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의 위기와 기독교의 역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사회의 위기와 기독교의 역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들어가는 글

II. 이어지는 글
  1. 한국사회의 위기와 기독교적 이해
  2. 기독교적 이해와 교회의 역할
  1). 관용주의의 형성
  2). 자아실현과 개발의 정신
  3). 청교도의 직업윤리였다.
  4). 자원정신과 봉사정신이다.
  5). 거듭난 신자(중생)의 정신과 종교적인 기본권 정신이다.

III. 마무리하는 글

본문내용

우리의 삶을 그와 교제케 하는 것으로 보았다. 이것은 바로 영광의 십자가가 아니라 고난의 십자가를 통해 그리스도를 보는 루터의 십자가 신학의 논리와 맥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우리는 항상 우리 자신을 하나님의 봉사를 위해 내어 맡기고, 우리를 그에게 복종하는 자로 확실히 할 때에 십자가 아래서 위로 받고 지지를 받게 됨을 알게 되고 그때에 우리는 의롭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바로 독일교회의 부패를 향한 본 훼퍼의 질타와도 맥을 같이하고 있다. 당시 독일교회는 영광의 십자가만 바라보았지 루터가 지적한 십지가를 지는 교회의 모습은 상실해 있었다. 그가 보는 독일교회는 값을 지불하지 아니하고 은혜만 요구하는 값싼 은혜의 우물에 빠져 있었다. 한국교회도 한국사회와 마찬가지로 번영의 신학을 추구하였으며 십자가를 지는 헌신과 고난의 길을 걷는 것을 포기했다. 이것이 바로 한국교회의 사회에 대한 결정적인 실수였다.
5). 거듭난 신자(중생)의 정신과 종교적인 기본권 정신이다.
이러한 정신은 미국의 권위주의를 붕괴시키고 민주주의를 이루는데 토양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시대에 대처해서 구조적인 갱신을 쉽게 이루어 낼 수 있는 여력을 심어주었다. 누구나 다 그리스도안에서 새로운 신자가 될 수 있다는 종교적인 개념을 16세기 적이지만 이것은 미국 기독교인들의 보편정신이었다. 그리고 이것은 모든 사람에게 주어진 종교의 기본적인 성격으로 이해 되었다. 중생 정신은 한 인간이 완전히 새롭게 변신하는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이는 자신의 이전의 신분에서 어떤 편견과 장애물도 극복하고 신분상승을 가져오는 기회의 정신으로 승화되었다. 이런 정신은 단순한 형식논리의 동양의 권위주의의와는 판이하게 다른 내용있는 실력위주의 권의주의였고, 이것이 곧 사회발전에 기여하는 동력이 되었다. 이런 개신교의 유산이 한국의 기독교인들에 의해 한국사회에 심어 진다면 작금 한국사회가 안고 있는 구조조정은 쉽게 이루어 질 것이다. 아무른 검정없고 객관성이 결여된 권위주위와 구조주위가 무너지는 것이 IMF의 요구이다. 교회의 구조조정이 곧 한국 사회의 구조조정을 위한 동반자의 역할을 담당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 구조조정은 중생의 원리와 만인제사장직이라는 개신교 종교개혁의 원리에 비추어 볼 때 교회가 사회에 앞장서서 본을 보여 주어야 할 것이다.

III. 마무리하는 글
미국개신교의 신앙적인 유산은 다양한 삶의 가치를 미국사회의 건설에 심어주었다. 이것은 Americam Dream의 원동력이 되었다. 한국의 프로테스탄트 교회도 한국사회의 위기 극복을 위해 사회적인 지침과 방향들을 제시하고 구현화 시킬 사명이 있다고 본다. 한국사회의 아픔은 곧 교회의 아픔을 재생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교회는 한국사회가 물질만능주의로 흘러갈 때 역사적인 안목을 가지고 아무른 대안이나 충고도 현실적으로 내 놓지 못했다. 오히려 그것에 편승하여 번영의 넉넉함을 세상과 함께 즐기는 반려자가 되었다. 교회는 산위의 마을이어야 한다. "흑암에 앉아 있는 백성들을 향해 하늘의 음성을 듣게 해야 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09.08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57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