냐'의 문제이다. 신뢰도란 항상성, 신빙성이라는 말과 같다.
객관도는 채점자 또는 평가자의 신뢰도로서, 채점자가 얼마나 일관성 있게 채점하는가의 정도이다. 즉, 채점자의 변덕에 따라 결정되는 신뢰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객관도를 '검사자의 신뢰도'라고 하기도 한다.
실용도는 한 개의 평가도구 혹은 검사를 얼마나 시간과 정력을 적게 들이고 '활용할 수 있느냐의 정도'로 정의할 수 있다. 그 평가도구가 사용하기에 얼마나 용이하고 경제적인가와 관련된 실용성의 문제이다.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08.28
  • 저작시기2004.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43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