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중국의 5대도시 완벽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중국의 5대도시 완벽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중국 주요 도시 분석

서 론
본 론
1. 명실상부한 중국의 중심도시 베이징
2. 중국 성장의 일등공신 상하이
3. 서부 대개발의 선봉 충칭
4. 중국 남방의 중심지 광저우
5. 규모를 갖춘 계획도시 선전
결 론

본문내용

광저우가 상당히 도시와되었다는 것을 으미한다. 중국에서 도시인구의 숫자는 시장구조를 가늠해볼 수 있는 잣대가 되기도 한다.
2000년 중국 10대 도시민의 소비형태를 조사한 결과 품목별 지출순위를 보면 광저우는 식품비 · 주거비 · 교통비의 비중이 크고, 의복비 지출이 비교적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광저우 시민들은 특히 외식에 지출이 큰 편이어서, 평균 외식비 지출은 월 1,754위안으로 다른 9개 도시에 비해 월등히 높다.
<광저우시 인구구성>
*자료출처 : 중국 2001년 인구조사연감
항 목
수 치
총인구
994만 3,000명
호구수
237만 3,600호
남녀비율
108.70 : 100
연령구조
0-14세
163만 5,100명
15-64세
770만 9,600명
65세이상
59만 8,300명
교육수준
대학이상
92만 5,600명
고등학교
203만 2,700명
중학교
368만 5,600명
초등학교
238만 3,100명
문맹
23만 400명
도시와 농촌의 인구수
도시인구
833만 1,200명
농촌인구
161만 1,200명
일인당 주거 및 교통비 지출이 가장 높은 도시 역시 광저우로 각기 1,474위안과 1,033위안이다. 그러나 2000년 평균 의복비 지출은 586위안으로 전년대비 7퍼센트 상승했지만, 전체 지출의 비중으로 볼 때 해마다 하락하는 추세이다.
2000년 광저우의 정보통신비 지출은 중국에서 가장 높다. 특히 전신서비스 부문의 총소비액은 167억 800만 위안으로 전년대비 43퍼센트 상승했다. 광저우 시민들은 컴퓨터와 인터넷에 익숙한 편이어서 많은 업무를 인터넷으로 해결하고 있다. 시민들 역시 인터넷으로 각종 정보를 얻고, 쇼핑을 하고 전자우편을 주고받는 데 익숙한 편이다.
중국의 WTO 가입에 따라 광저우는 중국 국내의 기타 도시와 달리 보험, 은행, 관광, 법률 서비스, 전자정보 서비스, 기본적인 전기 통신 서비스, 소매업 등 7개 업종을 개방할 예정이다. 외국기업의 자본을 유치하고 시장을 개방하면 광저우의 투자환경은 더욱 좋아질 것이다.
광저우시는 외국자본의 유치를 위해 다음 6가지 정책을 수립하여 시행할 예정이다.
첫째 : 수입관세를 대폭 낮추기 위해서, 평균관세를 차츰 개발도상국 수준까지 낮춰갈 예정이다.
둘째 : 수입할당관세를 낮출 것이다.
셋째 : 수출입 품목에 대한 할당액과 허가증 제도의 적용범위를 축소시킬 것이다.
넷째 : 대내외적으로 외자무역경영권을 개방하기 위해서, 외자무역회사의 수출입 독점을 없애고 외자기업의 수출신청, 균등환율 적용 등의 제도도 없앤다. 그렇게 하여 결과적으로 무역 경영권 개방 품목을 99퍼센트에 이르도록 한다.
다섯째 : 국외 기업과 외국자본의 시장진입을 확대하기 위해서 외자기업에 대해서도 자국민과 동등한 대우를 실시한다.
여섯째 : 외자무역정책을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해서, 중국대외무역 · 개발부에서 광저우의 정책 제정과 집행을 감독하도록 한다.
5. 규모를 갖춘 계획도시 선전
