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경협의 제도화를 실현하는 마지막 히든카드다. 남북한 공동의 이해를 기초로 새로운 경협의 모델이 될 수 있는 곳으로 개성보다 우선되는 지역은 현재까지 제시되지 않고 있다. 북한은 나진·선봉 특구를 실험하여 실패하는 데 10년을 보냈고, 신의주는 출발도 하기 전에 좌초하고 있는 상황이다. 북측이 시행착오를 되풀이할 만큼 시간이 충분하지는 않을 것이다.
추천자료
대북 포용 정책과 남북관계
김정일의 리더쉽과 남북관계전망
북핵문제와 남북관계
대한민국 정권별 북핵문제와 남북관계
금강산광광정책과 남북관계의 변화와 전망
[뉴질랜드경제개혁][독일경제개혁][베트남경제개혁][중국경제개혁][북한경제개혁]뉴질랜드의 ...
남북관계의 어제와 오늘
리더쉽과 남북관계전망
남북관계의 변화과정에 따른 정책 및 발전과정 조사분석
북,중 경협과 남북관계를 위한 한국의 대응전략 조사분석
21세기 국제정치와 남북관계의 이해
[외교정책론] 개성공단과 남북관계, 그리고 나아가야할 방향은 ?
북핵문제- 남북관계,북핵문제 사회문제,현실주의와 자유주의,북핵 문제의 국제적 영향,북핵문...
[북한의사회와경제] 1. 남북한 통일방안의 구체적 내용을 기술 2. 북한 통일방안의 허구성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