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U(European Economic and Monetary Union, 유럽경제통화동맹)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EMU(European Economic and Monetary Union, 유럽경제통화동맹)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EMU(European Economic and Monetary Union, 유럽경제통화동맹)란?

2. EMU참가국:

3. 유로화의 현주소

4. 유로화의 도입배경

5. EMU출범 현황

6. EMU출범에 따른 제도변경 사항
(1) 표시통화의 전환
(2) 신 기준금리의 도입
(3) 유로화의 국제적인 역할
① 세계무역에서의 유로화
② 공적 외환보유액으로서의 유로화
③ 국제통화 체제에서의 유로화의 역할

6. EMU의 향후전망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
(1) ECB의 지위 및 통화정책
(2) 재정정책에 관한 엄격한 제한
(3) 실질 경제통합 미흡
(4) 심각한 구조적 문제

7. EMU 결성을 통한 이익은 무엇인가 ?

8. EU 회원국중 EMU에 가입하지 않는 국가의 통화정책은?

9. 유로화에 대한 수요전망
 
10. EMU의 경제 및 통화 위상

11. 유로화 출범에 따른 환율 전망

참고 사이트와 참고서적:

본문내용

제채권 발행비중이 축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표시통화별 잔액은 달러가 45%를 차지하고 있는 반면, EU국가 통화표시 채권비중은 33%에 머무르고 있다.
또한 지난 20년간 그 비중이 감소하고 있음에도 세계 각국의 공적 외환보유고 가운데 57%가 달러 표시 자산이다.
11. 유로화 출범에 따른 환율 전망
유로는 앞서 살펴 본 바와 같이 국제통화로서의 기준을 만족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전후 기축통화로서 거의 독점적인 지위를 누려온 달러의 위상을 상당 부분 잠식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국제통화로서 유로가 정착하여 신뢰를 확보하기까지는 기본적으로 상당한 시간이 필요한 것도 사실이다. EMU가 경제규모에서 미국과 대등해지고 경제상황도 미국에 비해 유리해 보이나, 참가국의 자본시장이 미국에 비해 덜 성숙되었고 금융시장을 통합하는 과정이 아직 남아 있다는 점은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 한다.
유로의 달러에 대한 환율전망은 금년 초반까지는 'EMU출범초기 약세중장기 강세' 전망이 우세하였으나, 5월 EMU참가 11개국이 확정되고 6월 ECB가 발족하면서 EMU출범이 차질없이 진행되는 가운데 초기부터의 강세 전망으로 바뀌고 있다. 물론 강세 전망의 기본적인 이유는 유로 지역의 기초 경제여건이 비교적 양호하고, 유로 자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는 예상에 있다.
EU 집행위원회의 경제전망에 따르면 EU15개국의 경제성장률은 97년 2.7%에 이어 98년 2.9%로 상승세를 보인 후, 99년에는 세계경제 불안으로 2.4%로 낮아지겠으나 2000년에 2.8%로 다시 회복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미국경제는 금년 하반기를 기점으로 점차 성장이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FRB의 연방기준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향후에도 금리인하가 예상되며, 일본경제도 침체국면에서 쉽게 벗어나지 못할 것이라는 점은 곧 기조적으로 유로의 강세를 전망하는 근거가 되고 있다.
경상수지는 단일통화인 유로화의 강세전망에 따라 수출증가세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나 EU기업의 경쟁력 강화 등에 힘입어 99년 이후에도 GDP대비 1.5%정도의 흑자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미국은 97년 1,664억달러 적자에 이어 올해 및 내년에도 2천억달러 이상의 대규모 경상수지 적자가 예상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지금의 국제자본시장의 이동속도를 감안할 때 유로강세를 예상한 민간 포트폴리오투자가 달러자산에서 유로자산으로의 이동이 단기간내에 일어날 가능성도 있다. 이때는 달러가치가 큰 폭으로 하락할 수도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Portes & Rey는 7천억달러의 이동으로 달러가치가 40% 하락할 수 있다고 분석함)
참고 사이트와 참고서적: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ir_id=41301&docid=79768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OD&office_id=008&article_id=0000397247
최근 유로화의 수용도 현황과 EMU의 확대 전망. 박성훈. 2002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09.02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48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