선전은 1970년 건설된 도시로, 1980년 주하이 · 산터우와 함께 광둥성 경제특구로 지정되었다. 총면적은 2,020제곱킬로미터이고, 그 중 경제특구 면적은 327.5제곱킬로미터이다. 지역적으로는 홍콩과 근접해 있고 경제특구라는 유리한 여건 때문에 외국기업의 투자를 대량 유치했다. 그밖에 중국의 많은 성이나 시의 기업에서는 전전에 지사를 설립하여 홍콩 및 해외와의 연결을 도모하고 있다.
선전은 새로 건설된 계획도시이기 때문에 도시의 기본구획 및 설계가 중국의 다른 도시보다 잘 짜여 있다. 또한 홍콩에 비해 물가가 싸고 각종 유흥시설을 두루 갖추고 있어, 쇼핑을 목적으로 찾아오는 홍콩인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등 유동인구가 많은 편이며, 소비시장 또한 활기를 띠고 있다.
경제특구로 지정된 후 경제사회 및 각종 사업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외곽지역도 발달하여 선전은 규모를 갖춘 현대화된 도시로 탈바꿈하였다. 1980년부터 1998년까지 선전의 중국 국내 생산 총액은 1,289억 위안으로 해마다 32.2퍼센트 성장했고, 공업 총생산치는 49.5퍼센트, 소비재 판매총액은 35.2퍼센트 성장했으며, 재정소득은 43.5퍼센트씩 증가하여 165억 위안에 이르렀다.
항 목
수 치
상주인구(2001년)
468만 명
2001년 생산총액(GDP)
1,954억 위안
2001년 1인당 평균소득
4만 3,344위안
<선전시 경제지수>
이제 선전은 '선전만의 속도' '선전만의 효과'를 창조하며, 경제력에서 월등히 앞서고 있다.
2001년에 들어와서는 정원식 · 화원식 도시건설을 목표로 구역 경제 중심의 현대화된 국제도시를 만들기 위해 고급 신기술 산업기지와 금융ㅅ겐터, 정보센터, 무역센터, 운수센터 및 관광지 건설을 시작했다.
선전고급과학기술단지의 면적은 11.5제곱킬러미터로, 베이징의 127제곱킬로미터나 시안의 130제곱킬로미터에 비해 보잘 것 없다. 게다가 근처에 면문대학이 없어 선전의 과학기술 인재도 부족한 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전시 정부는 과학기술산업을 단계적으로 향상시키고 외국의 투자를 유치해 중국의 주요 IT 산업기지로 발전시킬 계획을 세우고 있다.
중국의 36개 대도시 중 선전은 주민의 평균소득이 가장 높은 곳으로 1인당 4만 3,344위안에 이른다. 선전 주민들의 소비행태를 보면 자동차 구매에 가장 큰 관심을 갖고 있다. 최근 홍콩 싶들이 대거 몰려와 쇼핑하거나 부동산을 구매하기 시작한 이후 선전의 부동산 시장은 열기를 띠고 있다.
급속한 경제발전에 따라 유통망에도 상당한 변화가 나타났다. 최근 선전에는 기존의 재래상점 외에 백화점, 슈퍼마켓, 대형종합슈퍼, 편의점, 창고식 할인마트, 쇼핑센트 그리고 인터넷 쇼핑몰, TV 홈쇼핑 등이 등장하여 활기를 띠고 있다.
결 론
해마다 높은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중국시장은 세계 경제의 핵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이런 중국시장을 다른 나라보다, 다른 기업들 보다 먼저 선점하는 것은 앞으로 우리나라의 운명이 걸린 일이다. 이런 중국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중국의 인구가 몰려 있는 주요도시들의 완벽한 분석이 꼭 필요하다. 이런 분석을 바탕으로 앞으로 우리 기업들이 중구시장을 선점했으면 한다.

키워드

중국,   광저우,   북경,   베이징,   선전,   선봉,   상하이,   시장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4.09.05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51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