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씀과 성례전의 관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말씀과 성례전의 관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개신교 신학자들의 말씀과 성례에 대한 견해
2. 말씀의 본질
3. 말씀의 본지로서의 복음
4. 성례전의 중요성과 필요성
5. 말씀과 성례전의 올바른 관계
6. 나가는 말

본문내용

발전시킬 수 있는 길이다.
5) 성례전은 교인들을 지적, 정신적 차원에서는 물론 신체적 차원에서 그리스도와 결합시킨다. 성례전을 통하여 교인들은 신체적으로 그리스도와 하나됨을 체험한다.
6) 성례전은 예수가 선포한 하나님 나라의 물질성 내지 신체성과 사회성을 드러낸다.
7) 성례전은 하나님 앞에서 모든 인간은 하나이고 평등하다는 사실을 드러낸다.
5. 말씀과 성례전의 올바른 관계
말씀 선포와 성례가 서로 다른 방법을 역사하더라도 양자는 모두 동일한 효력을 지향하는 하나님의 말씀의 전달 형태이다. 말씀은 단지 성례라고 하는 구원의 수단에 대비한 교훈적 준비행위만이 아니라, 그 자체로서 구원의 수단이고, 단지 왕을 만나는 알현실만이 아니라 그 자체로서 왕이다.
하나님의 말씀은 자신이 증거하는 것을 산출하고, 자신이 전달하는 것을 나누어 주기 때문에, 그것은 들리는 성례라고 표현할 수 있다. 그러기에 거꾸로 성례는 보이는 말씀이다. 보이는 말씀인 성례가 보이지 않는 말씀인 선포에 종속되지 않듯 보이지 않는 말씀도 보이는 말씀에 종속되지 않는다. 따라서 양자는 말씀으로서 동등한 비중을 갖는다고 보아야 한다.
6. 나가는 말
오늘날 가톨릭의 신학자들 가운데에서도 말씀을 강조하는 개신교의 입장의 타당성을 인정하고 말씀과 성례전의 관계를 새롭게 정의하는 일련의 신학자들이 있으며(아놀드, 젬멀로트, 꽁가르, 쉐르치크, 라너 등), 개신교 신학자들(트뢸하스, 암만 등)도 성례전의 중요성을 인정함으로써 두 교회의 일치를 찾는 현상을 볼 수 있다. 이들이 보는 말씀과 성례전의 관계는 명확하다. 말씀이 결여된 성례전은 근본적인 의미가 결여된 단순한 행위에 불과하지만 말씀과 결합되어 있는 성례전은 표징이나 회상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그 안에 계시고 활동하며 사람을 회개시키는 길이요 방편이다. 그것은 말씀과 마찬가지로 하나님의 은혜가 전달되는 은혜의 방편이요 구원의 방편이다. 그것은 은혜의 방편인 동시에 하나님의 은혜이다. 눈에 보이지 않는 말씀과 눈에 보이는 말씀 곧 성례전은 교회의 삶에 있어서 똑같이 중요하다. 왜냐하면 이 둘 모두를 통해 구원의 중보자인 예수 그리스도는 역사하시기 때문이다. 그리스도는 “원초적 말씀”이고 “원초적 성례”이다.
발제/ 참고문헌 1. 김균진, 기독교조직신학Ⅳ(서울:연세대학교출판부, 1993), pp.424-463
2. 호스트 G. 암만, 교의학, 이신건 역(서울:한국신학연구소,1989)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9.10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62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