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대상이 있습니까?
⇒ 복지관 기능팀들은 주로 아동대상이므로 크게 중복되지는 않는다. 물론 무료식당이용
자 분들은 많이 겹치고 있다.
(2) CO워커로서 현재의 일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만족 혹은 불만족)
⇒ 일에 대해서는 만족하나, 급여에 대해선 불만족
(3) 팀의 복지관 내에서의 정체성은?
⇒ 팀의 조직도를 보면 지역사회복지영역에 4개 분과로 나뉘고 있는데, 실질적인 CBR
담당은 지역복지팀으로서 최근 수서CBR사업으로 더욱더 복지관내에서의 정체성은
높아져가고 있다. 이러한 정체성을 더욱더 확고히 하기 위해 CBR만의 센터로서 독립
될 필요성이 있다.
(4) 복지관의 다른 팀과의 approach는 어떻습니까?
⇒ 좋은 편이다. 이는 체계를 구성하기 위한 기본적인 과제라고 생각한다. 이것이 이루
어지지 않으면 사공이 많은 배와 같다.
(5) “CBR은 CD의 전략중 하나이다”라고 하는데 CBR을 뭐라고 생각하시는지?
⇒ 복지관이 없어도 잘 돌아가는 체계로서 기능하고, 사회복지사는 코디네이터 역할만을
하는 것이 CBR이라 생각한다. 아울러 CBR센터로서 독립될 필요가 있다.
(6) 지역복지협의체를 통한 공동 사례관리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 현재 보안문제로 이뤄지기 어려우며, 그 대안으로 daum카페가 이용되며(공동사례관
리방, 진료결과 보고 등) 서울경기 지역 실무자 모임을 정기적으로 갖고 있음.
(7) 현재 T.O.는? 그리고 필요한 T.O.는 몇 명이라고 보시는지?
⇒ 현재는 3명. 그러나 6명 정도가 적정 T.O.라고 생각한다.(자원봉사 1, 사례관리1, 자
원개발1, 기타 행사후원홍보)
⇒ 복지관 기능팀들은 주로 아동대상이므로 크게 중복되지는 않는다. 물론 무료식당이용
자 분들은 많이 겹치고 있다.
(2) CO워커로서 현재의 일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만족 혹은 불만족)
⇒ 일에 대해서는 만족하나, 급여에 대해선 불만족
(3) 팀의 복지관 내에서의 정체성은?
⇒ 팀의 조직도를 보면 지역사회복지영역에 4개 분과로 나뉘고 있는데, 실질적인 CBR
담당은 지역복지팀으로서 최근 수서CBR사업으로 더욱더 복지관내에서의 정체성은
높아져가고 있다. 이러한 정체성을 더욱더 확고히 하기 위해 CBR만의 센터로서 독립
될 필요성이 있다.
(4) 복지관의 다른 팀과의 approach는 어떻습니까?
⇒ 좋은 편이다. 이는 체계를 구성하기 위한 기본적인 과제라고 생각한다. 이것이 이루
어지지 않으면 사공이 많은 배와 같다.
(5) “CBR은 CD의 전략중 하나이다”라고 하는데 CBR을 뭐라고 생각하시는지?
⇒ 복지관이 없어도 잘 돌아가는 체계로서 기능하고, 사회복지사는 코디네이터 역할만을
하는 것이 CBR이라 생각한다. 아울러 CBR센터로서 독립될 필요가 있다.
(6) 지역복지협의체를 통한 공동 사례관리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 현재 보안문제로 이뤄지기 어려우며, 그 대안으로 daum카페가 이용되며(공동사례관
리방, 진료결과 보고 등) 서울경기 지역 실무자 모임을 정기적으로 갖고 있음.
(7) 현재 T.O.는? 그리고 필요한 T.O.는 몇 명이라고 보시는지?
⇒ 현재는 3명. 그러나 6명 정도가 적정 T.O.라고 생각한다.(자원봉사 1, 사례관리1, 자
원개발1, 기타 행사후원홍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